$\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 of Sipjeondabo-tang (SJDBT) in Korea. Method : We searched Korean research database by using keyword 'Sipjeondabo-tang'. Databases are Korean Medicin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Korean Studies In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0년 이후 2014년 이전의 43개 연구를 대상으로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가 한의학 관련 계열의 학회지인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한의학 관련 계열의 학회지란 연구자가 학회 이름을 보고 학회가 한의학 관련 성격을 띠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 십전대보탕은 면역 장기인 골수, 비장, 흉선, 간, peyer’s patch 등에서 Th1/2 면역반응에 관여하고, 골수, 비장, 흉선의 기능을 증대시키며, 면역 글루블린 조절을 통해 T 세포와 B 세포 면역에도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 결과적으로 십전대보탕의 생물학적 활성을 통해 면역 증가 활성 작용을 확인하고 십전대보탕의 補氣補血 효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서 보고하였다.
  • 이처럼 십전대보탕은 허약증에 보편적으로 투여되는 처방이지만 아직 연구동향을 분석한 논문은 없으며 고전문헌이나 임상적인 경험에 근거하여 처방하고 있는 실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십전대보탕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0년 이후부터 2014년까지의 십전대보탕 연구를 시기별, 연구 방법별, 학술지별로 분류해보고, 그 중 최근 10년간 연구에서 발표된 십전대보탕의 연구주제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의원 처방순위 3위이며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한 처방인 십전대보탕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십전대보탕의 국내에서의 최근 연구동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별로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을 때, 총 43편의 논문에서 실험 연구가 34편으로 전체의 약 79%를 차지하여 제일 활발하게 연구된 것을 확인하였다.
  • 1990년 이후 2014년 이전의 43개 연구를 대상으로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가 한의학 관련 계열의 학회지인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한의학 관련 계열의 학회지란 연구자가 학회 이름을 보고 학회가 한의학 관련 성격을 띠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한의학 관련 계열의 학회지에서 출판된 논문이 37편, 한의학과 관련되지 않은 학회지에서 출판된 논문이 6편이었다(Figure 3).

가설 설정

  • 에 따라 인삼(Ginseng Radix Alba),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 복령(Hoelen), 감초(Glycyrrhizae Radix),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천궁(Cnidii Rhizoma),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작약(Paeoniae Radix), 황기(Astragali Radix), 육계(Cinnamomi Cortex)를 십전대보탕 처방으로 정하였다. 『太平惠民和劑局方』에서 십전대보탕이 처음 등장한 이후로 시대별, 문헌별로 구성 약물의 용량에는 변동이 있었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와 대부분 이들 10개의 약재가 동일 용량으로 구성되는 경향6)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 포함 가능한 십전대보탕 구성 약물 용량비는 1:1로 정하였다. 다만 황기와 육계의 경우, 『方藥合編』에서는 십전대보탕이 八物湯(인삼, 백출, 복령, 감초, 당귀, 천궁, 숙지황, 작약 각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십전대보탕이란? 십전대보탕은 한국에서는 한의원 처방 순위에서 3위로 처방될 정도로 매우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처방이다1). 십전대보탕은 補氣血劑의 대표적인 처방으로서 처방구성은 주로 補氣하는 약재, 補血하는 약재와 益氣回陽하는 약재로 이루어져 있어 단순히 補血强壯劑로서만이 아니라 신체생리기능의 저하를 회복시키고 면역력을 증진시켜 만성 허약성 질환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2).
십전대보탕 구성약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십전대보탕 처방의 기준은 약학정보원에 등록되어 있는 처방정보5)에 따라 인삼(Ginseng Radix Alba),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 복령(Hoelen), 감초(Glycyrrhizae Radix),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천궁(Cnidii Rhizoma),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작약(Paeoniae Radix), 황기(Astragali Radix), 육계(Cinnamomi Cortex)를 십전대보탕 처방으로 정하였다. 『太平惠民和劑局方』에서 십전대보탕이 처음 등장한 이후로 시대별, 문헌별로 구성 약물의 용량에는 변동이 있었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와 대부분 이들 10개의 약재가 동일 용량으로 구성되는 경향6)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 포함 가능한 십전대보탕 구성약물 용량비는 1:1로 정하였다.
십전대보탕의 효능효과는 무엇인가? 십전대보탕의 한의학 문헌상의 적응증은 기혈허약에 특히 寒證을 겸한 경우, 心肺와 脾胃가 모두 상한 경우, 虛勞自汗하여 陰陽을 조화시켜야 하는 경우 등3)이 있으며, 많은 적응증 중에서도 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등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십전대보탕의 효능효과4)는 ‘병후 체력저하, 피로권태, 식욕감퇴(식욕부진), 도한(盜汗, 야간에 자는 동안 땀이 나지만 느끼지 못하고 깨어나면 땀이 그치는 증상), 손발이 차가움, 빈혈’의 총 6가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이종태. 한국인의 한약재 복용실태 조사 연구. 2006. 

  2. 송효원. 십전대보탕의 활용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1996;4(1):153-172. 

  3. 정규만, 구본홍. 종설 : 십전대보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동서의학. 1980;5(2):16-20. 

  4. Http://ezdrug.mfds.go.kr 식품의약품안전처 인터넷 사이트. 

  5.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 인터넷 사이트. 

  6. 이경구, 황대선, 유영법, 마진열, 하혜경, 신현규. 사군자탕, 사물탕, 팔물탕 및 십전대보탕의 처방 구성 및 용량 용법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6;19(4):219-225. 

  7. 황도연. 방약합편. 영림사. 2007. 

  8. 마진열, 황대선, 이남헌, 하혜경, 유영법, 신현규. Chiness hamster lung cell(CHL)에서 십전대보 탕 염색체 이상 시험.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8; 16(2):145-153. 

  9. 마진열, 이남헌, 황대선, 하혜경, 유영법, 신현규. ICR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십전대보탕 소핵시험.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8;16(1):109-115. 

  10. 마진열, 황대선, 이남헌, 하혜경, 유영법, 신현규. SD 랫드를 이용한 십전대보탕의 급성 독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5):1192-1195. 

  11. 마진열, 황대선, 이남헌, 하혜경, 유영법, 신현규. 세균을 이용한 십전대보탕 복귀돌연변이 시험. 대한한의학회지. 2008;29(3):1-10. 

  12. 김기철, 김지민, 김대진. 국내산 및 중국산 십전대 보탕 재료의 구조탄수화물과 식이섬유에 관한 연구. 생명과학회지. 2005;15(1):49-54. 

  13. 이지혜, 김태수, 곽동훈, 마진열. 마우스를 이용한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발효물의 단회투여 독성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1;32(3):334-344. 

  14. 양민철, 정상원, 마진열. 보문 : 발효, 세포배양, 생물공정 ; 유산균 발효에 의한 십전대보탕의 발효 전후 성분 변화 연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011;39(4):350-356. 

  15. 박영선, 윤상협.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십전대 보탕, 영계출감탕이 장음으로 평가된 흰 쥐의 위 수축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 31(2):212-223. 

  16. 이호영, 하혜경, 정다영, 이남헌, 신현규. 사물탕, 사군자탕, 팔물탕, 십전대보탕의 약리 활성 비교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0;21(4):41-51. 

  17. 김정훈, 서창섭, 전우영, 신현규. 전탕 방법 및 전 탕 시간에 따른 십전대보탕 전탕액 비교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2;25(2):108-119. 

  18.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et al.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 산화황의 농도변화 - 십전대보탕 구성처방을 중심으로 -. 대한한의학회지. 2009;30(4):108-117. 

  19. 이상영, 정현우.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과 가미십 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이 뇌허혈 흰쥐의 뇌혈류 역학에 미치는 실험적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3;27(2):173-182. 

  20. 이호영, 하혜경, 정다영, 최지윤, 이남헌, 마진열, 유영법, 신현규. 십전대보탕에서 황기?육계의 함 량 변화에 따른 약리활성 비교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8;29(1):156-166. 

  21. 한상백, 신헌태, 박해모, 이선동. 십전대보탕과 육 미지황탕이 실험동물의 모체에 미치는 생식독성학적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7;11(2):159-174. 

  22. 한상백, 전성진, 신헌태, 박해모, 이선동, 박철수. 십전대보탕과 육미지황탕이 실험동물의 태자에 미치는 독성학적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8;12 (3):35-45. 

  23. 신규원, 이선동, 박해모, 전성진, 변진석. 다용한 약처방 투여가 흰쥐의 신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 십전대보탕, 보증익기탕, 오적산 및 육미지황탕을 중심으로-.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5;9(1):119-133. 

  24. 한용주, 이선동, 최종환, 박종구, 장인수, 박해모. 다용 한약처방 투여가 흰쥐의 간기능에 미치는 영 향 - 십전대보탕, 육미지황탕, 보중익기탕 및 오적산을 중심으로 -. 대한한의학회지. 2006;27(1): 78-90. 

  25. 한효정, 강래엽, 김현진, 박은영, 장정아, 서호석, et al. 虛勞로 변증한 만성신부전 환자의 十全大補 湯 투여 호전례.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9;17 (2):195-201. 

  26. 이상영, 김형우, 김계엽, 최찬헌, 윤여충, 정현우.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및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 全大補湯)의 항산화 효과 및 신경교세포주 보호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6):1292-1298. 

  27. 김정훈, 신현규. 십전대보탕의 면역활성에 관한 기초 실험 연구 문헌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 26(5):641-649. 

  28.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영림사. 2011. 

  29. Nishiuchi T, Okutani Y, Yamagishi Y, Fujita T, Imataki O, Ohnishi H, Matsunaga T, Shimizu T, Shimizu H. Synergistic effect between Juzen-taiho-to, a Japanese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gemcitabine single-agent chemotherapy for advanced biliary tract cancer. J Altern Complement Med. 2013 Jun;19(6): 593-597. 

  30. Okumi H, Koyama A. Kampo medicine for palliative care in Japan. Biopsychosoc Med. 2014 Jan 22;8(1):6. 

  31. Kono T, Takeda H, Uezono Y. Kampo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adverse effects caused by anticancer drugs. Nihon Geka Gakkai Zasshi. 2013 Sep;114(5):251-5. 

  32. Hara H, Kataoka S, Anan M, Ueda A, Mutoh T, Tabira T.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herbal medicine, Juzen-taiho-to, on amyloidbeta burden in a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J Alzheimers Dis. 2010;20(2):427-39. 

  33. Kishida Y, Nishii T, Inoue T, Nishida S, Arimitsu J, Yoshikawa H, Sugano N. Juzentaihoto (TJ-48), a traditional Japanese herbal medicine, influences hemoglobin recovery during preoperative autologous blood donation and after hip surgery. Int J Clin Pharmacol Ther. 2009 Dec;47(12):716-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