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와 수면시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Life Habits, Health Status and Sleep Time of the Elderly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1, 2014년, pp.41 - 50  

김미영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하수정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전성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sleep time in the Korean elder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1". The survey included 3,487 people aged over 65 years and 1,163 sa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이 말하는 좋은 수면에서 수면의 주관적인 측정에서 다루고 있는 평소 취침시간, 낮 동안의 수면, 수면의 방해정도, 꿈, 수면의 질, 깨고 난 후 누워 있는 시간 등에 대한 요소들이 중요한 영향요인일 수 있는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되지 못한 항목이라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하지 못한 부분이 제한점으로 남는다. 그럼에도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건강에 취약한 노인층의 수면시간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보건의료전문가들이 노인의 적절한 수면시간을 위한 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가족부와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생활습관과 건강상태에서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노인의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생활습관과 건강상태 관련요인은 노인의 수면시간 개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위한 매우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수면시간 정도를 파악하고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 수면시간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지역사회의 보건의료활동 중 수면중재를 효율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 노인의 수면시간에 관련된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신체와 정신건강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 수면시간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지역사회의 보건의료활동 중 수면중재를 효율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 노인의 수면시간에 관련된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신체와 정신건강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수면에 생기는 어려움은 무엇이 있는가? 수면은 삶에 있어서 기본적인 활동으로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건강을 유지하며, 정신적으로 재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의 안녕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5]. 노인은 수면의 리듬과 양상이 뚜렷하게 변화하며, 입면 시 어려움, 잦은 각성, 수면 유지의 어려움, 조기 기상, 수면 만족도 저하, 낮 동안 각성상태 유지의 어려움, 기억력 감퇴와 집중력 저하 등의 문제들이 유발될 수 있다[6]. 그리고 깊은 수면이 줄어들어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은 많지만 총 수면 시간과 효율성이 감소되어 노인의 50% 이상에서 불면증을 호소하지만, 노인에서의 변화된 수면 양상들은 정상적인 노화 과정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7].
수면이 삶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수면은 삶에 있어서 기본적인 활동으로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건강을 유지하며, 정신적으로 재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의 안녕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5]. 노인은 수면의 리듬과 양상이 뚜렷하게 변화하며, 입면 시 어려움, 잦은 각성, 수면 유지의 어려움, 조기 기상, 수면 만족도 저하, 낮 동안 각성상태 유지의 어려움, 기억력 감퇴와 집중력 저하 등의 문제들이 유발될 수 있다[6].
노인의 수면이 생활 및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그리고 깊은 수면이 줄어들어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은 많지만 총 수면 시간과 효율성이 감소되어 노인의 50% 이상에서 불면증을 호소하지만, 노인에서의 변화된 수면 양상들은 정상적인 노화 과정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7]. 진단되지 않았거나 치료하지 못한 불면증은 낙상 위험성, 교통사고의 증가 및 우울증을 유발하여 생존기간이 짧아지는 원인이 되며, 심혈관 질환, 뇌졸중, 암과 자살을 증가로 의료기관과 시설이용 빈도를 증가시킨다[8]. 또한, 수면 양상의 변화로 노인은 자신감을 잃어가며, 사회로부터 위축되고, 수면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낮잠이 증가하고 대인관계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9]. 이처럼 노인의 수면이 생활 및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감안한다면, 노인의 수면시간에 대한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R. Kim(2011), A Study on Necessity and Utility of Welfare Devices in an Age of Aging Popula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181;52-65. 

  2.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1),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p.25. 

  3. Y.H. Hwang(2011), Health Service Utilization and Expenditure of the Ederly based on KHP.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182;51-59. 

  4. Y.J. Koo, H.J. Koh(2009), Analysis of Intervention Research about Sleep of the Elderly in Korea,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13(1);63-71. 

  5. H.G Driscoll, L. Serody, S. Patrick, J. Maurer, S. Bensasi, P.R. Houck(2008), Sleeping well, Aging well: A Descriptive and Cross-sectional Study of Sleep in "Successful Agers" 75 and Older,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6;74-82. 

  6. M.V. Vitiello, L.H. Larsen, K.E. Moe(2004), Age-related Sleep Change: Gender and Estrogen Effects on the Subjective-objective Sleep Quality Relationship of Healthy, Noncomplaining Older Men and Wome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56(5);503-510. 

  7. N.S. Kamel, J.K. Gammack(2006), Insomnia in the Elderly: Cause, Approach, and Treatment,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Vol.119(6);463-469. 

  8. K. Preetha, H. Pamela(2008),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eriatric Insomnia: A Guide for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Vol.20(12);590-599. 

  9. M.Y. Kim, E.J. Lee(2011), Rest-activity Rhythm and Sleep Pattern in the Elderly, Journal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3(3);211-219. 

  10. M.K. Oh, C.S. Lee, C.S. Park, B.J. Kim, B.S. Cha, S.M. Kim, S.J. Lee, H.S. Shin, A.R. Kim(2011),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Quality of Sleep in Old Stroke Patients: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Vol.15;3-6. 

  11. K.R. Shin, Y.H. Kang, M.K. Shin(2008), A Study of Prostate Symptom,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ological Society, Vol.28(4);1041-1054. 

  12. J.O. Lee, Y.S. Kwon(2009), Effects of Auriculotherapy on Sleep Disorders in the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5(1);1-8. 

  13. Y.J. Lee, M.J. Park, E.J. Kim, S.M. Kim(2002), The Effect of Lavender Fragrance on Sleep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2(3);159-172. 

  14. S.J. Yang, J.S. Kim(2010),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leep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s, Journal Korean Gerontol Nurse, Vol.12(2);108-118. 

  15. S.O. Kim, G.H. Lee(2005),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leep Disturbance among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9(1);111-118. 

  16. S.H. Sok, J.Y. Choi(2010), Factors Influencing Sleep of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140(1);119-126. 

  17. P. Francesco, M.D. Cappuccio, D. Lanfranco, S. Pasquale, A.M Michelle(2010), Sleep Duration and All-cause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Sleep, Vol.33(5);585-592. 

  18. L. Gallicchio, B. Kalesan(2009), Sleep Duration and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Sleep Research, Vol.18(2);148-158.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0, December),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3], Retrieved August 22, 2011, from http://knhanes.cdc.go.kr/ 

  20. C.A. Alessi, J.F. Schnelle, P.G. MacRae, J.G. Ouslander, N. Al-Samarrai, S.F. Simmons, S. Traub(1995), Does Physical Activity Improve Sleep in Impaired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43;1098-1102. 

  21. Y.W. Cho, S.B. Hong, C.H. Yun, J.H. Kim, W.C. Shin(2009), Epidemiology of Insomnia in Korean Adult: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5;20-23. 

  22. T.S. Kim, C.H. Ham, S.T. Song, S.Y. Kim, E.J. Jung(2000),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Program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in Community Health Center level, The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Vol.37;1-184. 

  23. N. Krause, J. Liang, S. Gu(1998), Financial Strain, Received Support, Anticipated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sychology and Aging, Vol.13;58-68. 

  24. C.S. Oh(2012), The Effects of the Elderly'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nd Quality of Life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2);179-191. 

  25. R. Choi, H.J. Moon, B.D. Hwang(2010), The Influence of Chronic Disease on the Stress Cogni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Thoughts of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4(2);73-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