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해상도 수치항공정사영상기반 하천토지피복지도 제작을 위한 분류기법 연구
A study of Landcover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Airborne Digital Ortho Imagery in Stream Corridor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0 no.2, 2014년, pp.207 - 218  

김영진 (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차수영 (공주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  조용현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을 복원하거나 정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하천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하천 피복상태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의 피복상태 정보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고해상도 항공정사영상의 효과적인 분류를 위한 감독분류 방법을 시험하고 하천토지피복지도 작성을 위한 최적 분류 방법을 검증하였다. 항공 정사영상의 CIR 영상과 RGB 영상을 이용한 하천토지피복 분석과정은 하천토지피복분류 항목 선정, 감독분류, 정확도 평가 및 분류지도 작성의 순서로 수행하였다. 분류 항목은 수역, 도로, 건물, 초지, 산림, 나지, 밭의 7가지 항목을 선정하였다. 감독 분류 알고리즘으로는 최대우도분류, 최소거리분류, 평행육면체분류, 마하라노비스거리분류 기법을 적용하였다. 감독분류의 분류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필터링과 훈련지역의 왜도 검증을 수행한 결과 CIR 영상을 이용한 최대우도분류 기법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ormation on the land cover along stream corridor is important for stream restoration and maintenance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ifferent classification methods for mapping the status of stream corridors in Seom River using airborne RGB and CIR digital ortho imagery with a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하던 해상도 1~4 m인 위성영상에서 탐지되지 못한 하천의 미세 지형 및 지피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는 고해상도 항공영상(20 cm)를 이용하여, 하천토지피복지도 작성을 위한 보편적인 하천토지 피복 분류 항목을 선정하고 다양한 분류기법에 따른 정확도 평가 및 훈련지역의 왜도 검증과 필터링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항공정사영상을 이용한 하천토지피복지도 작성을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하천의 피복상태 정보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획득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적합한 분류 항목과 최적 분류 기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하천토지 피복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보편적인 분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해 환경부의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 USGS의 토지이용·피복분류체계, 유럽연합의 CORINE 토지피복 프로젝트의 분류체계를 비교·분석하여 유사한 항목으로 선정된 항목을 국내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연구에서 사용된 빈도를 분석하여 고해상도 수치항공정사영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분류 항목을 재선정하고 본 연구의 대상지 특징과 현황을 고려하여 최종 분류 항목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치항공정상영상자료는 어떤 자료와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치항공정상영상자료는 국토지리원에서 제공한 1:5000 축척 자료이다. 이 자료는 대축척용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공간해상도 0.12 m급 칼라 (RGB) 수치항공사진과 0.2 m급 칼라적외선 (color infrared; CIR) 수치항공사진을 GPS/INS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 정사영상자료이다. CIR 영상은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 영역이 포함된 영상으로 2009년 5월13일∼9월19일에 촬영되었다.
영상 분류작업이란 무엇인가? 영상 분류작업은 영상 내에 존재하는 모든 화소들을 몇 개의 토지 종류로 항목화 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감독 분류 기법은 영상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지역의 위치, 또는 분광특성을 사용자가 알고 있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대상에 대해 사용자가 정확히 알고 있을 때, 토지피복의 특징을 대표하는 훈련지역을 설정하며, 각 군집의 중심, 밴드간 공분산 등을 이용하여 자료 내의 모든 화소를 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분포특성을 가지는 군집에 할당시키는 과정이다.
감독분류 기법에서 요구되는 사항은 무엇인가? 대상에 대해 사용자가 정확히 알고 있을 때, 토지피복의 특징을 대표하는 훈련지역을 설정하며, 각 군집의 중심, 밴드간 공분산 등을 이용하여 자료 내의 모든 화소를 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분포특성을 가지는 군집에 할당시키는 과정이다. 특히 감독분류 기법에서 중요한 훈련지역의 선정은 분류 정확도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각 분류 항목들을 전형적으로 대표할 수 있는 훈련지역을 선택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분류하고자 하는 전체 지역의 변이를 대변해 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많이 골고루 선정하는 것이 요구된다(McCaffrey and Franklin, 1993; Foody and Mathur,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uchheim, M. and T. Lillesand, 1989. Semi-automated training field extraction and analysis for efficient digital image classificatio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5(9): 1347-1355. 

  2. Chun, K.W., K.N. Kim, and D.S. Cha, 1995. Study on channel-bed fluctuation using aerial photographs-analysis of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n the deposit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4(3): 369-376. 

  3. Congalton, R.G., 1991. A review of assessing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s of remotely sensed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37(1): 35-46. 

  4. Foody, G.M. and A. Mathur, 2004. Toward intelligent training of supervised image classifications: directing training data acquisition for SVM classific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3(1): 107-117. 

  5. Jackson, Q. and D.A. Landgrebe, 2001. An adaptive classifier design for high-dimensional data analysis with a limited training data set,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9(12): 2664-2679. 

  6. Jang, D.H. and M.K. Kim, 2003. Improving of landcover map using IKONOS image data,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11(2): 101-117. 

  7. Jensen, J.R., 2005.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Prentice Hall. 

  8. Kang, J.M., J.S. Lee, J.B. Kim, and C. Zhang, 2009. A study to compare SVM with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using th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Proc. of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563-1566. 

  9. Kim, S.W., 2003. Preparation of land cover and use map by object oriented classification of IKONOS imagery,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0. Ku, C.Y., 2007. Generation of the land cover map with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1(1): 83-94. 

  11. Landis, J.R. and G.G. Koch, 1977. An application of hierarchical kappa-type statistics in the assessment of majority agreement among multiple observers, Biometrics: 363-374. 

  12. Lee, B.Y., C.H. Lee, S.W. Lee, and D. Ha, 2009. Application of the high resolution aerial images to estimate nonpoint pollution loads in the unit load appreach,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8(5): 281-291. 

  13. Lee, G.S., H.S. Lee, H.S. Chae, and E.H. Hwang, 2007. Landuse analysis of urban-stream using aerial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7(3): 351-357. 

  14. Lee, H.J., R.J. Ho, and Y.Y. Geol, 2010. Extracting High Quality Thematic Information by Using High-Resoultion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8(1): 73-81. 

  15. Lee, H.J., J.H. Lu, and S.Y. Kim, 2011. Land Cover Object-oriented Base Classification Using Digital Aerial Photo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9(1): 105-113. 

  16. Lee, S.M., 2011. A Study on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17. Lim, H.Y., 2005. Comparison of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technique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8. McCaffrey, T.M. and S.E. Franklin, 1993. Automated training site selection for large-area remote-sensing image analysis, Computers & Geosciences, 19(10): 1413-1428. 

  19. Park, G.A., M.S. Lee, H.J. Kim, and S.J. Kim, 2004. Analysis of River Channel Morphology and Riparian Land Use Changes Using Aerial Photograph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4(5D): 815-821. 

  20. Sagong, H.S. and J.H. Im, 2003. An Empirical Study on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Method using IKONOS Ima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6(3): 107-116. 

  21. Thomas, N., C. Hendrix, and R.G. Congalton, 2003. A comparison of urban mapping methods using high-resolution digital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9(9): 963-972. 

  22. Woo, H.U., 2004.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airborne laser scan data,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