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 개선방안 연구 - 환경부 토지피복지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b-divided Land Cover Map Classification System - Based on the Land Cover Map by Ministry of Environment -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2 no.2, 2016년, pp.105 - 118  

오관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노우영 (환경부 정보화담당관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토지피복지도 중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의 분류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해외 토지피복지도 분류 항목을 중점 검토하였다. 둘째, 기존 세분류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구축된 항목 당 면적비율을 분석하였다. 셋째, 실제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사용하는 사용자(전문가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분류체계 개선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넷째, 최종적으로 기존 41개 분류체계를 33개 항목으로 개선하는 분류체계를 설정하였다. 다섯째, 설정된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시범 적용하였으며, 기존 분류체계와 개선안에 따른 토지피복 분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시가화 지역, 농경지등 다양한 지표특성을 지니고, 지형지물이 비교적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고양시 일산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기본 영상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촬영하고 있는 0.25 m 급 정사항공영상이며, 관련 참조자료는 수치지형도, 정밀 임상도, 지적도, 행정구역도 등을 사용하였다. 개선된 분류체계를 시범지역에 적용한 결과 문화체육 휴양시설이 $1.84km^2$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기존 분류체계 면적대비 약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기타 교통통신시설 및 교육행정시설 등은 분류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세분류 토지피복지지도 구축과 갱신의 효율성과 실질적인 사용자 수요를 반영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sub-divided land cover map among the land cover map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first, the overseas country land cover map classification items were examined in priority. Second, the area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토지피복분류 체계의 항목이 점유하고 있는 면적비율과 유사성, 또는 재분류에 따른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 구축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에 대한 토지피복별 면적 대비 비율을 검토하였다. 검토 지역은 서울, 인천, 대구, 울산, 부산, 경기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지역으로 ‘14년까지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의 구축이 완료된 지역이다.
  • 02%이하인 지역으로 주기적 갱신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영국 LCM 등에서 갯벌, 염전 등의 구분 없이 염습지로 통합하여 관리하고 있는 사례를 반영한 것이다. 여섯째, 운동장 항목을 삭제하고, 문화·체육·휴양시설과 기타나지로 재분류 하였다.
  • 본 연구는 ’10년 이후 수립된 분류항목의 활용성과 실제 구축과정의 타당성을 비교분석하여, 기본 분류체계를 통합 및 축소한 개선안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의 시계열 구축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항목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술된 연구 방안을 검토하여 환경부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개선안을 도출하였다(Table 4). 기존 분류기준 대비 변경된 항목은 상업 업무시설, 혼합지역, 기타 교통·통신시설, 교육·행정시설, 기타 공공시설, 경지정리가가 된 논, 경지정리가 안된 논, 경지정리가가 된 밭, 경지정리가 안된 밭, 목장·양어장, 기타 재배지, 갯벌, 염전, 운동장 등 총 14개 항목이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환경부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분류항목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으며, 개선된 분류체계에 따라 고양시 일산 지역에 대한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시범 제작하였다. 개선안 도출을 위하여 해외사례 분석, 기존 토지피복분류 체계에 따른 면적비율 분석 및 전문가 및 일반 사용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구축의 개선을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가? 그러나 국내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구축을 위해서는 전술된 원격탐측자료 이외의 추가참조자료가 반드시 필요하며, 판독자의 주관적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분류항목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판독자의 시각적 판단에 의하여 감독 분류하고 있는 실정이다(Lee et al, 2007). 이러한 현재 구축 방법의 불확실성과 현재의 41개 분류체계에 대해서 사용자 입장에서의 전반적인 검토 및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사용자 관점에서 필요한 정보체계를 명확히 규정하여, 표면특성으로 정의되는 목표물 기반의 분류방법 및 공정체계가 수립되어야 한다.
토지피복지도란? 토지피복지도는 지구표면의 지형지물을 일정한 과학적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동일 특성을 지닌 구역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한 주제도이다. 토지피복지도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근본적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환경영향평가, 도시기본계획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Lee et al, 2007).
토지피복지도의 활용 범위는 무엇인가? 토지피복지도는 지구표면의 지형지물을 일정한 과학적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동일 특성을 지닌 구역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한 주제도이다. 토지피복지도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근본적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환경영향평가, 도시기본계획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Lee et al, 2007). 토지피복지도의 개념은 ‘85년 유럽환경청(Europe Environment Agency, EEA)에서 추진된 COoRdination of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CORIN)프로젝트에서정립되었다(Ministryofenvironment, EGI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ustralian Government, Dynamic Land Cover Datasaet (DLCD), http://www.ga.gov.au. 

  2. DOI and USGS, Multi-Resolution Land Characteristics Consortium(MRLC), http://www.mrlc.gov. 

  3. Geoscience Australia, 2011, The national dynamic land cover dataset. Geoscience Australia, Australia. 

  4. Hong, S. M., Jung, I. K., & Kim, S. J., 2004. Standardizing Agriculture-related Land Cover Classification Scheme using IKONOS Satellite Imager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0(4), 253-25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Y. J., Cha, S. Y., & Cho, Y. H., 2014. A study of Landcover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Airborne Digital Ortho Imagery in Stream Corridor,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2), 207-21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ee, M. J., Jeon, S. W., Song, W. K., Kang, B. J., 2007. Improvement and Application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of National Land in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3(5), 335-34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M. J., Jeon, S. W., Lee, C. s., Kang, B. J., Song, W. K., 2007. A Study on Basic Plan for Upscal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ECVAM) of National Land in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6(3), 115-14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and Cover Map (LCM), http://www.ceh.ac.uk/services/land-cover-map-2007. 

  9. Lee, M. J., Kim, K. H., Park, J. H., 2014. National Environment Atla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ase on Spatial Information Environmental,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3(4), 51-7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hort- and long-term planning land cover map to enhance the utiliz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1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Establishing measures for Smart Farm map,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epublic of Korea.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A Study on the deployment of advanced the Land Cover Map,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13.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EGIS), http://egis.me.go.kr. 

  14. MILT of Japan, National Land Numerical Information download service(NLNI), http://nlftp.mlit.go.jp. 

  15. Mortom, D., et al. 2011. Final Report for LCM2007-the new UK land cover map, Countryside Survey, UK 

  16. National Land Information Diuision, National Land Numerical Information (NLNI), http://nlftp.mlit.go.jp/ksj-e. 

  17. USGS, National Land Cover Database (NLCD), http://landcover.usgs.gov.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