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GOCI 위성영상과 HYSPLIT 모델을 이용한 화산재 확산경로 예측 - 2013년 9월 17일 분화된 사쿠라지마 화산을 중심으로 -
Predicting the extent of the volcanic ash dispersion using GOCI image and HYSPLIT model - A case study of the 17 Sep, 2013 eruption in SAKURAJIMA volcano -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0 no.2, 2014년, pp.303 - 314  

이슬기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  류근혁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  황의홍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  최종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이창욱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본 가고시마에 위치하고 있는 사쿠라지마 화산은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화산 중 하나이다. 2013년 8월 18일 사쿠라지마 화산은 최근 들어 가장 큰 규모의 분화를 하였고, 분화에 의해 발생한 화산재는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 유입에 대한 우려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쿠라지마 화산분출물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화산재 확산 경로를 예측하기 위하여 HYSPLIT 확산모델과 UM 기상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일은 화산재 유입이 예상되는 규모로 분화한 2013년 9월 17일이다. 또한 천리안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화산재를 탐지하였고, 모의실험 결과와 비교를 통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HYSPLIT 모델기반의 화산재 확산 예측 경로와 GOCI 위성 영상에서 탐지한 화산재 분포지역과 63.52%가 일치하는 것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t. SAKRAJIMA in southern Kagosima, japan is one of the most active volcanoes in the world. On 18 August 2013, the SAKRAJIMA volcano recently went into the largest scaled eruption with a huge plume of volcanic ash. Therefore, the concern arises if this considerable amount of ashes might flow into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MI를 이용하여 사쿠라지마 화산의 화산재를 탐지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10년 기상청에서 발사한 천리안위성에 탑재된 해양탑재체의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화산재 탐지를 수행하였다. 천리안 해양관측 위성은 130E, 36N을 중심으로 위경도 방향으로 2500 km까지 관측하고 있다.
  • 이 결과는 2013년 사쿠라지마 분화기록과 잘 일치한다(Table 1). 본 연구에서는 GOCI 영상에서 분류한 화산재 확산 지역과 HYSPLIT을 이용하여 모의실험한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먼저 GOCI 영상에서 분류한 화산재 확산 지역의 경계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모의실험 결과에 대해서도 화산재 확산 지역의 경계를 추출하여 두 결과를 비교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는 사쿠라지마 화산 분화에 의해 발생하는 화산분출물이 국내에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입자 확산모델을 이용한 화산분출물의 확산 경로를 예측하였다. 또한 예측 결과를 원격탐사 방법에 의해 획득한 자료와 비교하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켰다.
  • 그리고 화산재와 구름의 경우 흰색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가 확산된 영역을 탐지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가시광 합성 영상에 나타난 화산재 영역의 임계치를 설정하여 분류를 수행하였다. 가시광 합성 영상에서 화산재로 분류하고자 하는 지역을 설정하고 가시광 합성 영상의 적색밴드, 녹색밴드, 청색밴드의 임계치를 식 (2)와 같이 계산한다.

가설 설정

  • ,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자의 농도를 시간당 1 g이 확산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화산분출물 확산 경로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입력자료 중 하나인 기상장은 기상청 현업 기상모델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TD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08). BTD는 두 적외밴드의 적외차를 산출하여 화산재를 탐지하는 기법으로 빠르면서 비교적 정확하게 화산재 탐지가 가능하지만, 지표변수(온도 및 방사율)나 대기 중 수증기량과 같은 오차에 의해 상당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Watson et al., 2004; Corradini et al.
사쿠라지마 화산 분화 시 화산재에 대한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특히 사쿠라지마 화산은 벌칸식(Vulcanian) 분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화산 분화시 화산재에 대한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 2013년 8월 발생한 사쿠라지마 화산의 대규모 분화는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의 화산재 유입에 대한 우려를 야기하였다.
실측을 통한 화산재 탐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어떤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가? 화산재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실측을 통해 획득한 결과가 가장 정확하지만, 이 방법은 관측 위험성을 동반하고 분화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결과를 획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관측 위험성이 없고 분화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에도 탐지 할 수 있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Prata(1989)는 위성에 탑재된 적외밴드를 이용하여 화산재를 탐지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 바 있으며, 이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위성에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orradini, S., C. Spinetti, E. Carboni, C. Tirelli, M.F. Buongiorno, S. Pugnaghi, and Gangale, G., 2008. Mt.Etna tropospheric ash retrieval and sensitivity analysis using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easurements, Journal of application Remote Sensing, 2(1): 023500. 

  2. D'Amours, R., 1998. Modeling the ETEX plume dispersion with the Canadian Emergency Response Model, Atmospheric Environment, 32(24): 4335-4341. 

  3. Draxler, R.R., and G.D. Hess, 1998. Description of the Hysplit-4 modeling system, NOAA Technical Memorandum ERL ARL-224. 

  4. Heffter, J.L., and B.J.B. Stunder, 1993. Volcanic ash forecast transport and dispersion (VAFTAD) model, Weather and forecasting, 8: 533-541. 

  5. Jones, A., D. Thomson, M. Hort, and B. Devenish, 2007. The U.K. Met office's next-generation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NAME III, Air Pollution Modeling and Its Application XVII. Springer, 580-589. 

  6. Krotkov N.A., O. Torres, C. Seftor, A.J. Krueger, A. Kortinski, W.I. Rose, G.J.S. Bluth, D. Schneider, and S.J. Schaefer, 1999. Comparison of TOMS and AVHRR vocanic ash retrievals from the August 1992 eruption of Mt.Spurr,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6(4): 455-458. 

  7. Lee S.H., and S.H. Yun, 2011. Impact of Meteorological Wind Fields Average on Predicting Volcanic Tephra Dispersion of Mt. Baekd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4): 360-3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Mastin, L.G., M. Guffanti, R. Servranckx, P. Webley, S. Barsotti, K. Dean, A. Durant, J.W. Ewert, A. Neri, W.I. Rose, D. Schneider, L. Siebert, B. Stunder, G. Swanson, A. Tupper, A. Volentik, and C.F. Waythomas, 2009. A multidisciplinary effort to assign realistic source parameters to models of volcanic ash-cloud transport and dispersion during eruption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86: 10-21. 

  9. Miller, T.P., and T.J. Casadevall, 2000. Volcanic Ash Hazards to Aviation in Encyclopedia of Volcanoes, Academic Press, 915-930. 

  10. Pavolonis, M.J., W.F. Feltz, A.K. Heidinger, and G.M. Gallina, 2006. A daytime complement to the reverse absorption technique for improved automated detection of volcanic ash,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23(11): 1422-1444. 

  11. Picchiani, M., M. Chini, S. Corradini, L. Merucci, P. Sellitto, F. Del Frate, and S. Stramondo, 2011. Volcanic ash detection and retrievals using MODIS data by means of neural networks, Atmospheric measurement techniques, 4: 2619-2631. 

  12. Prata, A.J., 1989. Observations of volcanic ash clouds in the 10-12um window using AVHRR/2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0: 751-761. 

  13. Prata, A.J., 1989. Infrared radiative transfer calculations for volcanic ash cloud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4(11): 1293-1296. 

  14. Robert, W., F. Luke, G. Harold, H. Andrew, and P. Eric, 2002. Automated volcanic eruption detection using MODI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2: 135-155. 

  15. Sakurajima volcano eruptions report: volcano discovery, available at http://volcanodiscovery.com 

  16. Volcano ash advisory center: available at http://ds.data.jma.go.jp/svd/vaac/data/ 

  17. Yu, T., W.L. Rose, and A.J. Prata, 2002. Atmospheric correction for satellite-based volcanic ash mapping and retrievals using "split window" IR data from GOES and AVHR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6(D16): 1-19. 

  18. Watson, I.M., V.J. Realmuto, W.I. Rose, A.J. Prata, G.J.S. Bluth, Y. Gu, C.E. Bader, and T. Yu, 2004. Thermal infrared remote sensing of volcanic emissions using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35: 75-89. 

  19. Witham, C.S., M.C. Hort, R. Potts, R. Servranckx, P. Husson, and F. Bonnardot, 2007. Comparison of VAAC 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using the 1 November 2004 Grimsvotn eruption, Meteorological Application, 14: 27-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