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질환자의 비만 및 대사 증후군 인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for Chronic Psychiatric In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2, 2014년, pp.105 - 112  

손미애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용미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  정계아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for Chronic Psychiatric Inpatients. Methods: Thirty 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ho were admitted into a national mental hospital of C city. All mea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만성정신질환자의 비만 및 대사증후군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단일군 반복측정설계(one group repeated measure design)이다(Table 1).
  • 본 연구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입원 중인 만성정신질환자의 비만 및 대사증후군 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만성 정신질환자들에게 운동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운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건강증진의 결과를 자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특히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연구에 있어서는 이제까지 거의 연구된 적이 없는 혈중지질성분을 측정하여 운동이 만성정신질환자의 대사증후군 인자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한 점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입원중인 만성정신질환자들을 대상으로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비만과 대사성 인자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만정정신질환자의 비만 및 대사증후군 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원중인 만성정신질환자들의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로 복합운동요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질환의 치료로 사용되는 약물요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정신질환의 치료로는 주로 약물요법, 정신요법, 환경요법 등이 있으며 이 중 약물요법은 그 효과가 가장 빠르고 효과적이어서 정신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치료법이며, 정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경우에도 치료의 기본으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약물을 투여 받는 입원 환자들은 약물의 부작용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시간을 폐쇄된 병동에서 보내야 하는 환경 때문에 신체활동의 감소와 의욕저하를 겪게 되어 많은 입원 환자들이 체중 증가를 경험하게 된다.
정신질환은 무엇을 통해 발병하는가? 정신질환은 생물학적, 환경적 요인과의 복합적인 작용을 통해 발병하게 되는데,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70%가 만성으로 진행되어 인지, 지각, 정동, 행동, 사회적 활동 등의 다양한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Kim & Byun, 2000) 등 대부분의 정신질환의 경우 증상이 반복되는 재발의 경과를 거치는 특징이있다.
정신질환은 어떤 활동에 장애가 생기는가? 정신질환은 생물학적, 환경적 요인과의 복합적인 작용을 통해 발병하게 되는데,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70%가 만성으로 진행되어 인지, 지각, 정동, 행동, 사회적 활동 등의 다양한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Kim & Byun, 2000) 등 대부분의 정신질환의 경우 증상이 반복되는 재발의 경과를 거치는 특징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olquhoun, D., Keech, A., Hunt, D., Marschner, I., Simes, J., Glasziou, P., et al. (2004). Effects of pravastatin on coronary events in 2073 patients with low levels of both LDL-C and HDL-C: Results from the LIPID study. Europian Heart Journal, 25(9), 771-777. 

  2. Curkendall, S. M., Mo, J., Glasser, D. B., Rose, S. M., & Jones J. K. (2004). Cardio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Saskatchewan, Canada.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5, 715-720. http://dx.doi.org/10.4088/JCP.v65n0519 

  3. Dodd, K., Duffy, S., Stewart, J., Impey, J., & Taylor, N. (2011). A small group aerobic exercise programme that reduces body weight is feasible in adults with severe chronic schizophrenia: A pilot stud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3(13-14), 1222-1229. http://dx.doi.org/10.3109/09638288.2010.526162 

  4. Durstine, J. L., Gradjean, P. W., Cow, C. A., & Thompson, P. D. (2002). Lipids, lipoprotein and exercise.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22(6), 385-398. 

  5. Grundy, S. M., Brewer, H. B. Jr., Cleeman, J. I., Smith, S. C. Jr., & Lenfant, C. (2004).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Report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American Heart Association conference on scientific issues related to definition. Circulation, 109, 433-438. 

  6. Hyoung, H. K., & Kim, H. S. (2008). The effect of brisk walking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and blood lipid for middle-aged woman with obesity.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10(1), 62-68. 

  7. Im, H. S., Han, K. S., & Chung, H. K. (2006).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weight gain and self-esteem of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1), 5-13. 

  8. Kang, C. G., Kim, H. C., & Lee, M. G. (2008). The effect of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for rural elderly.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7(4), 377-387. 

  9. Kemmler, W., Lauber, D., Weineck, J., Hensen, J., Kalender, W., & Engelke, K. (2004). Benefits of 2 years of intense exercise on bone density,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4(10), 1084-1091. 

  10. Kilbourne, A., Morden, N., Austin, K., Ilgen, M., McCarthy, J., Dalack, G., et al. (2009). Excess heart-disease-related mortality in a national study of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Identifying modifiable risk factor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1(6), 555-563.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2009.07.008 

  11. Kim, C. G., & Byun, W. T. (2000). Overcome Schizophrenia. Seoul: Hana publisher. 

  12. Kim, H. M. (2007).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relationship in chronic mentally disabl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in University, Naju. 

  13. Kim, M. H. (2001). The comparison of effect to exercise participation on mental health.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6(1), 239-249. 

  14. Kim, S. H. (2009). The effect of 12 weeks of circuit exercise on obesity,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dex in elderly obesit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3), 823-835. 

  15. Kim, S. H. (2013).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metabolic risk factor, depression, and drug attitude of psychiatric inpatients toward atypical antipsycho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16. Ko, K. H., Chung, M. S., & Kim, J. H. (2010). The effect of a wellness program on nutritional and diet knowledge, exercise and weight control knowledge, and weight control of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1), 34-43. 

  17. Korean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Korea. http://stat.mw.go.kr 

  18. Kwon, Y. H., & Kwag, O. G. (2011). Effects of group Tai Chi exercise program on body mass index, positive and negative 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 with schizophrenia.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4(2), 129-135. 

  19. Lee, G. H., & Kang, H. M. (2001).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for psychiatric inpatient on atypical antipsycho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0(4), 548-563. 

  20. Lee, S. J. (2000). An application effect of rhythmic management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in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21. Nam, Y. Y., Kim, C. S., Ann, C. W., Park, G. M., Yu, B., & Kim, C. H. (2006). Clinical correlates of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Korea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7(4), 335-341. 

  22. Oh, H. S., Sim, H. J., & Oh, H. E. (2010). The effect of an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bdominal circumference, and lipid metabolism for middle-aged obese women.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12(2), 89-96. 

  23. Pae, S. M., & Lee, J. H. (2007). The effect of brisk walking exercise on body mass index and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Journal of Korean Athletic Trainer Association, 1(2), 21-27. 

  24. Park, J. G., Jang, S. H., & Min, S. (2002). Effects of stretching excise on quality of life, depression, total cholesterol in the elderly.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4(2), 139-150. 

  25. Seo, J. K. (2010). The effect of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o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sulin resistance, the atherogenic index and the blood vessel inflammation markers of the obese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6. Sigal, R. J., Kenny, G. P., Boule, N. G., Wells, G. A., Prud'homme, D., Fortier, M., et al. (2007). Effects of aerobic training, resistance training, or both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7(6), 357-369. 

  27. Snowling, N. J., & Hopkins, W. G. (2006). Effects of different modes of exercise training on glucose control and risk factors fo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 meta-analysis. Diabetes Care, 29(11), 2518-2527. 

  28.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Psychiatric Illnesses in Korea. (200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Korea. 

  29. Twisk, J. W., Kemper, H. C., & Van, M. W. (2000). Tracking of activity and fit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Medical Science Sports Exercise, 32, 1455-1461. 

  30. Wu, M. K., Wang, C. K., Bai, Y. M., Huang, C. Y., & Lee, S, D. (2007). Outcomes of obese, clozapine-treated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placed on a six-month diet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 Psychiatric Services, 58(4), 544-5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