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로마용액과 0.9% N/S 구강함수가 간호대학생의 구강건조, 구취 및 타액 pH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s of the Effects of A-solution and 0.9% Normal Saline Oral Gargling on Xerostomia, Halitosis, and Salivary pH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2, 2014년, pp.141 - 149  

조미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조윤희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gargling with A-Solution and 0.9% normal saline on xerostomia, halitosis, and salivary pH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oral gargling treatment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로마용액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것으로 추출물의 효능에 따라 적절한 에센셜 오일을 배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고(Choi & Lee, 2012; Won & Chae, 2011), 일반인이 스스로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생리식염수에 비해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함수 시 청량감을 주는 페퍼민트, 면역증강 및 살균효과와 알칼리화 작용을 하는 레몬, 살균효과가 우수한 티트리를 이용하여 배합된 아로마용액과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함수가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인의 구강건조 및 구취, 타액의 pH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강간호중재로 사용되는 아로마용액과 0.9% 생리식염수 구강함수가 구강건조, 구취, 타액 pH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로마용액과 0.9% 생리식염수의 구강함수가 구강건조, 구취, 타액 pH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계이다. 실험군은 아로마용액으로 구강함수를 한 군이고, 대조군은 0.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로마용액을 이용한 구강함수가 건강인의 구강건조 및 구취, 타액의 pH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선행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된 0.9% 생리식염수의 구강함수 효과와 비교함으로써 구강간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중재방법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기존에 구강간호로 사용되었던 아로마용액과 0.9% 생리식염수 구강함수의 구강간호 효과를 비교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위험성이 전혀 없으나, 연구자가 해당 학교의 전임교수이고 연구대상자가 학생으로 취약한 대상자이므로 대상자의 인권이 보장되도록 노력하였다.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 내용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나누어 주어 서면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만을 연구 대상자에 포함시켰다.
  • 본 연구는 아로마용액을 이용한 구강함수가 건강인의 구강건조 및 구취, 타액의 pH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이다. 연구 결과, 아로마용액을 이용한 구강함수는 주관적 구취와 구강건조를 0.

가설 설정

  • 1) 가설 1: 아로마용액 함수군과 0.9% 생리식염수 함수군의 구강건조에 미치는 효과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 1) 아로마용액 함수군과 0.9% 생리식염수 함수군의 구강건조에 미치는 효과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 2) 가설 2: 아로마용액 함수군과 0.9% 생리식염수 함수군의 구취에 미치는 효과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 2) 아로마용액 함수군과 0.9% 생리식염수 함수군의 구취에 미치는 효과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 3) 아로마용액 함수군과 0.9% 생리식염수 함수군의 타액 pH에 미치는 효과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 가설 2-1: 아로마용액 함수군과 0.9% 생리식염수 함수군의 주관적 구취에 미치는 효과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 가설 2-2: 아로마용액 함수군과 0.9% 생리식염수 함수군의 객관적 구취에 미치는 효과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건조증 유병률은 얼마인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우식증을 제외한 구강의 건강상태를 살피는 연구는 많지 않지만, Orellana, Lagravère, Boychuk, Major와 FloresMir (2006)에 의해 발표된 체계적 논문에 의하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건조증 유병률은 0.9%에서 64.8%이었다. 이는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연령이 높아지거나 질병이 있는 경우, 질병으로 인해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 구강건조증의 유병률이 높아졌다.
구강함수란 무엇인가? 구강함수는 스스로 구강건강을 위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대상자에게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간호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구강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액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구강점막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탈칼슘화시키지 않고,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타액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구강함수액의 조건은 무엇인가? 구강함수는 스스로 구강건강을 위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대상자에게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간호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구강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액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구강점막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탈칼슘화시키지 않고,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타액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사용하기에 냄새나 맛이 나쁘지 않고, 구강 내의 오염을 제거해 줌으로써 감염을 감소시키고 상처 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Beck, 1993). 현재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함수액은 탄튬, 클로르헥시딘,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함수액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ck, S. L. (1993). Guidelines for oral care. Crystal Lake: Sage Products. 

  2. Cary, J. E. (1946). The development of alkali within saliva and its relation to dental caries. Australian Dental Journal, 50, 4-21. 

  3. Cho, E. A., & Kim, K. H. (2012). Correlation among xerostomia, halitosis, and salivary pH i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4, 69-78. 

  4. Choi, E. M., & Lee, K. S. (2012).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blood pressure, pulse rate, sleep, stress,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 41-48. 

  5. Chung, S. H. (2005). The effect of essential oil mouthrinse on oral health of the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Seoul. 

  6.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7. Han, G. S. (2013). Self-perceived oral malodor symptom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adults i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 475-480. 

  8. Hur, M. H., Park, J. H., Maddock-Jennings, W., Kim, D. O., & Lee, M. S. (2007). Reduction of mouth malodor and volatile sulphur compounds in intensive care patients using an essential oil mouthwash. Phytotherapy Research, 21, 641-643. http://dx.doi.org/10.1002/ptr.2127 

  9. Hur, M. H., Park, J. Y., Lee, M. Y., Youn, B. H., & Ahn, H. Y. (2007). The comparative study of A-solution versus tantum or saline in oral car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10, 35-42. 

  10. Jee, Y. J., Kim, J. S., Lee, J. H., & Jeon, E. S.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developments and oral environmental.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0, 101-107. 

  11. Jeon, L. S., Kang, S. K., Chun, Y. H., & Hong, J. P. (2005). A clinical study about effectiveness of essential oil-containing dental paste in controlling oral malodor. Koran Journal of Oral Medicine, 30, 141-148. 

  12. Jung, H. Y. (2008). A clinical study on the oral malodor related to the saliva and tongue plaq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13. Kim, J. H., Kang, S. H., & Jeong, M. A. (2010). Assessment on quality of life: Based on oral health conditions.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 4873-4880. 

  14. Kim, J. O., & Kim, N. C. (2014). Effects of 4% hypertonic saline solution mouthwash on oral health of eld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 13-20. http://dx.doi.org/10.4040/jkan.2014.44.1.13 

  15. Kim, Y. H., Jun, M. H., & Choi, J. S. (1997). Prevention of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by the two oral care protocols: the comparisons of sodium bicarbonate-normal saline gargling and chlorhexidine gargl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9, 98-111. 

  16. Krespi, Y. P., Shrime, M. G., & Kacker, A.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malodor and volatile sulfur compound-producing bacteria.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135, 671-676. http://dx.doi.org/10.1016/j.otohns.2005.09.036 

  17. McDowell, S. (1991). Are we using too much Betadine? RN, 54, 43-45. 

  18. McGaw, W. T., & Belch, A. (1985). Oral complications of acute leukemia: Prophlactic impact of a chlorhexidine mouth rinse regimen. Oral Surgery, Oral Medicine and Oral Pathology, 60, 275-280. http://dx.doi,org/10.1016/0030-4220(85) 90311-1 

  19. Napenas, J. J., Brennan, M. T., & Fox, P. C. (2009). Diagnosis and treatment of xerostomia (dry mouth). Odontology, 97, 76-83. http://dx.doi.org/10.1007/s10266-008-0099-7 

  20.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1990). Consensus statement: Oral complication of cancer therapie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9, 3-8. 

  21. Oh, J. K., Kim, Y. J., & Kho, H. S. (2001).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26, 331-343. 

  22. Oh, M. Y. (2014). The effects of A-solution on xerostomia, halitosis, and salivary pH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3. Orellana, M. F., Lagravere, M. O., Boychuk, D. G., Major, P. W., & Flores-Mir, C. (2006). Prevalence of xerostomia in population-based sampl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66, 152-158. http://dx.doi.org/10.1111/j.1752-7325.2006.tb02572.x 

  24. Park, H. J., & Shin, H. S. (1995). The effects of mouth care with sterile normal saline on chemotherapy-induced stomat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 5-16. 

  25. Seo, E. Y. (2012). The effects of aroma gargling on stress, xerostomia, halitosis, and salivary pH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6. So, J. S. (2005). Prevalence and severity of dry mouth in the Korean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7. Song, J. A., & Hur, M. H. (2011). Effects of A-solution on halitosis and oral status in preoperative NPO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405-413.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405 

  28. Won, S. J., & Chae, Y. R. (2011). The effects of aromatherpy massage on pain, sleep, and stride length in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 142-1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