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previous study,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Fe_2O_3$ and $TiO_2$ was found to influence the color of celadon glaze. Celadon samples were prepar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TiO_2$ at a fixed level of $Fe_2O_3$. The electronic states of Fe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Fe₂O₃-TiO₂의 상호작용이 청자유약의 발색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정량의 Fe₂O₃를 함유하고 있는 청자유약에 TiO₂ 첨가량을 달리하여 환원소결 후 Fe와 Ti의 전자가 상태를 각각 뫼스바우어 분광법과 전자스핀공명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CIELAB값으로 측정한 색도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청자와 중국청자의 유약은 모두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느낌을 들게 하는가? 청자는 회색 태토와 투명한 청-녹 계열 유약의 조화로 이루어지는데, 한국의 고려청자와 중국 요주요, 여요, 용천요 일부 청자가 이를 대표한다.1) 고려청자와 중국청자의 유약은 모두 석회석 유약으로 고온에서의 환원소결 과정에서 광물성분이 유리화되어 형성하는 유약층의 기공, 결정, 상분리 구조 등과 같은 미세구조와 미량 포함된 이온들의 발색으로 시각적으로 ‘비색’의 느낌을 가지게 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청자 관요지인 강진과 부안은 12 ~ 13세기에 걸쳐 비색 청자와 상감청자 기법을 완성한 곳으로서 두 지역에서 생산되었던 고려청자는 기술적 우수성과 예술성으로 학술적인 가치를 높게 평가 받고 있다.
청자는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 청자는 회색 태토와 투명한 청-녹 계열 유약의 조화로 이루어지는데, 한국의 고려청자와 중국 요주요, 여요, 용천요 일부 청자가 이를 대표한다.1) 고려청자와 중국청자의 유약은 모두 석회석 유약으로 고온에서의 환원소결 과정에서 광물성분이 유리화되어 형성하는 유약층의 기공, 결정, 상분리 구조 등과 같은 미세구조와 미량 포함된 이온들의 발색으로 시각적으로 ‘비색’의 느낌을 가지게 한다.
TiO₂가 청자유약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리상의 Fe와 Ti의 전자가 상태를 각각 뫼스바우어 분광법과 전자스핀공명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CIELAB값으로 측정한 색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iO₂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유리상에 존재하는 resonance species인 Ti³⁺ 이온의 상대적인 농도는 증가하나 Fe₂+ 비율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iO₂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청자유약의 Lightness는 감소하면서 a*, b*값들은 모두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와 b*값은 초기에는 모두 음수이나 TiO₂ 성분이 증가하면서 양수로 증가하며 b*값의 변화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을 알 수 있다. TiO₂ 첨가량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유리상 내 Ti³⁺ 량이 증가하면 이것이 Fe₂+를 산화시켜 Fe3⁺의 상대적인 비율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하여 유약의 색상을 BG 계열에서 GY 계열과 Y 계열로 변화시켜 최대 반사율 파장은 505 nm에서 610 nm로 이동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 S. Kang, The History of Korean Pottery, pp. 209, Yekyung Press, Seoul, 2012. 

  2. Z. Bin, G. Zhengyao, Z. Weijuan, L. Guoxia, C. Huansheng, and Z. Zhengquan, "Mossbauer Spectroscopy and Neutron Activation Analysis of Ancient Chinese Glazes," Appl. Clay Sci., 25 [3-4] 161-65 (2004). 

  3. Y. Yang, M. Feng, X. Ling, Z. Mao, C. Wang, X. Sun, and M. Guo, "Microstructural Analysis of the Color-generating Mechanism in Ru Ware, Modern Copies and its Differentiation with Jun Ware," J. Archaeol. Sci., 32 [2] 301-10 (2005). 

  4. W. Li, J. Li, J. Wu, and J. Guo, "Study on the Phase-separated Opaque Glaze in Ancient China from Qionglai Kiln," Ceram Int., 29 [8] 933-37 (2003). 

  5. T. Zhu, H. Huang, H. Wang, L. Hu, and X. Yi, "Comparison of Celadon from the Yaozhou and Xicun Kilns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of China by X-ray Fluorescence and Microscopy," J. Archaeol. Sci., 38 [11] 3134-40 (2011). 

  6. J. Y. Kim, H. G. No, A. Y. Jeon, U. S. Kim, J. H. Pee, W. S. Cho, K. J. Kim, C. M. Kim, and C. S. Kim, "Mossbauer Spectroscopic and Chromaticity Analysis on Colorative Mechanism of Celadon Glaze," Ceram. Int., 37 [8] 3389-95 (2011). 

  7. A. Y. Jeon, H. G. No, U. S. Kim, W. S. Cho, K. J. Kim, J. Y. Kim, C. M. Kim, C. S. Kim, and G. I. Kim, "Systematic Study on Colorative Mechanism of Ancient Goryeo Celadon Glaze byMossbauer Spectroscopic and Chromaticity Analysis (in Korean)," J. Kor. Ceram. Soc., 49 [1] 66-71 (2012). 

  8. A. Y. Jeon, H. G. No, , U. S. Kim, W. S. Cho, K. J. Kim, J. Y. Kim, C. M. Kim, C. S. Kim, and G. I. Kim, "Mossbauer Spectroscopic and Chromaticity Analysis on the Colorative Mechanism of Ancient Goryeo Celadon From Gangjin and Buan," Archaeometry Early View (2013). 

  9. K. Morinaga, H. Yoshida, and H. Takebe, "Compositional Dependence of Absorption Spectra of $Ti^{3+}$ in Silicate, Borate, and Phosphate Glasses," J. Am. Ceram. Soc., 77 [12] 3113-18 (1991). 

  10. W. M. Carty, M. Katz, and J. Gill, The Unity Molecular Formula Approach to Glaze Development; pp. 95-108 in Ceramic Engineering & Science Proceedings, Vol. 2, Issue 2, Ed. by W. M. Carty, 2000. 

  11. A. K. Varshneya, Fundamentals of Inorganic Glasses, pp. 470-471, Academic Press, San Diego, 1994. 

  12. H. D. Schreiber, N. R. Wilk Jr., and C. W. Schreiber, "A comprehensive Electromotive Force Series of Redox Couples in Soda-lime-silicate Glass," J. Non-Cryst. Solids, 253 [1-3] 68-75 (1999). 

  13. J. R. Beckett, D. Live, F. Tsay, L. Grossman, and E. Stolper, " $Ti^{3+}$ in Meteoritic and Synthetic Hibonite," Geochim. Cosmochim. Acta, 52 [6] 1479-95 (1988). 

  14. E. T. Kang, "Electron Spin Reson. Study of $Fe^{3+}$ in (40-x) $BaO{\cdot}xFe_2O_3{\cdot}60P_2O_5$ Glasses (in Korean)," J. Kor. Ceram. Soc., 45 [3] 179-84 (2008).. 

  15. C. S. Sunandanaand and R. Jagannathan, "ESR and Mossbauer Studies of $Fe^{3+}$ Ion in Calcium Boro-aluminate Glasses," Solid Sate Commun., 53 [11] 985-88 (1985). 

  16. N. Iwamoto, H. Hidaka, and Y. Makino, "Sate of $Ti^{3+}$ Ion and $Ti^{3+}-Ti^{4+}$ Redox Reaction in Reduced Sodium Silicate Glasses," J. Non-Cryst. Solids, 58 [1] 131-41 (1983). 

  17. A. Paul, "Optical and ESR Spectra of Titanium (III) in $Na_2O-B_2O_3\;and\;Na_2O-P_2O_5$ Glasses," J. Mater. Sci., 10 [4] 692-96 (1975). 

  18. L. H. C. Andrade, S. M. Lima, A. Novatski, A. M. Neto, A. C. Bento, M. L. Baesso, F. C. G. Gandra, Y. Guyot, and G. Boulon, "Spectroscopic Assignments of $Ti^{3+}\;and\;Ti^{4+}$ in Titanium-doped OH- free Low-silica Calcium Aluminosilicate Glass and Role of Structural Defects on the Observed Long Lifetime and High Fluorescence of $Ti^{3+}$ Ions," Phys. Rev. B, 78 [22] 224202 (2008). 

  19. H. D. Schreiber, "Redox Sates of Ti, Zr, Hf, Cr, and Eu in Basaltic Magmas: An Experimental Study," Proc. Lunar Sci. Conference 8th, 1785-807 (1977). 

  20. H. V. Alberto, J. M. Gil, N. Ayres DeCampos, and B. B. Mysen, "Redox Equilibria of Iron in Ti-bearing Calcium Silicate Quenched Glasses," J. Non-Cryst. Solids, 151 [1-2] 39-50 (1992). 

  21. P. A. Bingham, J. M. Parker, T. Searle, J. M. Williams, and K. Fyles, "Redox and Clustering of Iron in Silicate Glasses," J. Non-Cryst. Solids, 253 [1-3] 203-09 (1999). 

  22. N. Iwamoto, Y. Tsunawaki, H. Nakagawa, T. Yoshimura, and N. Wakabayashi, "Investigation of Calcium-Iron-Silicate Glasses by the Mossbauer Method," J. Non-Cryst. Solids, 29 [3] 347-56 (1978). 

  23. C. R. Kurkjian, "Mossbauer Spectroscopy in Inorganic Glasses," J. Non-Cryst. Solids, 3 [2] 157-94 (19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