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향 변환 나노형광체
Upconversion Nanophosphors 원문보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15 no.1, 2014년, pp.20 - 31  

장호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분자인식연구센터)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또한, Zhang 그룹은 반응 용매 중 capping 리간드의 양을 조절하여 NaYF4:Yb,Er upconversion 나노형광체의 형상을 나노플레이트, 구형, 타원형으로 조절하였고,[15] Jang 그룹은 capping 리간드의 양을 조절하여 NaYF4:Yb,Er/Tm upconversion 나노형광체의 크기 및 종횡비를 조절하여 구형부터 막대 형태로 모양을 조절하였으며, 첨가제를 반응 용액에 첨가하여 육각 프리즘 모양의 나노형광체를 합성하였다.[16] [그림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응 용액에서 capping 리간드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초기에는 구형 나노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다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입자의 크기 감소는 줄어들고 특정 방향으로 입자의 길이가 증가하여 종횡비가 늘어나는 결과가 관찰된다.
  • 위 연구그룹에서는 LaF3:Eu/LaF3:Yb,Er(62± 7nm), NaYF4:Tb/ NaYF4:Yb,Er(79 ± 7nm), LaF3:Ce,Tb/NaYF4:Yb,Er (~ 86nm), 그리고 LaF3:Ce,Tb/ LaF3:Yb,Er(~ 88nm)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나노입자들을합성하였으며, 이렇게 합성된 복합 나노입자는 자외선 및 적외선에 의해 여기되었을 때 모두 발광을 보이는 이중발광 특성을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그림 3. 액상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NaYF4:Yb,Er upconversion 나노형광체의 (A) 투과전자현미경 사진과 나노형광체가 분산된 용액을 973nm 레이저를 이용하여 여기시켰을 때의 발광 사진: (B) NaYF4:Yb,Er의 총 발광 사진. (C) 적색 및 (D) 녹색 컬러 필터를 통한 발광 사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영제로써 upconversion 나노형광체의 장점은? 기존의 형광 조영제로는 주로 유기 염료가 이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양자점을 이용하는 연구가 시도되었다. 이들 유기 염료나, 양자점과 비교하였을 때 upconversion 나노형광체는 안정성이 우수하고, 발광 밴드의 폭이 좁으며, 생체 친화적이고, 적외선을 여기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신호대 잡음 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16]
상향 변환은 어떤 경우의 과정인가? 그런데 외부 에너지가 매우 강하여 형광체 내에서 여기된 전자가 기저 준위로 떨어지기 전, 한 번 더 여기되어 더 높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한 후 기저 준위로 돌아간다면, 흡수된 에너지보다 더 큰 에너지를 가지는 빛이 방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형광체에 의하여 외부 에너지가 큰 에너지에서 작은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을 하향 변환(downconversion)이라고 부르는데 이에 반하여, 작은 에너지의 외부 에너지가 형광체를 통해 큰 에너지로 변하게 되는 경우, 그 과정은 상향 변환(upconversion)이라고 불린다.[2] 이러한 upconversion 발광 기구를 [그림 1]에 나타내었다.
NaYF4가 upconversion 발광의 효율적인 모체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5] 또한, 가장 효율이 높은 청색 발광 upconversion 형광체는 Yb3+와 Er3+가 공부활 된 NaYF4로 알려져 있다.[6] 이처럼 NaYF4가 upconversion 발광에 효율적인 모체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NaYF4 모체의 포논 격자 에너지가 낮기 때문이다. 포논 격자 에너지가 낮으면 전자가 기저 준위와 여기 준위 사이의 중간 에너지 준위에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upconversion 모체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포논 격자 에너지가 낮아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 Feldmann, T. Justel, C. R. Ronda, and P. J. Schmidt, Adv. Funct. Mater. 13, 511 (2003). 

  2. G. Blasse and B. C. Grabmaier, "Luminescent Materials" (Springer, Berlin, 1993). 

  3. F. Auzel, Chem. Rev. 104, 139 (2004). 

  4. F. Wang and X. Liu, J. Am. Chem. Soc. 130, 5642 (2008). 

  5. N. Menyuk, K. Dwight, and J. W. Pierce, App. Phys. Lett. 21, 159 (1972). 

  6. K. W. Kramer, D. Biner, G. Frei, H. U. Gudel, M. P. Hehlen, and S. R. Luthi, Chem. Mater . 16, 1244 (2004). 

  7. S. Heer, K. Kompe, H.-U. Gudel, and M. Haase, Adv. Mater . 16, 2102 (2004). 

  8. P. R. Diamente, M. Raudsepp, and F. C. J. M. van Veggel, Adv. Funct. Mater . 17, 363 (2007). 

  9. J.-C. Boyer, L. A. Cuccia, and J. A. Capobianco, Nano Lett. 7, 847 (2007). 

  10. H.-X. Mai, Y.-W. Zhang, R. Si, Z.-G. Yan, L.-d. Sun, L.-P. You, and C.-H. Yan, J. Am. Chem. Soc. 128, 6428 (2006). 

  11. G. S. Yi and G. M. Chow, Adv. Funct. Mater. 16, 2324 (2006). 

  12. J.-C. Boyer, N. J. J. Johnson, and F. C. J. M. van Veggel, Chem. Mater . 21, 2010 (2009). 

  13. S. Heer, O. Lehmann, M. Haase, and H.-U. Gudel, Angew. Chem. Int. Ed . 42, 3179 (2003). 

  14. Y. I. Park, J. H. Kim, K. T. Lee, K.-S. Jeon, H. B. Na, J. H. Yu, H. M. Kim, N. Lee, S. H. Choi, S.-I. Baik, H. Kim, S. P. Park, B.-J. Park, Y. W. Kim, S. H. Lee, S. Y. Yoon, I. C. Song, W. K. Moon, Y. D. Suh, and T. Hyeon, Adv. Mater. 21, 4467 (2009). 

  15. Z. Li and Y. Zhang, Nanotechnol. 19, 345606 (2008). 

  16. H. Na, K. Woo, K. Lim, and H. S. Jang, Nanoscale 5, 4242 (2013). 

  17. X. Ye. J. E. Collins, Y. Kang, J. Chen, D. T. N. Chen, A. G. Yodh, and C. B. Murray, Prod. Natl. Acad. Sci. U.S.A. 107, 224307 (2010). 

  18. F. Wang, J. Wang, and X. Liu, Angew. Chem. Int. Ed. 49, 7456 (2010). 

  19. C. Liu, H. Wang, X. Li, and D. Chen, J. Mater. Chem. 19, 3546 (2008). 

  20. H. Guo, Z. Li, H. Qian, Y. Hu, and I. N. Muhammad, Nanotechnol . 21, 125602 (2010). 

  21. F. Vetrone, R. Naccache, V. Mahalingam, C. G. Morgan, and J. A. Capobianco, Adv. Funct. Mater . 19, 2924 (2009). 

  22. H. S. Jang, K. Woo, and K. Lim, Opt. Express 20, 17107 (2012). 

  23. S. Schietinger, T. Aichele, H.-Q. Wang, T. Nann, and O. Benson, Nano Lett. 10, 134 (2010). 

  24. H.-S. Qian and Y. Zhang, Langmuir 24, 121234 (2008). 

  25. P. Li, Q. Peng, and Y. Li, Adv. Mater . 21, 1945 (2009). 

  26. Z. Li, L. Wang, Z. Wang, X. Liu, and Y. Xiong, J. Phys. Chem. 115, 3291 (2011). 

  27. D. Solis, E. De la Rosa, O. Meza, L. A. Diaz-Rorres, P. Salas, and C. Angeles-Chavez, J. Appl. Phys. 108, 023103 (2010). 

  28. Z. Chen, H. Chen, H. Hu, M. Yu, F. Li, Q. Zhang, Z. Zhou, T. Yi, and C. Huang, J. Am. Chem. Soc. 130, 3023 (2008). 

  29. Z. Li and Y. Zhang, Angew. Chem. Int. Ed. 45, 7732 (2006). 

  30. S. F. Lim, R. Riehn, W. S. Ryu, N. Khanarian, C.-K. Tung, D. Tank, and R. H. Austin, Nano Lett. 6, 169 (2006). 

  31. S. H. Nam, Y. M. Bae, Y. I. Park, J. H. Kim, H. M. Kim, J. S. Choi, K. T. Lee, T. Hyeon, and Y. D. Suh, Angew. Chem. Int. Ed . 50, 6093 (2011). 

  32. D. K. Chatterjee, A. J. Rufaihah, and Y. Zhang, Biomater. 29, 937 (2008). 

  33. A. Shalav, B. S. Richards, and M. A. Green Sol. Energy Mater. & Sol. Cell 91, 829 (2007). 

  34. A. Shalav, B. S. Richards, T. Trupke, K. W. Kramer, and H. U. Gudel, Appl. Phys. Lett. 86, 013505 (2006). 

  35. A. Shalav, B. S. Richards, T. Trupke, K. W. K. W. Kramer, and H. U. Gudel, Appl. Phys. Lett. 86, 031505 (2005). 

  36. J. Zhang, H. Shen, W. Guo, S. Wang, C. Zhu, F. Xue, J. Hou, H. Su, and Z. Yuan, J. Power Sources 226, 47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