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형광체의 발광 특성 제어 원문보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17 no.2, 2016년, pp.32 - 39  

장호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초록이 없습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일한 모양을 가지는 형광체를 만들기 위해 어떤 합성법을 사용하는가? [3] 현재 상용화된 분말 형태의 형광체의 경우 고상 합성법을 통해 고온에서 열처리 과정을 거쳐 합성되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가 크고, 모양이 불균일한 특성을 보인다. 최근에는 열분해법, 공침법, 수열합성법, 분무열분해법 등 다양한 합성법을 통하여 나노미터 크기의 균일한 모양을 가지는 형광체들이 보고되고 있다.[4-11] 특히, 수 ~ 수 십 nm 영역의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는 나노형광체의 경우 기존의 분말 형광체가 응용되기 어려운 바이오 이미징용 형광 조영제,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발광 재료로 적용될 수 있다.
나노형광체를 실용화에 있어서 걸림돌으로 작용하는 것은? [4-11] 특히, 수 ~ 수 십 nm 영역의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는 나노형광체의 경우 기존의 분말 형광체가 응용되기 어려운 바이오 이미징용 형광 조영제,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발광 재료로 적용될 수 있다.[12,13] 그러나 형광체의 크기가 감소하여 나노미터 크기 영역에 놓이게 되는 경우, 단위 부피당 표면 결함수가 크게 증가하여 발광 효율이 급격히 감소 하는 문제가 나타난다. 이는 나노형광체를 실용화하는데 있어 걸림돌로 작용하기 때문에 나노형광체의 발광 특성을 제어하여 원하는 발광색을 나타내면서도 밝기가 강한 나노형광체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Plasma Display Panel에 사용된 형광체는? 1600년경 이탈리아 Bologna 지역에서 처음으로 태양광 하에서 황색 발광을 나타내는 물질이 발견[1]된 이후 형광체는 꾸준히 연구 개발되어 현재 디스플레이 및 조명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Cathode Ray Tube(CRT) 텔레비전에는 ZnS:Ag,Cl, ZnS:Cu,Al 등이 사용되었고, Plasma Display Panel(PDP)에는 BaMgAl10O17:Eu2+ 등이 사용되었으며, 형광등에는 LaPO4:Ce3+,Tb3+ 등의 형광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X-ray scintillator로는 Gd2O2S:Tb3+ 형광체가 사용되고 있다.[2] 형광체가 적용되는 소자들의 구동 원리에 따라, 가장 좋은 효율을 보이는 다양한 종류의 형광체가 각기 다른 디스플레이나 조명 기기 등의 소자에 적용되었으며, 각각의 소자에 적용된 다양한 형광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Shionoya and W. M. Yen, "Phosphor Handbook" (CRC, Boca Raton, FL, 1998). 

  2. C. Feldmann, T. Justel, C. R. Ronda and P. J. Schmidt, Adv. Funct. Mater. 13, 511 (2003). 

  3. H. Jang, J. H. Kang, W.-H. Won, K.-M. Chu and D. Y. Jeon, Opt. Lett. 22, 2140 (2008). 

  4. F. Wang and X. Liu, J. Am. Chem. Soc. 130, 5642 (2008). 

  5. H.-X. Mai, Y.-W. Zhang, R. Si, Z.-G. Yan, L.-d. Sun, L.-P. You and C.-H. Yan, J. Am. Chem. Soc. 128, 6428 (2006). 

  6. G. S. Yi and G. M. Chow, Adv. Funct. Mater. 16, 2324 (2006). 

  7. J.-C. Boyer, L. A. Cuccia and J. A. Capobianco, Nano Lett. 7, 847 (2007). 

  8. H.-S. Qian and Y. Zhang, Langmuir 24, 121234 (2008). 

  9. H. S. Yoo, H. S. Jang, W. B. Im, J. H. Kang and D. Y. Jeon, J. Mater. Res. 22, 2017 (2007). 

  10. Q. Dai, H. Song, X. Ren, S. Lu, G. Pan, X. Bai, B. Dong, R. Qin, X. Qu and H. Zhang, J. Phys. Chem. 112, 19694 (2008). 

  11. A. Camenzind, R. Strobel and S. E. Pratsinis, Chem. Phys. Lett. 415, 193 (2005). 

  12. S. F. Lim, R. Riehn, W. S. Ryu, N. Khanarian, C.-K. Tung, D. Tank and R. H. Austin, Nano Lett. 6, 169 (2006). 

  13. E.-P. Jang, W.-S. Song, K.-H. Lee and H. Yang, Adv. Funct. Mater. 22, 1885 (2012). 

  14. S. Heer, K. Kompe, H.-U. Gudel and M. Haase, Adv. Mater. 16, 2102 (2004). 

  15. C. Liu, H. Wang, X. Zhang and D. Chen, J. Mater. Chem. 19, 489 (2009). 

  16. S. Heer, O. Lehmann, M. Haase and H.-U. Gudel, Angew. Chem. Int. Ed. 42, 3179 (2004). 

  17. F. Wang, X. Xue and X. Liu, Angew. Chem. Int. Ed. 42, 3179 (2004). 

  18. A. Podhorodecki, M. Banski, J. Misiewicz, M. Afzaal, P. O'Brien, D. Cha and X. Wang, J. Mater. Chem. 22, 5356 (2012). 

  19. S. Y. Kim, K. Woo, K. Lim, K. Lee and H. S. Jang, Nanoscale 5, 9255 (2013). 

  20. H.-X. Mai, Y.-W. Zhang and C.-H. Yan, J. Phys. Chem. 111, 13721 (2007). 

  21. H. Na, K. Woo, K. Lim and H. S. Jang, Nanoscale 5, 4242 (2013). 

  22. X. Ye. J. E. Collins, Y. Kang, J. Chen, D. T. N. Chen, A. G. Yodh and C. B. Murray, Prod. Natl. Acad. Sci. U.S.A. 107, 224307 (2010). 

  23. F. Wang, J. Wang and X. Liu, Angew. Chem. Int. Ed. 49, 7456 (2010). 

  24. H. S. Jang, K. Woo and K. Lim, Opt. Express 20, 17107 (2012). 

  25. F. Vetrone, R. Naccache, V. Mahalingam, C. G. Morgan and J. A. Capobianco, Adv. Funct. Mater. 19, 2924 (2009). 

  26. W. Zhang, F. Ding and S. Y. Chou, Adv. Opt. Mater. 10, 134 (2012). 

  27. S. Schietinger, T. Aichele, H.-Q. Wang, T. Nann and O. Benson, Nano Lett. 10, 134 (2010). 

  28. H. Zhang, Y. Li, I. A. Ivanov, Y. Qu, Y. Huang and X. Duan, Angew. Chem. Int. Ed. 49, 2865 (2010). 

  29. K.-T. Lee, J.-H. Park, S. J. Kwon, H.-K. Kwon, J. Kyhm, K.-W. Kwak, H. S. Jang, S. Y. Kim, J. S. Han, S.-H. Lee, D.-H. Shin, H. Ko, I.-K. Han, B.-K. Ju, S.-H. Kwon and D.-H. Ko, Nano Lett. 15, 2491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