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 기공성 단열 실리카 모노리스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porous monolith with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1 no.1, 2014년, pp.83 - 91  

최현묵 (경기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성우 (경기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졸-겔, 용매치환, 표면개질, 상압건조 공정과 계면활성제에 의한 템플레이팅(templating) 공법 및 소결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모노리스와 메조포러스 실리카 모노리스를 각각 합성하였다. 제조된 두 종류의 실리카 모노리스는 균열이 없이 비교적 투명하였으며, 매우 높은 기공율(92-94%) 및 비표면적($800-840m^2/g$)과 수 십 nm 수준의 기공 크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면개질을 적용한 실리카 에어로겔 샘플이 스피링백 효과로 인하여 메조포러스 실리카 모노리스에 비해 더욱 미세하고 균질한 나노 기공 구조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그 단열 성능도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합성된 두 종류의 실리카 모노리스를 중간층으로 적용한 복층 창유리의 단열 성능을 측정된 모노리스의 열전도도와 이론식을 근거로 조사한 결과, 기존의 상업적으로 응용되는 공기층 삽입 복층 창유리에 비해 우수한 단열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two different silica monoliths by using sol-gel, solvent exchange, surface modification, ambient pressure drying processes, and surfactant-based templating technique followed by calcination process. All of the prepared two silica monoliths showed crack-free appearanc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단열 윈도우 시스템 적용을 위하여 초단열 성능을 갖는 나노 기공성의 투명한 실리카 모노리스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실리카 전구체인 tetraethoxysilane (TEOS)를 출발물질로 하여 졸-겔 공정을 통하여 실리카 겔을 제조하고, 겔에 함유된 용매 제거를 위해 용매치환 및 표면개질, 상압 건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적용한 실리카 에어로겔 모노리스 (SA-M)와 계면활성제 자기조립체에 의한 템플레이팅(templating) 공법을 이용한 메조포러스 실리카 모노리스(MPS-M)를 각각 합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 기공성의 실리카 에어로겔이 초단열 소재로 주목받는 이유는? 한편 최근에 나노 기공성의 실리카 에어로겔이 초단열 소재로서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매우 높은 기공율(92 - 98 %) 및 나노 크기 (20 - 50 nm)의 기공으로 인하여 공기보다 낮은 열전도도를 갖기 때문이다[6-9]. 일반적으로 다공체에서의 열전달은 고체상에서의 열전도(ks) 및 복사(λ rad), 기공내의 기체상에서의 열전도(kg) 및 대류(hg)에 의해 일어난다.
유리창의 면적 비율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건축 설계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최근의 빌딩 혹은 주택 등의 건축물은 충분한 채광 및 조망 확보를 위하여 외벽에서 차지하는 유리창의 면적 비율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에너지 손실은 이러한 창유리를 통해 일어나기 때문에 결국 건축물에서 소모되는 에너지 량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유리창의 면적 비율을 확대하는 설계방향의 단점은? 최근의 빌딩 혹은 주택 등의 건축물은 충분한 채광 및 조망 확보를 위하여 외벽에서 차지하는 유리창의 면적 비율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에너지 손실은 이러한 창유리를 통해 일어나기 때문에 결국 건축물에서 소모되는 에너지 량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파괴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을 통한 열의 유입/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 창유리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 S. Kim, S. K. Jeong, and S. H. Jeong, Experimental Research about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Various Powder Insulation Methods, J. Kor. Inst. Appl. Supercond. Cryog., 12, 49 (2010). 

  2. J. E. Fesmire and S. D. Augustynowicz, Thermal Performance Testing of Glass Microspheres under Cryogenic Vacuum Conditions, Transactions of the Crygenic Engineering Conference, 49, 612 (2004). 

  3. R. G. Baumgartner, E. A. Myers, J. E. Fesmire, D. L. Morries, and E. R. Sokalski, Demonstration of Microsphere Insulation in Cryogenic Vessels, Transactions of the Crygenic Engineering Conference, 51, 1351 (2006). 

  4. N. Y. Kim, Y. W. Chang and S. W. Kim, Thermal Insulation Property of UV Cure Coatings Using Hollow Micro-Spheres, Korean Chem. Eng. Res., 50, 621 (2012). 

  5. Y. W. Chang and S. W. Kim, UV curable transparent urethane-acrylate/clay nanocomposite coating materials with thermal barrier property, Surf. & Coat Technol. 232, 294 (2013). 

  6. S. S. Kistler, Coherent Expanded Aerogels and Jellies, Nature, 127, 741 (1931). 

  7. M. Schmidt and F. Schwertfeger, Application for silica aerogel products, J. Non-Cryst. Solids, 225, 364 (1998). 

  8. I. S. Han, J. C. Park, S. Y. Kim, K. S. Hong, and H. J. Hwang, Fabrication and Network Strengthening of Monolithic Silica Aerogels Using Water Glass, J. Kor. Ceram. Soc., 44, 162 (2007). 

  9. P. H. Tewart, A. J. Hunt, and K. D. Loffus, Mater. Lett., 3, 363 (1985). 

  10. K. I. Jensen, J. M. Schultz, and F. H. Kristiansen, Development of windows based on highly insulating aerogel glazings, J. Non-Cryst. Solids, 350, 351 (2004). 

  11. S. D. Bhagat, C. S. Oh, Y. H. Kim, Y. S. Ahn, and H. G. Yeo, Methyltrimethoxysilane based monolithic silica aerogel via ambient pressure drying, Microporous and Mesoporous Meterials, 100, 350 (2007). 

  12. T. Y. Wei, T. F. Chang, and S. Y. Lu, Preparation of Monolithic Silica Aerogel of Low Thermal Conductivity by Ambient Pressure Drying, J. Am. Ceram. Soc., 90, 2003 (2007). 

  13. J. L. Gurav, D. Y. Nadargi, A. V. Rao, Effect of mixed Catalysts system on TEOS-based silica aerogels dried at ambient pressure, Appl. Surf. Sci, 255, 3019, (2008) 

  14. S. W. Ryu, S. S. Kim, and Y. J. Oh, Influence of solvent on the nano porous silica aerogels prepared by ambient drying process, J. Korean Sensors Society, 15, 371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