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실태
The statu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mong Healthcare Facilities in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5, 2014년, pp.353 - 366  

정선영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김옥선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  이지영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감염관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이다. 13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강문원 등[8]이 개발한 설문지를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대상 의료기관의 평균 병상수는 556.4이었고 300병상 미만 의료기관이 26.9%를 차지하였다. 99.3%의 의료기관이 감염관리위원회를 설치하였고 평균 개최 횟수는 연 3.4회였다. 감염관리실무자가 1명 배치된 곳이 54.5%, 전담근무가 62.7%이었다. 실무자의 95.5%가 간호사로 평균 37.2세, 48.9%가 석사 이상, 평균 병원 경력은 13.5년, 감염관리실무 경력은 3.2년이었으며 30.8%가 1년 미만이었다. 감염감시는 100%, 개선활동은 75.4%의 의료기관에서 수행하였다. 감염관리실 설치 및 인력, 감염관리실무자 근무 형태, 감염감시 결과 비교, 감염유행조사, 음압병실, 감염관리 전산프로그램과 손위생 모니터링 실시는 의료기관의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300병상 미만 중소 의료기관에서 인력, 조직, 시설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00병상 미만 중소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조직과 인력, 실무 정착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was to describe the stat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HAI) control. Data were collected from 134 hospital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ang[8] were modified. The mean of hospital beds was 556.4, 26.9% of hospitals were less than 300 beds. 99.3% of hospitals had infection co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00병상 미만의 의료기관을 포함하여 비교적 규모가 적은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현황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감염관리위원회와 감염관리실을 설치 운영해야 하는 의료기관의 규모를 200병상 이상으로 확대하는, 2012년 개정된 의료법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국내 의료관련감염 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2년 개정된 의료법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감염관리위원회와 감염관리실을 설치 운영해야 하는 의료기관의 규모가 200병상 이상으로 확대되는, 2012년 개정된 의료법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회원이 감염관리 담당자로 있는 국내 13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의료관련 감염 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관련감염이란 무엇인가? 의료관련감염은 입원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에 발생하는 ‘병원감염[1]’이 라는 용어가 변경된 것으로 입원 뿐 아니라 외래진료, 중 환자, 보호자, 의료종사자 또는 방문객이 의료와 관련하여 이환된 감염[2]을 의미한다. 의료관련감염은 윤리적, 법적, 경제적, 의료의 질 측면뿐만 아니라 영구적 손상으로 인한 환자의 삶의 질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의료관련감염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의료관련감염은 입원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에 발생하는 ‘병원감염[1]’이 라는 용어가 변경된 것으로 입원 뿐 아니라 외래진료, 중 환자, 보호자, 의료종사자 또는 방문객이 의료와 관련하여 이환된 감염[2]을 의미한다. 의료관련감염은 윤리적, 법적, 경제적, 의료의 질 측면뿐만 아니라 영구적 손상으로 인한 환자의 삶의 질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2년에 개정된 국내 의료관련감염 관리로 규정된 내용은 무엇인가? 국내 의료관련감염 관리는 1990년대 도입된 이후 1992년 병원감염관리준칙, 2003년 의료법 개정, 2004년 의료기관 평가 및 2010년 의료기관 인증제도 도입, 전국 병원감염감시체계 구축 및 운영 등으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2012년 개정되어 2013년 시행된 의료법[3] 및 의료법 시행규칙[4]에 따르면 감염관리위원회와 감염관리실을 설치 운영해야하는 의료기관의 규모가 300병상의 종합병원에서 200병상 이상의 병원 및 종합병원으로 확대되었고 병원감염의 발생감시, 병원감염관리 실적의 분석 및 평가, 직원의 감염관리교육 및 감염과 관련된 직원의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그 밖의 감염관리에 필요한 사항이 감염관리실 업무로 규정되었다. 2012년 개정된 의료법은 의료기관내 의료관련감염 관리의 중요성을 한층 더 부각시키고 환자안전과 의료안전을 위하여 감염관리가 선택이 아닌 필수 의무 사항임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P. S. Brauman, Epidemiology of nosocomial infections. Hospital infections, B. a. Brauman, Atlanta, Georgia, Lippincott-Raven. Fourth Edition. 1998. 

  2. 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Seoul, Hanmibook. 2011. 

  3. Medical Law [Operation 2014.1.1.] [Law No. 10609, 2011.4.28., Partial revision]. Retrieved March 3, 2014,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C%9D%98%EB%A3%8C%EB%B2%95#liBgcolor8 

  4. Medical Law Enforcement Rules [Operation 2014.1.1.]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 228, 2013.12.31.] Retrieved March 3, 2014,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C%9D%98%EB%A3%8C%EB%B2%95#liBgcolor10 

  5. J. H. Park, & H. S. Yoon, A survey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Vol. 1, No. 1, pp. 13-21, 1986. 

  6. S. E. Lee, A study on investigating the national infection control program in Korea,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Vol. 7, No. 1, pp. 13-33, 1993. 

  7. J. H. Woo, M. S. Lee, M. H. Jeong, S. O. Lee, D. R. Jeong, & E. O. Kim, et al. National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in Korea.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Vol. 2, No. 2, pp. 177-202, 1997. 

  8. M. W. Kang, National survey and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ractice on the infection control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4. 

  9. H. S. Oh, A study on the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and medical in Korea. Seou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05. 

  10. Korean Associa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KAICN), KAICN text of infection control. Seoul, Hyunmoonbook. Second Edition. 2012. 

  11. J. M. Hughes, Study on the efficacy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SENIC Project):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Chemotherapy, Vol. 34, No. 6, pp. 553-61, 1983. 

  12. C. O'Boyle, M. Jackson, & S. J. Henly, Staffing requirement for infection control program in US health care facilities: Delphi project.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Vol. 30, No. 6, pp. 321-33, 2002. 

  13.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ation (KOIHA), Standards for healthcare facility certification. 2011 

  14.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JCI),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accrediation standards for hospitals.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2010. 

  15. S. Y. Jeong, & O. S. Kim, The structual model of hand hygiene behavior for prevention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4, No. 2, pp. 99-108, 2012. 

  16. J. D. Siegel, E. Rhinehart, M. Jackson, L. Chiarello, &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 advisory committee(HICPAC).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in healthcare settings, 2006. CDC. Retrieved March 5, 2014, from http://www.cdc.gov/hicpac/pdf/MDRO/MDROGuideline2006.pdf 

  17. D. Pittet, The lowbury lecture: Behaviour in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Vol. 58, pp.1-13,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