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용량 개정에 따른 고속도로 공사구간의 서비스 수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vel-of-Service Changes of Expressway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raffic Capacity at Work-Zone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6 no.3 = no.65, 2014년, pp.109 - 117  

류성우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도로연구실) ,  박권제 (한국도로공사 교통본부) ,  한승환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조윤호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 This study analyzes the available working time at work-zone on the Expressway in accordance to the new capacity manual. METHODS : Sensitivity analysis on variables were conducted to calculate the adjusted capacity at work-zone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RESULTS : The main factors whi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는 2013년에 개정한 도로용량편람에서 공사구간의 용량을 별도로 제시하였으며, 서비스수준(LOS : Level of Service)도 기존과 차이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사구간의 도로용량 정의에 따른 서비스수준 변화와 영향인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지보수 공사의 작업가능 시간과 유지보수 공법 선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앞서 살펴본 교통차단에 따른 서비스수준 “E” 이상의 작업가능한 시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다양한 변수들 중 기본용량, 차로수 및 교통제한차로수, 교통량, 측방여유폭, 차로폭, 지형, 설계속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각 변수별로 분석에 적용한 값은 Table 8과 같다.
  • 이 Calendar를 통해서 공사를 계획하고 진행하는 관계자들이 적절한 보수공법 및 교통처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국내 전국 고속도로 네트워크 상에서 한차로 차단 시 서비스수준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도표를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만 2001년에 개정하여 2012년까지 사용한 도로용량편람에서는 고속도로 공사구간에 대한 용량 규정이 없었다. 때문에 이와 관련된 분석, 비용산정, 교통차단정책 등은 공사구간이 아닌 일반구간의 용량과 동일하게 가정하여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는 2013년에 개정한 도로용량편람에서 공사구간의 용량을 별도로 제시하였으며, 서비스수준(LOS : Level of Service)도 기존과 차이가 발생하였다.
  • 도로용량편람에서는 지형을 크게 일반지형과 특정경사구간(구간 종단경사 3% 이상, 경사 길이 500m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교통량을 IC 와 IC 사이에서의 결과를 검토하기 때문에 지형조건을 일반지형만으로 가정하여 Table 4 및 Table 5에서와 같이 승용차 환산계수 값을 선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20여 년간 약 2배의 도로 연장이 증가한 이유는? 국가산업의 발달과 경제성장으로 인한 도로의 신설 및 확충에 대한 요구에 따라 최근 20여 년간 약 2배의 도로 연장이 증가하였다. 2013년 기준으로 국내 고속도로는 1,281km의 아스팔트 포장과 2,481km의 콘크리트 포장으로 시공되어 있으며, 계획된 동서 7축 및 남북 9축이 완료되는 2022년에는 4,446km에 달하는 고속도로가 건설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도로의 용량이란? 2000년도 Highway Capacity Manual(HCM)에 따르면 “도로의 용량은 주어진 도로, 도로의 기하구조, 신호, 교통 및 환경조건 하에서 특정기간동안 도로의 한 지점이나 일정구간에서 지속적으로 보낼 수 있는 최대의 차량이나 사람들로 정의하며, 일반적으로 시간당 차량수, 시간당 승용차수, 시간당 사람수로 표현한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TRB, 2000).
기존의 고속도로 포장보수가 가진 문제점은? 기존에는 고속도로 포장보수가 필요한 경우, 교통제한을 최소화하기 위해 혼잡시간대를 피해서 일시적 교통제한으로도 보수가 가능한 긴급보수나 단순 덧씌우기 위주의 공사를 수행해왔다. 하지만, 이 같은 보수방법은 내구성이 낮고, 품질관리가 힘들며, 잦은 보수공사와 교통제한으로 인한 고속도로 이용자들의 불만을 야기해왔다. 따라서, 한국도로공사에서는 고속도로 포장보수방법을 기존 일시적 교통제한을 통한 긴급보수방식에서 구간별 일정기간 교통차단 후 고내구성 재료를 적용하여 집중적으로 보수하는 방식으로 보수방법을 전환하겠다는 방침을 마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brams, C. M. and J. J. Wang. Planning and Scheduling Work Zone Traffic Control. Report FHWA-IP-81-6,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981. 

  2. Dixon, K., and J. Hummer. "Capacity and Delay in Major Freeway Construction Zones", Final Report for Research Project No. 23241-94-8. Center for Transportation Engineering Studie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March 1996. 

  3. Jalil K., Praveen E., and Carlos S., "Analytical Methods for Deriving Work Zone Capacities from Field Dat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2. 

  4. Kim, T., D. J. Lovell, and J. Paracha. A New Methodology to Estimate Capacity for Freeway Work Zones. Paper No. 01-0566, submitted to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nnual Meeting, 2001. 

  5. Korea Highway Corporation, "Criteria Change of Lane Closure by Modifying Road Capacity Manual (Draft)", internal Document of Traffic Management Division, 2013. 

  6. Korea Highway Corporation", Development of Roadmapto Improve Pavement Life on Expressway", 2013. 

  7.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Work Zones Lane Closures Anaysis Guidelines", 2006. 

  8. Maze, T., and A. Kamyab, "Work Zone Simulation Model", Center for Transportation and Education, Iowa State University, Ames, Iowa, 1999. 

  9. Memmott, and Dudek., "Queue and User Cost Evaluation of Work Zones (QUEWZ) i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979,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984. pp. 12-19. 

  1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Road Capacity Manual", 2013. 

  11.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Highway Capacity Manual", Washington D.C.,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