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엽록체 DNA psbA-trnH와 atpF-H 염기서열에 기초한 한국산 소나무속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Pinus in Korea based on chloroplast DNA psbA-trnH and atpF-H sequences dat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4 no.2, 2014년, pp.111 - 118  

홍정기 (국립수목원) ,  양종철 (국립수목원) ,  이유미 (국립수목원) ,  김주환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엽록체 DNA atpF-H, psbA-trnH region을 마커로 활용하여 국내에 분포하는 소나무속 식물들 중 17분류군에 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한국산 소나무속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고, 소나무속의 유연관계를 잘 나타낼 수 있는 분자마커를 찾아내고자 연구가 수행되었다. atpF-H, psbA-trnH region의 조합분석결과 한국산 소나무속은 100%의 BP로 지지되는 단계통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소나무아속과 잣나무아속으로 명확히 구분되어졌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두 개의 분자마커 중 psbA-trnH region이 atpF-H region보다 한국산 소나무속의 계통 및 유연관계를 규명하는데 다소 높은 해상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in Korean Pinus L. and to find the molecular markers which resolv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in genus Pinus. cpDNA atpF-H and psbA-trnH regions were used as molecular markers. We performed the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n 17 taxa of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속에 대한 DNA atpFH, psbA-trnH region의 계통학적 해상력을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소나무속의 정확한 계통 체계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얻어진 자료행렬을 기초로 최단 거리 계통도를 작성하였고, 각 유전자별 및 유전자간 조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분류군간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속은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소나무속(Pinus L.)은 구과목(Coniferales), 소나무과(Pinaceae), 소나무아과(Pinoideae)에 포함되는 식물군으로 대부분이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지만 남중부 아메리카와 수마트라, 자바 등에도 일부 종이 자라고 있다. 소나무속은 전 세계적으로 9속 11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Fu et al.
국내에 분포하는 소나무속은 몇종이 있는가? 이후 Gernandt et al. (2005)이 rbcL과 matK를 마커로 활용하여,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나무속 20종 중 12종[풍겐스소나무(P. pungens Lamb.), 리기다소나무(P. ridida Mill.), 테에다소나무(P. taeda L.), 방크스소나무(P. banksiana Lamb.), 곰솔, 구주소나무, 소나무, 잣나무, 눈잣나무, 섬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백송]이 포함된 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유전분석을 통한 소나무속의 계통연구들은 (Wang et al.
백송의 구분은 어덯게 되는가? 이후 Lee (2003, 2004, 2008)는 형태학적 특징을 기준으로 소나무아속과 잣나무아속으로 구분하였는데, 소나무아속은 아린이 잎과 같이 떨어지고, 잎의 횡단면의 관다발이 2개라는 특징으로, 잣나무아속은 아린이 잎이 자란 다음 떨어지고, 잎 횡단면의 관다발이 1개라는 특징으로 구분하였다. 그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나무아속에는 테에다소나무, 리기다소나무, 곰솔, 만주곰솔(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BOL Plant Working Group. 2009. A DNA barcode for land pla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6 (31): 12794-12797. 

  2. Chaw, S. M., A. Zharkikh, H. M. Sung, T. C. Lau and W. H. Li. 1997. Molecular Phylogeny of Extant Gymnosperms and Seed Plant Evolution: Analysis of Nuclear 18S rRNA Sequenc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14: 56-68. 

  3. Chaw, S. M., C. L. Parkinson, Y. Cheng, T. M. Vincent and J. D. Palmer. 2000. Seed plant phylogeny inferred from all three plant genomes: Monophyly of extant gymnosperms and origin of Gnetales from conifers. Proc.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7 (8): 4086-4091. 

  4. Fu, L-K., L. Nan, and R. R. Mill. 1999. Flora of China. Vol. 4.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Pp. 11-25. 

  5. Gernandt, D. S., G. Lopez, S. O. Garcia and A. Liston. 2005.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Pinus. Taxon 54: 29-42. 

  6. Helander, J. 2000. Phylogeny of Gymnosperms: Fact and Fiction. Gymnosperms, Gnetales, Coniferales, Pinaceae, Pinus, Abies. Poul Mollers Vej 7, Copenhagen. 

  7. Kim, H. J. 2008. Systematic Studies on Stomatal Type of Genus Pinus. MS thesis. Sangji University. (in Korean) 

  8. Kim, J. H. D.-K. Kim and J.-H. Kim. 2009.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Compositae) by RAPD analysi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2 (3): 242-247. (in Korean) 

  9. Kim, J. U. and B. S. Kil. 1983.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Pinus thunbergii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6(1): 45-54. (in Korean) 

  10. Kim, Y.-H., K.-H. Tae and J.-H. Kim. 2008. Genetic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of Persicaria thunbergii (Sieb. & Zucc.) H. Gross ex Nakai (Polygonaceae) by the RAPD analysi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1(1): 66-72. (in Korean) 

  11. Kim, Y. S., S. C. Ko, and B. H. Choi. 1981. Distribution Atlas of plants of Korea (4) Atlas of Pin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1(1,2): 53-75.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3.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in Korean) 

  14. Lee, T. B. 2004. (New) Dendrology. Hyangmunsa. (in Korean) 

  15. Lee, T. B. 2008. (New) Plant Taxonomy. Hyangmunsa. (in Korean) 

  16. Lee, Y. N. 1986. Coniferopsida in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in Korean) 

  17. Min, J. K. 1995. Systematic studies on Pinaceae 6 genera in Korea. MS thesis. Konkuk University. (in Korean) 

  18. Nakai, T. 1909. Flora koreana. Pars prima. Journal of the College of Scienc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26: 1-304. 

  19. Nakai, T. 1911. Notulae ad plantas Japoniae et Koreae. Botanical Magazine Tokyo 25: 52-64. 

  20. Richardson, D.M. 1998. Ecology and Biogeography of Pin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Syring, J., A. Willyard, R. Cronn and A. Liston. 2005.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Pinus (Pinaceae) subsections inferred from multiple low-copy nuclear loci. American Journal of Botany 92: 2086-2100. 

  22. Uyeki, H. 1926. Corean Timber Trees, vol. 1. Ginkgoales and Coniferae. The Forestry Experiment Station, Government General of Chosen. (in Japanese) 

  23. Wang, X. R., Y. Tsumura, H. Yoshimaru, K. Nagasaka and A. E. Szmidt. 1999.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Eurasian pines (Pinus, Pinaceae) based on chloroplast rbcL, matK, rpl20-rps18 spacer, and trnV intron sequenc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86: 1742-1753. 

  24. Wang, X.-Q., D. C. Tank, and T. Sang. 2000. Phylogeny and divergence times in Pinaceae: evidence from three genom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17: 773-781. 

  25. White, T. J., T. D. Bruns, S. Lee and J. W.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Innis, M. A., D. H. Gelfand, J. J. Sninsky and T. J. White (eds), Academic Press, New York. Pp. 315-322. 

  26. Yim, K. B. and K. J. Lee. 1978.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VII)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wood of Wangsan, Bonghwa and Yangju Popul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40: 1-18. (in Korean) 

  27. Yim, K. B. and K. J. Lee. 1979.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IX) Needle and wood characteristics of six popul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43: 20-30. (in Korean) 

  28. Yim, K. B. and K. W. Kwon. 1976a.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II)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Wood of Myong-Ju, Ul-Jin, and Suweon Popul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31: 8-20. (in Korean) 

  29. Yim, K. B. and K. W. Kwon. 1976b.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III) Genetic variation of the progeny originated from Mt. Chu-wang, An-Myon Island and Mt. O-Dae Popul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32: 36-63. (in Korean) 

  30. Yim, K. B. and Z. S. Kim. 1975.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I)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wood of Chuwang-san, An-Myeon-do and Odae-san Popul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28: 1-20. (in Korean) 

  31. Yim, K. B., K. W. Kwon and K. J. Lee. 1977.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V)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wood of Injye, Jeongsun, Samchuk Popul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36: 9-2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