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주거건축 공간구성에 따른 안방창호 구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지역 중상류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indows and Doors of the Main Room by Space Organization of the Traditional Residental Architecture - Focus on the Upper Middle Class in Jeonlanamdo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3, 2014년, pp.1 - 12  

조성우 (미래환경도시정책연구소) ,  이재홍 (순천대학교 건축학부) ,  문출성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traditional house has inherente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that contain human requirements with the adaptation to nature's order. As for traditional buildings, there are a lot of facilities like palaces, Buddhist temples, Confucianism architectures, government facilities, etc. Among the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구성 별로 바닥면적과 창호면적의 관계와 창호가 위치한 벽면길이와 창호길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살펴봄으로써 유형별로 바닥면적과의 비율로써 환경조절 방식이나 의존도, 생활행위 등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따라서 본 논문은 전남 지방의 안채를 중심으로 주거환경조절 방법 및 행태에 관하여 고찰하고, 전통주거건축에서 창호의 형성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안방생활상, 방의 면적 및 구성분석에 따른 실내공간 구성을 평가하여, 전통건축의 실구성 방식과 창호의 형식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창호의 형태유형, 창호의 기능분석, 창호면적과 바닥면적과의 관계, 창호의 길이와 벽면 길이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안채의 평면형식과 창호의 형식관계를 밝히는 것으로 기존연구와의 차별화를 두며,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하겠다.
  • 또한 창의 유형 및 개수에서 ‘호2’는 문으로 두 짝이 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호2호2’는 두 짝으로 된 문이 떨어져서 두 개가 있는 것을 표에서는 의미하는 것을 먼저 밝히고자 한다.
  • 이를 통해 안방생활상, 방의 면적 및 구성분석에 따른 실내공간 구성을 평가하여, 전통건축의 실구성 방식과 창호의 형식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해석 하에 단독주택계획에 반영하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 따라서 본 논문은 전남 지방의 안채를 중심으로 주거환경조절 방법 및 행태에 관하여 고찰하고, 전통주거건축에서 창호의 형성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안방생활상, 방의 면적 및 구성분석에 따른 실내공간 구성을 평가하여, 전통건축의 실구성 방식과 창호의 형식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해석 하에 단독주택계획에 반영하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전통주택의 창호와의 건축 환경을 분석하는 연구는 열환경과 음환경의 장비를 설치하여 온도, 습도, 복사온도, 기류속도 등의 물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주관적 생리적 특성에 따라 환경을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상관관계로 바닥, 벽체, 창호, 지붕 등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 전통주거건축의 안방의 창호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통주거건축의 안방이 갖는 본연의 기능과 성별, 내외법, 공간 구성, 바닥면적 등의 요소들과 안방창호의 물리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창호의 크기와 면적, 위치, 창호/바닥면적비율, 창호길이 등을 서로 가지고 이를 분류하여, 유형화를 통해 이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체계를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정리하고자 하며, 그에 따른 연구의 개념은 [Figur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분야에서 에너지와 환경의 관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가 시작된 이유는? 현대의 도시, 건축 등 많은 시설들은 공업화를 거치면서 지구의 온난화를 초래하고 이에 따른 피해가 직ㆍ간접적으로 속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올라감에 따라 자원 고갈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야기 되었다. 이러한 결과 건축분야에서도 에너지와 환경의 관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전통건축물에 해당되는 것은? 한국의 전통주거는 자연 질서에 순응하면서 인간의 요구를 담은 고유한 건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통건축물에는 궁궐, 사찰, 유교건축, 관아시설 등 많은 시설들이 있다. 그러나 주거건축은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에서 현재의 우리의 삶까지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 전통주거의 특징은? 한국의 전통주거는 자연 질서에 순응하면서 인간의 요구를 담은 고유한 건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통건축물에는 궁궐, 사찰, 유교건축, 관아시설 등 많은 시설들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Heo, J. (2010). A Comparative Study of Fitting Appearing in the Traditional Dwelling Between Korea and China: Focousing on Houses of Nobility in Joseon Dynasty Period and Siheyuan Housing in Ming. Qing Dynasty Period. Master's Program in Department of Space & Architectural Design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2. Jin, K. (2001).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Door and Windows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Kangwon Province. Master's Program in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3. Jin, Y. (2002). A Study on the Ecological-house concept and the Design Application. Master's Program in Architecture Engineering, Dept. of Interior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Hong ik University, Seoul. 

  4. Kim, K. (2010). A Study on Interchange in Social Different Position of Traditional Dwelling Clutut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6), 121-130. 

  5. Kim, M.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ditional Housings in Korea, China and Japan in Respect of Spatial Structure and Space Us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2), 101-109. 

  6. Lee, W. (2013). A Study on the Windows and Doors of Traditional Houses in Jecheo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4), 94-103. 

  7. Lee, S. (2010).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trol Methods Expression in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9(3), 128-135. 

  8. Park, Y. (2005). A study on the Propor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Windows and Doors in Korean Traditional Housing. Master's Program in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9. Park, J. (2005), A Study on the Front Elevation Proportion System in Traditional Housing 'An-Chae'.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ure History, 14(4), 73-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