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품종이 다른 나물콩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an Sprouts with Different Namulkong Cultivar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3, 2014년, pp.340 - 350  

손희경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용호 (순천향대학교 의료생명공학과) ,  이경애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껍질 색이 다른 5품종의 나물콩으로 5일간 재배한 콩나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나물콩인 녹채콩, 다원콩, 서남콩, 오리알태, 풍산나물콩의 썹질 색은 각각 연한 녹색, 검은색, 노란색, 진한 녹색, 노란색이었다. 5일 재배 후 수확한 콩나물의 재배수율은 540.00%~658.32% 이었다. 생콩나물과 삶은 콩나물의 머리 부분은 줄기 부분에 비해 견고성 견고성이 높았으며 가열에 의해 머리와 줄기 부분의 견고성이 낮아졌다. 생콩나물과 삶은 콩나물의 리폭시게나제 활성은 머리 부분이 줄기 부분에 비해 높았으며 3분간 가열 후 머리와 줄기의 리폭시게나제 활성이 감소되었다. 콩나물의 클로로필 a와 b의 함량은 머리 부분이 줄기에 비해 높았으며 3분간 가열에 의해 콩나물의 클로로필 함량은 나물콩 품종에 따라 감소 또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생콩나물의 경우 다원콩 콩나물, 서남콩 콩나물, 풍산나물콩 콩나물이 녹채콩 콩나물과 오리알태 콩나물에 비해 높았으며 삶은 콩나물과 콩나물 무침은 서남콩 콩나물과 풍산나물콩 콩나물이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ean sprouts with different namulkong cultivars were examined. The five namulkong cultivars included were as follows : Nokchaekong, Dawonkong, Seonamkong, Orialtae, and Pungsannamulkong with light green, black, yellow, dark green, and yellow seed coa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물 콩은 껍질의 색에 따라 발아율, 부패립율, 수분 흡수율 등에 차이를 보이므로(Kim SD 등 1982, Kim SS 등 2000), 껍질색이 다른 나물콩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껍질색이 황색인 풍산나물콩과 서남콩, 연한 녹색인 녹채콩, 진한 녹색인 오리알태, 검은색인 다원콩 등 5종의 국산 나물콩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이화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 등 품질 특성을 검토하여 고품질 콩나물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에 함유된 이소플 라본, 콩단백질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콩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이소플라본, 대두사포닌(soyasaponin), 토코페롤, 폴리페놀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식품이다(Xu MJ 등 2005, Kim SL 등 2013). 특히 콩에 함유된 이소플 라본, 콩단백질은 골다공증과 유방암 예방 효과, 항산화 활성,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lteni A 등 1995, Rice-Evans CA 등 1996, Trock B 등 2000, Desroches S 등 2004, Lim SM 등 2013). 콩은 그 자체로 조리하여 섭취하기도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개발, 이용되고 있으며 가장 간편하고 경제적인 콩 가공방법은 콩을 발아시키는 방법이다.
콩은 어떤 식품인가? 콩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이소플라본, 대두사포닌(soyasaponin), 토코페롤, 폴리페놀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식품이다(Xu MJ 등 2005, Kim SL 등 2013). 특히 콩에 함유된 이소플 라본, 콩단백질은 골다공증과 유방암 예방 효과, 항산화 활성,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lteni A 등 1995, Rice-Evans CA 등 1996, Trock B 등 2000, Desroches S 등 2004, Lim SM 등 2013).
여러 조리방법 중 콩을 발아시키는 방법은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가? 콩은 그 자체로 조리하여 섭취하기도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개발, 이용되고 있으며 가장 간편하고 경제적인 콩 가공방법은 콩을 발아시키는 방법이다. 콩은 발아 시 지질, 루테인, β-카로틴, 클로로필 a 등의 함량이 감소하고 콩에 존재하지 않았던 비타민 C가 생합성되며 단백질과 전분의 소화율이 증가할 뿐 아니라 트립신 저해제, 피틴산과 같은 항영양인자의 함량이 낮아져(Collins JL과 Sand GG 1976, Sathie SK 등 1983, Mostafa MM 등 1987, Lee J 등 2013), 콩 발아식품인 콩나물은 소화율이 좋은 영양식품이다. 또한 콩나물은 원료인 나물콩에 비해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으며 숙취해소 효과를 보이는 아스파라긴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Cho SY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bdullah A. baldwin RE, Fields M. Karr AL. 1984. Sensory attribute and safety aspects of germinated small-seeded soybeans and mungbeans. J Food Protec 47(6):434-437 

  2. Arai S, Noguchi M, Kaje M, Kato H, Fujimaki M. 1970. n-hexanal and some volatile alcohols their distribution in raw soybean tissues and formation in crude soy protein concentrate by lipoxygenase. Agric Biol Chem 43(9):1420-1423 

  3. Cha MJ, Park EH, Kang SC, Baek KH. 2011. Effects of various wavelength on the hardness and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soybean sprouts. Korean J Environ Agri 30(4):402-408 

  4. Chemomorsky S, Segelman A, Poretz RD. 1999. Effect of dietary chlorophyll derivatives on mutagenesis and tumor cell growth. Teratogen Carcinogen Mutagen 19(5):313-322 

  5. Kim SS, Hong HD, Lee JY, Choi HD. 2000.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from Different Cultivars. J Korean Soc Agri Chem Biotech 43(3):207-212 

  6. Cho SY, Lee YN, Park HJ. 2009.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and further purification of isoflavones from soybean sprouts cotyledon. Food Chem 117(2):312-317 

  7. Collins JL, Sand GG. 1976. Changes in trypsin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soybean varieties during maturation and germination. J Food Sci 41(1):68-172 

  8. Drake MA, Chen XO, Tamarapu S, Leenanon B. 2000. Soy protein fortification affect sensory,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dairy yoghurts. J Food Sci 65(7):1244-1247 

  9. Desroches S, Mauger JF, Ausman LM, Lichtenstein AH, Lamache B. 2004. Soy protein favorably affected LDL size independently of isoflavones in hypercholestrolemic men and women. J Nutr 134(3):574-579 

  10. Dongeuimunheonyeongusil. 2007. Shindaeyeokdongeuibogam. Bubin publishers Co., Seoul, p 1839 

  11. Friedeck KG, Karagul-Yuceer Y, Drake MA. 2003. Soy protein fortification of a low-fat dairy-based ice cream. J Food Sci 66(9):2651-2657 

  12. Hyang YH, Lee JD, Jo HY, Kwon TH, Jeong YS. 2002. Agric Res Bull Kyungbook Natl Univ 20(2):99-105 

  13. Kim ID, Kim SD. 2001. Changes in quality of soybean sprouts grown by ozone water treatment during storag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 8(4):379-384 

  14. Kim SD, Jang BH, Kim HS, Ha KH, Kang KS, Kim DH. 1982. Studies on the changes in chlorophyll, free amino acid and vitamin C content of soybean sprouts during circulation periods. Korean J Nutr Food 11(3):57-62 

  15. Kim SL, Lee JE, kwon YU, Kim WH, Jung GH, Kim DW, Lee CK, Lee YY, Kim MJ, Kim YH, Hwang TY, Chung IM. 2013. Introduction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germinated soy germ. Food Chem 136(2):491-500 

  16. Kim SY, Lee KA, Yun HT, Kim JT, Kim UH, Kim YH. 2011. Analyses of fatty acids and dietary fiber in soy sprouts. Korean J Crop Sci 56(1):29-34 

  17. Kitamura K. 1984.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ipoxygenase lacking mutants, L-i-less, L-2-less, and L-3-less soybeans. Agri Biol Chem 48(9):2339-2346 

  18. Koca N, Karadeniz F, Burdurhu HS. 2006. Effect of pH on chlorophyll degradation and colour loss in blanched green peas. Food Chem 100(2):609-615 

  19. Lee J, Hwang YS, Lee JD, Chang WS, Ghoung MG. 2013. Metabolic alterations of lutein, ${\beta}$ -carotene and chlorophyll a during germination of two soybean sprout varieties. Food Chem 141(3):3177-3182 

  20. Lee YS, Kim SB, Kim YH. 2001. Characterization of postharvest chlorophyll formation of soybean sprouts. Korean J Hort Sci Tech 19(suppl):75 

  21. Li WT, Tsao HW, Chen YY. 2007. A study on the photodynamic properties of chlorophyll derivatives using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Photochem Photobiol Sci Intl J 6(12):341-1346 

  22. Lim SM, Lee JE, Kwon YU, Kim WH, Jung GH, Kim DW, Lee CK, Lee YY, Kim MJ, Lim YH, Hwang TY, Chung IM. 2013. Introduction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germinated soy germ. Food Chem 136(2):491-500 

  23. McCarty MF. 2001. The chlorophyll metabolite phytanic acid is a natural rexinoid : potential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abetes. Med Hypo 56:217-219 

  24. McIsaac C, Potter SM, Weigel MM. 1993. Effect of consumer education on the purchase of soy-containing bakery item. Cereal Food Worlds 38(3):154-156 

  25. Molteni A, Brizio-Moleni L, Persky V. 1995. In vitro hormonal effects to soybean isoflavones. J Nutr 125(suppl):751s-756s 

  26. Morita K, Ogata M, Hasegawa T. (2001) Chlorophyll derived from Chlorella inhibits dioxin excretion in rats. Environ Health Perspec 109:289-294 

  27. Mostafa MM, Rahma EH, Rady AH. 1987. Chemical and nutritional changes inj soybean during germination. Food Chem 23(2):83-89 

  28. Park MH, Kim DC, Kim BS, Nahmgoong B. 1995. Studies on pollution-free soybean sprout production and circulation market improvement. Korea Soybean Dig 12(1):51-67 

  29. Park WK, Kim SH. 1991. Quantitative analy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Nutr 20(2):167-172 

  30. Rackis JJ. Sessa DJ, Honig DH. 1979. Flavor problems of vegetable food proteins. J Am Oil Chem Soc 56(3):262-271 

  31.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iso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al Biol Med 20(7):933-956 

  32. Sathie SK, Deshpande SS, Reddy NR, Goli DE, Salunkhe DK. 1983. Effects of germination on proteins, raffinose oligosaccharide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in the Great Nothern bean (Phaseolus vulgaris L.). J Food Sci 48(6):1796-1800 

  33. Seo SK, Kim HS, Jo SK, Oh YJ, Kim SD, Jang YS. 1995. Effect of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on grow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Korea Soybean Dig 12(2):49-55 

  34. Shin DH, Choi U. 1996.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cultivated by three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240-245 

  35. Shon HK, Jae EJ, Kim YH, Kim HS, Byoun KE, Lee KA.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oybean sprouts. Korean J Food Cook Sci 24(6):891-898 

  36. Son BY, Lee YH, Lee SH. 2006. Changes of lipoxygenase acitivity during seed germination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51(3):209-214 

  37. Song J, Kim SP, hwang JJ, Son YK, Song JC, Hur HS.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sprouts according to culture period. Korean Soybean Dig 17(1):84-89 

  38. Suda I, Hajika M, Nishiba Y, Furuta S, Igita K. 1995. Simple and rapid method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individual lipoxygenase isozyme in soybean seeds. J Agric Food Chem 43(3):742-747 

  39. Teng SB, Chen BH. 1999. Formation of pyrochlorophylls and their derivatives in spinach. Food Chem 65(3):367-37 

  40. Tijskens LMM, Schijvens EPHM, Biekman ESA. 2001. Modelling the change in colour of broccoli and green beans during blanching. Innovative Food Sci Emerging Tech 2:303-313 

  41. Trock B, Butler LW, Clarke R, Hilakivi-Clarke L. 2000. Meta-analysis of soy intake and breast cancer risk. J Nutr 130(suppl):690s-691s 

  42. Turkmen N, Poyrazoglu ES, Sari F, Velioglu S. 2006. Effects of cooking methods on chlorophylls, pheophytins and colour of selected green vegetables. Intl J Food Sci Tech 41(3):281-288 

  43. Van Loey A, Ooms V, Weemaes C, Van Den Broeck I, Ludikhuyze L, Denys IS, Hendrickx M. 1998. Thermal and pressure-temperature degradation of chlorophyll in broccoli (Brassica oleracea L. italica) juice : a kinetic study. J Agric Food Chem 46(12):5289-5294 

  44. Vernon LP. 1960.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hlorophylls and pheophytins in plant extracts. Anal Chem 32(9):1144-1150 

  45. Weemaes C, Ooms V, Van Loey AM, Hendrickx ME. 1999. Kinetics of chlorophyll degradation and color loss in heated broccoli juice. J Agric Food Chem 47(6):2404-2409 

  46. Wolf WJ. 1975. Lipoxygenase and flavor of soybean prote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23(2):136-141 

  47. Xu MJ, Dong JF, Zhu MY. 2005. Effects of germination conditions on ascorbic acid level and yield of soybean sprouts. J Sci Food Agric 85(6):943-9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