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층의 정보활동이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ctivities on the Feeling of Happiness for the Elderly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5 no.2, 2014년, pp.25 - 40  

이미숙 (경북대학교 정보격차연구사업단) ,  문진현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희섭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정보활동(정보기기 사용수준, 정보검색 시간)이 고령층의 삶의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대구 및 대구근교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371부의 데이터를 IBM SPSS 21.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와 휴대폰 사용수준은 삶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TV와 전화기 사용수준은 고령층의 삶의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와 관련한 정보검색 시간은 삶의 행복감에 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금융과 관련된 정보검색 시간은 삶의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information activities (i.e., the ability of digital device use and the time spent of information retrieval) on the feeling of happiness for the elderly people in Korea. For this study, we conducted face-to-face interview with the e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층의 정보활동(즉, 정보기기 사용수준, 정보검색 시간)이 그들의 삶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궁극적으로는 고령층이 정보활동을 통해 행복한 삶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령인구의 정보 활용 능력 향상 등이 디지털복지 혹은 정보복지의 출발점인 이유는? 고령층들은 적극적인 정보화에 많이 참여하지 않는 경향과 재교육을 받을 기회 환경과 필요성조차 인식하지 못한 열악하고 단절된 정보 환경 속에서 소외 계층화 및 정보 불평등으로 여생을 보낼 수도 있기에 적합한 사회적 환경 조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박충선, 이춘옥 2003). 정보소외는 정치적으로는 국민통합을, 경제적으로는 정보화 투자 효과 및 생산성을 저하시켜 기존의 사회경제적 비용의 소득격차를 더욱 증가시키며, 사회문화적으로는 계층 간의 의사사고 방식의 차이와 사회문화의 통합을 저해하고 세대 간의 문화갈등을 야기하는 문제 원인이 되기도 한다(남길우 2005). 그러므로 급증하는 고령인구의 정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디지털정보 사회의 적응력을 제고하여 고령층들이 행복한 삶을 향유하게 하는 것이야 말로 디지털복지 혹은 정보복지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연합은 어떤 사회를 고령화 사회라고 하였나? 국제연합(UN)은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7% 이상을 차지하는 사회를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aged society)’, 21%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로 구분하고 있으며(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2014),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사회로 진행 중이며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현실이다.
스마트폰의 개발은 어떤 영향을 미쳤나? 우리나라는 정보통신기술(ICT)의 급속한 발전 속에 1990년대부터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 네트워크 대중화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인터넷 중심의 열린 정보화 사회로 발전하였다. 스마트폰의 개발은 국내외의 모바일, 콘텐츠 산업이라는 패러다임을 이루어 이용자들과의 다양한 정보 지식을 습득, 가공, 해석 및 공유 중심의 사회적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 활동을 이루게 하였다. 이러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의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평균 수명의 연장과 생활환경 서비스 개선에 따른 사회적 삶의 질은 향상되었지만, 정보사회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정보 취약 계층인 고령층의 증가가 가속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경호, 김지훈. 2009. 한국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의 구조분석. 한국노년학, 29(1): 71-87.(Kim, Kyoung-Ho and Ji-Hoon Kim. 2009. "A Structural Analysis of Successful Aging Factors for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1): 71-87.) 

  2. 김동배, 김상범, 김세진. 2011. 서울지역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활동에 관한 연구: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집단비교. 한국노년학, 31(3): 733-749.(Kim, Dong-Bae, Sang-Bum Kim, and Se-Jin Kim. 2011. "The Research of Ability to Use Internet, Interpersonal Skill, and Social Activity among the 50's and 60's in Seoul: Latent Mea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3): 733-749.) 

  3. 김민철. 2013. 가구 내 TV보유현황 및 가구원의 TV시청시간 비교. KISDI STAT Report, 13(7): 1-6. [cited 2014.4.25]. .(Kim, Min-Chul. 2013. "The Comparison on the Present Condition of Possession of TV in a Household and TV Watching Time of Household Members." KISDI STAT Report, 13(7): 1-6 [online]. [cited 2014.4.25]. .) 

  4. 김봉화. 2006. 노인의 정보활용, 적응기제 및 삶의 만족도간의 구조방정식 분석. 노인복지연구, 33: 225-256.(Kim, Bong-Wha. 2006. "The Analysis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mong Information Literacy, Adjustment, Mechanism and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3: 225-256.) 

  5. 남길우. 2005. 취약계층의 정보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 방안.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Nam, Gil-Woo. 2005. The Ways Enhancing ICT Productivity of the Under-served Group. Seoul: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 

  6. 남영준. 2007.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49-68.(Nam, Young-Joon.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Library Service for the Alienated Cla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and Information Science, 41(4): 49-68.) 

  7. 박충선, 이춘옥. 2003. 노년의 정보화태도와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대구, 경북지역 노인들의 정보화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2): 25-44.(Park, Chung-Seon and Chun-Og Lee.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Education Experience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Family Relations, 8(2): 25-44.) 

  8. 박태열, 황지영. 2010. 노년층의 인터넷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6(2): 21-46.(Park, Tae-Youl and Ji-Young Hwang. 2010. "A Study on the Aging Population's Internet Uses and Gratificatio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6(2): 21-46.) 

  9. 방송통신위원회. 2014. 방통위, 2013년 방송매체이용행태 조사 결과 발표. 1월 23일 [online]. [cited 2014.1.23.]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online]. [cited 2014.1.23]. .) 

  10. 배나래, 박충선. 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761-779.(Bae, Na-Rae and Chung-Sun Park. 2009.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761-779.) 

  11. 서수균, 백지영, 정영숙. 2012. 노인의 스트레스 및 삶의 의미성과 행복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3): 17-30.(Seo, Su-Gyun, Ji-Young Paik, and Young-Sook Chong. 2012. "Relationships among Stress, Meaning in Life, and Happiness in Elder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17-30.) 

  12. 신용주, 구민정. 2010. 노인 정보화교육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3(4): 119-147.(Shin, Yong-Joo and Min-Jeong Koo. 2010. "An Explorative Study on Computer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3(4): 119-147.) 

  13. 신창환. 2010. 삶의 특성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2): 453-469.(Shin, Chang-Hwan. 2010. "The Study on Effects of Objective Life Attributes on Depression of Elderly Mediated by Life-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53-469.) 

  14. 연합뉴스. 2014. '필수 매체 인식률' 스마트폰 오르고 TV 떨어져. 1월 23일 [online]. [cited 2014.1.26]. .(Yonhapnews [online]. [cited 2014.1.26]. .) 

  15. 이재광, 박창제, 안동희, 김은정. 2009.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고령층의 사회참여활동 촉진을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 노인복지연구, 45: 179-206.(Lee, Jae-Kwang, Chang-Je Park, Dong-Hui Ahn, and Eun-Jung Kim. 2009. "Development of Service Model to Promote Older Adult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with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5: 179-206.) 

  16. 이정의. 2010. 한국노인의 교육수준별 생활만족 결정요인: 사회적 관계 및 참여, 건강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3): 131-142.(Lee, Jung-Ui. 2010.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S. Korea: Differences by Education Level."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3): 131-142.) 

  17. 장수지, 이재정. 2010. 노년기 컴퓨터 이용과 사회활동참여: 전기 노인의 컴퓨터 이용형태에 따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2(3): 353-374.(Chang, Soo-Ji and Jae-Jung Lee. 2010. "Computer Use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 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Computer Use Patterns of Young Ol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2(3): 353-374.) 

  18. 정민숙, 이유리. 2012. 정보화교육 참여노인의 인터넷활용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5(1): 63-85.(Jeong, Min-suk and Yu-Ri Lee.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the Internet Us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5(1): 63-85.) 

  19. 정재민, 김영주. 2007. 노인층의 텔레비전 이용행태와 충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보, 51(3): 172-200.(Jung, Jae-Min and Young-Ju Kim. 2007. "Television Viewing Patterns, Motivations, and Gratification by the Elderly."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1(3): 172-200.) 

  20. 조주은. 2010. 고령층의 모바일 격차: 휴대전화의 확산, 그러나 제한된 채택. 한국사회학, 44(5): 81-113.(Cho, Joo-Eun. 2010. "Mobile Phone Adoption and Acceptance by Elderly Users Implications for the Digital Divid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4(5): 81-113.) 

  21. 최현석, 하정철. 2012. 노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3): 559-568.(Choi, Hyun-Seok and Jeong-Cheol Ha.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3): 559-568.) 

  22.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2014. 고령화사회 [online]. [cited 2014.1.26]. .(Encyclopaedia Britannica Online Korea. 2014. Aging Society [online]. [cited 2014.1.26]. .) 

  2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2012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NIA VIII-RER-12083.(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 2013. 2012 Digital Divide Index and Survey Report. NIA VIII-PER-12083. Seoul: NIA.) 

  24. Attewell, P. 2001.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Divides." Sociology of Education, 74(3): 252-259. 

  25. Chaudhuri, S., T. Le, C. White, and H. Thompson. 2013. "Examining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of Older Adults." CIN: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31(11): 547-553. 

  26. Faire, R. W. 2005. Are We Really a Nation Online? Ethnic and Racial Disparities in Access to Technology and Their Consequences [online]. [cited 2014.1.26]. . 

  27. Kiel, J. M. 2005. "The Digital Divide: Internet and E-mail Use by the Elderly." Informatics for Health and Social Care, 30(1): 19-23. 

  28. Mansell, R. 2002. "From Digital Divides to Digital Entitlements in Knowledge Societies." Current Sociology, 50(3): 407-4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