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내 가정방문물리치료 도입에 관한 인식도 및 필요성 조사
The Survey of Awareness and Necessity on Introduce Home Physical Therapy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6, 2014년, pp.298 - 306  

정대인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찬규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고대식 (조선대학교 직업환경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가정방문물리치료 제도의 도입과 정착을 위해 수급자 측면의 환자와 공급자 측면의 물리치료사의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 참여자는 광주광역시 소재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물리치료사(130명)와 환자(96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환자(60.4%)와 물리치료사(75.4%)는 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에 의해 제공되는 신체활동 지원서비스는 전문성이 부족하며, 가정방문물리치료를 통해 질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환자 47.9%, 물리치료사 59.2%).또한 장기요양보험제도 개선 시 가장 우선순위에 대한 질문에서 환자는 급여비 절감(35.4%)과 대상자 확대(32.3%), 치료사는 전문인력 확대(73.8%)와 다양한 재활서비스의 도입(20.2%)순으로 응답하였고, 재활팀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정방문물리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환자가 의료기관에 가기 힘듦(PT 30.0%)과 노인의 신체기능이 향상(pt47.1%)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물리치료사뿐만 아니라 수요자인 환자 대부분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내에 가정방문물리치료 도입에 관한 필요성 및 인식도가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제도의 시행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needs of patients as consumers and therapists as providers on the introduction of home physical therapy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96 patients and 132 physical therapists to a questionnaires, we analyzed for freque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정방문물리치료 제도의 도입과 정착을 위해 수급자 측면의 환자와 공급자 측면의 물리치료사의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가정방문물리치료서비스가 법적인 제도로 정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보험제도 내의 가정방문물리치료제도의 도입과 정착을 위한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해 공급자와 수요자 양측의 의견을 알아보고 공급자인 물리치료사의 참여가 법적인 제도로 정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서비스의 전달방식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요? 의료서비스의 전달방식은 집중적인 치료를 요구하는 급성질환에 적합한 시설중심의 전달방식[16]과 인구구조의 고령화에 따른 만성 및 퇴행성질병 환자들의 재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중심의 전달방식이 있다[1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실시하고 있는 방문요양 서비스는 크게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실시하고 있는 방문요양 서비스는 크게 신체활동지원서비스, 가사관리지원서비스, 개인활동지원서비스, 정서지원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18]. 신체기능의 유지 증진, 운동 및 일상생활 훈련 보조 등이 포함된 신체활동지원서비스는 물리치료사의 고유 업무로서 좀 더 전문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물리치료사 중심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가정방문물리치료 시행의 주체가 물리치료사가 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실시되고 있는 방문요양서비스는 세면, 옷 갈아입히기,  목욕도움, 식사도움, 신체기능 유지 및 증진 등의 신체 활동서비스와 가시지원, 청소, 세탁, 외출동행, 말벗 등의 일상생활활동지원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문요양서비스는 물리치료사가 배제된 상태의 팀 접근(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외국과 같은 팀 접근(의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간호사, 사회복지사)의 가정방문의료제도로 제도화 되어있지 않아 재가 노인환자들을 위한 체계적이며 전문적인 재활치료와 운동은 재활이 불가능하게 되었다[11]. 그러므로 재가노인환자들을 위한 노인요양보험제도 내의 신체활동서비스와 같은 가정방문물리치료 시행의 주체가 물리치료사가 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 H. Jung, "living condition in Korea and Consciousness-A Research on the Status of the Elderly in 2011 concentrated on the result, Health.Welfare Issue & focus," Vol.147, 2012. 

  2. Statistics Korean, Goverment statistics of elderly in 2010, Daejeon: Author, 2010. 

  3. L. N. Gitlin, W. W. Hauck, L. Winter, M. P. Dennis, and R. Schulz, "Effect of an in-home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on reducing mortality in functionally vulnerable older people: preliminary findings," J Am Geriatr Soc, Vol.54, No.6, pp.950-955, 2006. 

  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Research of satisfaction and perceptio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cceptance of an opinion in korean," 2012. 

  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Research of satisfaction and perceptio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2008. 

  6. R. P. Meyer, "Consider medical care at home," Geriatrics, Vol.64, No.6, pp.9-11, 2009. 

  7. R. J. Park and D. U. Han, "Necessity and Features of Service Required for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by Activities of Daily Living," J Spec Educa & Rehabil Sci, Vol.39, No.2, pp.175-200, 2000. 

  8. T. P. Stitik, M. F. Blacksin, D. M. Stiskal, J. H. Kim, P. M. Foye, L. Schoenherr, E. S. Choi, B. Chen, H. J. Saunders, and S. F. Nadler, "Efficacy and safety of hyaluronan treatment in combination therapy with home exercise for knee osteoarthritis pain," Arch Phys Med Rehabil, Vol.88, No.2, pp.135-141, 2007. 

  9. M. Y. Pang, J. J. Eng, A. S. Dawson, H. A. McKay, and J. E. Harris, "A community-based fitness and mobility exercise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Geriatr Soc, Vol.53, No.10, pp.1667-1674, 2005. 

  10. C. Anderson, C. N. Mhurchu, S. Rubenach, M. Clark, C. Spencer, and A. Winsor, "Home or hospital for stroke Rehabilitation?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II: cost minimization analysis at 6 months," Stroke, Vol.31, No.5, pp.1032-1037, 2000. 

  11. W. D. Sun and Y. H. Oh,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of Integrated Health and Social Service System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Older Persona,"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5-55, 2000. 

  12. C. H. Yi, J. H. Weon, and J. Y. Ok, "House Visits by Physical Therapist and Patient Needs," KAUTPT, Vol.7, No.1, pp.64-78, 2000. 

  13. K. J. Lee and J. S. Roh, "Research for the Inclusion of Home-Based Physical Therapy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of Physical Therapists in Elderly Care Facilities," J Korea Cont Associ, Vol.11, No.11, pp.231-240, 2011. 

  14. S. J. Jung, H. S. Han, H. J. Lim, K. Y. Hong, C. W. Park, C. Y. Lim, and H. S. Shin, "Physical Therapists' Recognition about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s," J Korean Geriatr Soc, Vol.15, No.1, pp.37-46, 2011. 

  15. C. S. Ahn and W. J. Yu, "A Study Management and Satisfaction for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Vol.7, No.3, pp.241-250, 2012. 

  16. E. McCarthy, "Comprehensive home care for earlier hospital discharge," Nursing outlook, Vol.24, No.10, pp.625-630, 1992. 

  17. D. W. Han, T. H. Moon, E. M. Lee, S. M. Jeon, and W. S. Jung, "Development of the system for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J Korean Soc Phys Ther, Vol.17, No.1, pp.1-26, 2005.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ublic standard testbook of care workers,"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19. http://www.kpta.co.kr/subhealth/subhealth.php?-p202. 

  20. T. H. Yoon, "Inclusion of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Review on the Home-based Physical Therapy in the OECD,"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5, No.4, pp.161-175, 2011. 

  21. T. H. Yoon, A Study of the Inclusion of Home-based Physical Therapy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eoul, Hanyang University, 2009. 

  22. H. J. Kim, A Study for the Introduction of Home Rehabilitation Service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Gyeongsangnamdo, Inje University, 2010. 

  23. T. Y. Youn, A study of the inclusion of home-based physical therapy services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eoul, Hanyang University,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