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버진, 퓨어, 포마스 올리브유의 이화학적인 특성 비교를 통한 품질등급 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ying Quality Standard by Comparison wit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irgin, Pure, Pomace Olive Oi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3, 2014년, pp.339 - 347  

조은아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이영상 (관세청 중앙관세분석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assification of olive oils that are mainly distributed in Korea via imports. The fatty acid contents, degree of color, pigments, anti-oxidants, and sterol contents are analyzed on the different types of olive oil as follows: 10 kinds of extra virgin olive oil, 5 kind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입되어 유통되고 있는 올리브유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엑스트라 버진과 퓨어 및 포마스 올리브 등급의 올리브유를 시료로 지방산 조성, 색도 및 색소 함량, 페놀성 화합물 및 토코페롤 함량, 스테롤 함량, 향기 성분 등을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국내에서 유통되는 올리브유의 품질연구 및 등급을 구별하는 데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올리브유는 어느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는가? 올리브유는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등 지중해 연안지역에서 주로 생산되며, 열매에서 채취한 연녹색의 독특한 풍미를 가지고 있는 불건성유로 비중 0.914~0.
올리브유를 다른 유류와 구분 짓는 성분은 무엇인가? 버진올리브유에는 30여 종의 페놀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총 함량은 품종, 원산지, 재배방법, 숙성도, 추출법, 저장조건 등에 따라 50~1,000 mg/kg으로 다양하지만, 다른 등급에 비해 높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다(Baiano 등 2009). 올리브유에서 영양학적으로 건강에 도움이 되는 많은 성분 중에 하나인 스테롤은 올리브유를 다른 유류와 구분 짓는 성분이기도 하다. 임상학적으로 phytosterol의 섭취는 정상적인 식사 또는 소장에서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식품이며, 항염증, 항균성, 항궤양, 항산화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Alves 등 2005).
버진 올리브유는 어떤 불검화 성분을 포함하는 식물성 유지인가?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에는 콜레스테롤 레벨을 조절하는 올레산과 관상동맥 심장병 및 암의 위험을 낮추는 주요 필수지방산(리놀레산과 리놀렌산 등)이 적절한 함량으로 존재한다. 정제공정 없이 먹을 수 있는 식물성 유지일 뿐 아니라, 소량의 탄화수소, 페놀, 알코올, 스테롤, 색소, 토코페롤 및 비타민 등의 불검화 성분이 1~2% 정도 포함되어 있다(Heo 등 2012). 버진올리브유에는 30여 종의 페놀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총 함량은 품종, 원산지, 재배방법, 숙성도, 추출법, 저장조건 등에 따라 50~1,000 mg/kg으로 다양하지만, 다른 등급에 비해 높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다(Baiano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Ismail KM, Alsaed AK, Ahmad R, Al-Dabbas M. 2010. Detection of olive oil adulteration with some plant oils by GLC analysis of sterols using polar column. Food Chemistry 121:1255-1259 

  2. Alves MR, Cunha SC, Amaral JS, Pereira JA, Oliveira MB. 2005. Classification of PDO olive oils on the basis of their sterol composition by multivariate analysis. Anal Chim Acta 549:166-178 

  3.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9.098-9.10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pp. 158 

  4. Baiano A, Gambacorta G, Terracone C, Previtali MA, Lamacchia C, La NE. 2009. Changes i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Italian extra-virgin olive oils during storage. J Food Sci 74:177-183 

  5. Baydar NG, Ozkan G, Cetin ES. 2007. Characterization of grape seed and pomace oil extraction. Grasas Y Aceites 58:29-33 

  6. CODEX STAN 33-1981. Codex standard for olive oils and olive pomace oils. pp. 1-8 

  7. Escolar D, Haro MR, Ayuso J. 2007. The color space of food: virgin olive oil. J Agric Food Chem 55:2085-2093 

  8. Garcia A, Ruiz-Mendez MV, Romero C, Brenes M. 2006. The effect of refining on the phenolic composition of crude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83:159-164 

  9. Giuliani A, Cerretani L, Cichelli A. 2011. Chlorophylls in olice and olive oil: Chemistry and occurrences. Crit Rev Food Sci Nutr 51:678-690 

  10. Hashempour A, Ghazvini RF, Bakhshi D, Sanam SA. 2010. Fatty acid composition and pigments changing of virgin olive oil in five cultivars grown in Iran. AJCS 4:258-263 

  11. Heo W, Lee SY, Lim SY, Pan JH, Kim HM, Kim YJ. 2012. The functionalities and active constituents of olive oil. Kor J Food Sci Technol 44:526-531 

  12. Kim HW, Bae SK, Yi HS. 2003. Research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olive oils available in Korea. Kor J Food Sci Technol 35:1064-1071 

  13. Lee OK, Kim YC, Kim KJ, Kim YC, Lee BY. 2007. The effects of bioactive compound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extra virgin olive oil varieties. Food Sci Biotechnol 16:415-420 

  14. Lercker G, Rodriguez-Estrada MT. 2000. Chromatographic analysis of unsaponifiable compounds of olive oils and fat-containing foods. J Chromatogr A 881:105-129 

  15. Nam HY, Lee JW, Hong JH, Lee KT. 2007. Analysi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volatiles in pure or refined olive oils. Kor J Soc Food Sci Nutr 36:1409-1416 

  16. Rondanini DP, Castro DN, Searles PS, Rousseaux MC. 2011. Fatty acid profiles of varietal virgin olive oils from mature orchards in warm and valleys of Northwestern Argentina. Grasas Y Aceites 62:399-409 

  17. Sikorska E, Caponio F, Bilancia MT, Summo C, Pasqualone A, Khmelinskii IV, Sikorski M. 2007. Change in colour of extra-virgin olive oil during storage. Pol J Food Nutr Sci 57:495-4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