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한 개인정보 유통구조 분석
Analysis of Personal Information Data Flow Structure based on Network Theory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1 no.1 = no.78, 2014년, pp.17 - 34  

이재근 (한국정보화진흥원) ,  김현진 (한국정보화진흥원) ,  염흥열 (순천향대학교) ,  강상욱 (상명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인정보의 유통 현황을 분석하고 파악하는 일은 개인정보가 집중되는 개인정보처리자에 대한 관리와 대응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본 논문은 개인정보처리자가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해야 하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데이터와 네트워크 이론을 결합하여 개인정보의 유통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 최초의 연구이다. 연구 결과 개인정보 유통 네트워크는 방향성과 가중성을 가지는 대규모 네트워크이며, 역동성, 군집성, 중심성, 복잡성, 창발성 등의 네트워크 특성을 가진다. 또한 개인정보가 집중되는 개인정보처리자를 식별 가능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 유통 현황 및 개인정보가 집중되는 개인정보처리자를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관리 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보호 규제 정책의 성과를 모니터링 및 제고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on the structure of personal information flows is very important because government can measure and respond the risks caused by companies which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from other personal data users to operate their business. Recently, as the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crea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이론 및 관련 연구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개인정보의 위탁과 제공 등 개인정보 유통 현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 개인정보 유통 데이터의 수집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수집된 개인정보 유통 데이터와 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그동안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던 업종별 및 개인정보처리자별 개인정보 유통 현황과 개인정보가 집중되는 개인정보 집중 처리자를 식별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이러한 개인정보 유통 데이터 분석에 기반하여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개인정보보호 정책 대상의식별, 정책 추진 성과에 대한 분석 및 모니터링, 개인정보 집중 처리자에 대한 관리 등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개인정보처리자가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하도록 되어 있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이하 처리방침)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정보 처리 위탁 또는 제3자 제공에 따라 개인정보가 유통되는 현황 및 특성을 네트워크 이론의 기초 논거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그동안 개인정보의 위탁 및 제공의 현황에 대해 단편적인 연구 결과만 제시되던 상황에서 과학적인 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개인정보처리자가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공개하게 되어있는 정보호보 정책 즉 처리방침 데이터를 이용해서, 개인정보 유통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분석 방안을 제시한 선도적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 그리고 수집된 개인정보 유통 데이터와 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그동안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던 업종별 및 개인정보처리자별 개인정보 유통 현황과 개인정보가 집중되는 개인정보 집중 처리자를 식별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이러한 개인정보 유통 데이터 분석에 기반하여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개인정보보호 정책 대상의식별, 정책 추진 성과에 대한 분석 및 모니터링, 개인정보 집중 처리자에 대한 관리 등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지금까지 네트워크 이론연구들을 통하여 알려진 중요하고 공통된 발견들은 첫째, 네트워크의 크기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네트워크 경로는 작은 세계에 포함됨을 보여준다. 둘째, 네트워크 세계에는 클러스터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구조는 보편적으로 멱함수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Albert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가? 따라서 행위자들이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느냐에 따라 네트워크가 달라지므로 네트워크 분석은 행위자들 간의 관계 특성즉,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네트워크는 구조적 속성은 역동성 (Dynamics), 군집성(Clustering), 중심성(Centrality) 같은 미시적 특성과 복잡성(Complexity), 창발성 (Emergence)과 같은 거시적 특성을 갖는다(이수상, 2013: 67).
네트워크의 접근 방식이 학문의 패러다임을 주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 네트워크 이론에 기반하여 사회 및 경제적인 현상을 해석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노력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접근 방식이 학문의 패러다임을 주도하는 이유로 먼저 디지털화된 다양하고 광범위한 자료의 존재와 급속한 컴퓨팅 파워의 향상, 여러 학문분야에 연결된 다 학제적 접근방식의 보편화, 연구방법의 환원주의에서 전체주의로의 변화 등을 꼽을 수 있다 (Albert et al., 2002).
개인정보의 유통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개인정보보호 정책 수립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개인정보의 유통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 정책 수립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개인정보가 집중되는 업종의 개인정보보호에 보다 많은 자원을 투입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정책성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