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천시 솔방죽 습지생태공원 조성 전과 후의 동물상 비교
The Faunae before and after Creating the Solbangjuk Wetland Ecological Park Located in Jecheon-City were Compared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3, 2014년, pp.35 - 49  

김도성 (생물보전연구소) ,  강종현 (국립생태원 생태정보관리팀) ,  이세재 (제천제일고등학교) ,  임학상 (세명대학교 바이오환경공학과) ,  김나래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천시에 위치한 솔방죽 습지생태공원의 조성 전과 후의 동물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생태공원 조성에 따른 동물상의 변화는 야생성이 강한 종들이 감소하고, 일반종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유류, 양서 파충류와 같이 이동에 제약이 있는 종들은 생태공원 조성으로 늘어난 탐방객들에 의해서 점차 감소하고 있다. 그리고 어류는 공원 조성과정에서 저수지 물을 방류하고 작업하여 집단 폐사하는 사례가 있어 이에 대한 보완 작업이 필요하다. 곤충은 공원 조성 후에 조성된 화단의 꽃에서 꿀을 먹는 곤충과 습지 식물의 생육을 위하여 안정된 수계를 유지하고 있어, 이곳에서 서식하는 수서 곤충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 주거지역과 인접한 농업용 저수지는 크기가 작은 경우가 많아 생태공원 조성시 이곳에서 생활하는 야생동물들에 대한 서식 공간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야생동물 서식처를 위하여 방문객들의 탐방로와 시설물 위치를 조정하여 저수지 일부 지역이 자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faunae before and after creating the Solbangjuk Wetland Ecological Park located in Jecheon-city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change of the fauna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the park showed the phenomenon that the species having the strong wilderness are reduced and the rat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습지생태공원 조성 후 솔방죽을 찾는 탐방객 증가에 따른 동물상 변화가 예상되어 습지생태공원 조성 전과 6년 후의 동물상 변화를 비교하여 생태공원 조성이 동물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동물상 변화 결과의 분석은 앞으로 조성될 생태공원 설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저수지에 관한 연구결과 이것의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인공저수지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저수지 관리를 위한 구조적인 문제와 수질에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이곳에서 서식 하는 생물상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Yoo and Park, 2007). 인공저수지에 관한 생물상 연구에서 저수지는 식생 및 야생동물서식처로서는 비교적 양호하나, 저수지의 수계에서 서식하는 어류 및 양서․파충류의 서식처로서는 매우 부적절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생물서식처와 관련된 습지 기능은 심한 불균형 현상을 보이고 있다(Kang et al., 2012).
도시 근교에 입지한 저수지의 경우 엄격하게 복원 및 관리를 해야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도시 근교에 입지한 저수지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생물 다양성의 보고로 수변식생의 훼손은 생물다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보존지역과 이용지역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이용지역 이외에는 엄격하게 복원 관리하여야 한다(Lee and Kim, 2009). 또한 저수지는 홍수 조절, 수질의 정화, 레크리에이션 등과 같이 직접적이고 경제적인 가치를 지닌 습지로 국가적 차원에서 보호될 필요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습지 내 야생 동물의 행동권과 계절별 서식환경, 생물 종간의 관계 등에 대한 연구와 식생 천이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다(Kim et al.
저수지를 개발할 때 무엇이 우선되어야 합니까? 자연환경보전을 위해서 저수지를 개발할 때에는 저수지와 인접한 수변에 대하여 정확한 실태파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Kim and Kim, 2007). 또한 저수지를 이용한 습지생태공원은 사람과 생물이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한 친자연적인 공간으로, 그 환경 자체가 생물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인위적 시설물을 최소화하여 환경교육의 장으로 이용되도록 하여야 한다(Chu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S. J. and C. G. Park(2012) Terrestrial insect fauna of the Junam wetlands area in Korean.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51(2): 111-129. 

  2. Bae, Y. J., S. I. Jo, D. H. Hoang, H. G. Lee and K. B. Na(2004) Bio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Upo wetland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 75-91. 

  3. Bibby, C. J., N. D. Burgess and D. A. Hill(1992)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ondon, 257pp. 

  4. Chun, S. H., Y. J. Cha and J. W. Choi(2000) Floral changes during three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Youido Ecology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5): 76-86. 

  5. Green and Clean Jecheon21 Promotion Committee Jecheon city Korea (2003) The ecological report of Solbangjuk. 

  6. Gye, M. C.(2003) Amphibian fauna in the Mt. Jyungji. Korean J. Environ. Biol. 21:203-207. 

  7. Han, J. H., E. H. Lee and K. G. An(2009) Analysis of fish compositions and ecological indicator characteristic in Masan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129: 212-220. 

  8. Han, Y. H., D. Y. Kim and W. Y. An(2002) Wetland environment and vegetation development of the Ilwol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nology 5(2): 9-16. 

  9. Hwang, J. H., Y. S. Lee and Y. S. Kwon(2011) Bird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in Wolchulsan National Park.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8(3): 227-240. 

  10. Jang, B. K., B. C. Whang and K. W. Hang(2008)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preservation strategies for agricultural reservoir watershe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6): 14-20. 

  11. Jang, M. H., J. G. Kim, S. B. Park, K. S. Park, G. I. Cho and G. J. Joo (2002) The current status of the distribution of introduced fish in large river systems of South Korea. Int. Rev. Hydrobiol. 87: 319-328. 

  12. Jecheon-city(2003) A feasibility study of Solbangjuk ecological park. 

  13. Jecheon-city(2005) A basic construction plan Solbangjuk wetland ecological park. 

  14. Jecheon-city(2006) The development project monitoring Solbangjuk wetland ecological park. 

  15. Jeong, S. B., H. S. Oh, H. S. Jeon, K. S. Yang and W. T. Kim(2010) Aquatic insects fauna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12: 35-46. 

  16. Kang, E. O., Y. E. Choi and C. H. Kim(2012) Study on function and vegetational assessment values of man-made wetland in Gunsan City.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 997-1007. 

  17. Kim, D. S., Y. B. Cho and J. C. Jeong(2012) Effects of host plant, nectar plant and vegetation types on butterfly communities.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51(4): 331-342. 

  18. Kim, D. S., D. S. Park, H. S. Oh, D. H. Kim and J. C. Jeong(2013) Butterfly community monitoring on Wolchulsan Natinal Park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2): 196-203. 

  19. Kim, I. J. and H. S. Choe(2011) Environmental-friendly waterfront planning and development with regards to regional smart growth.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 Kim, H. and N. C. Kim(2007) Environmental friendly space planning for reservoirs in Siheung C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0(4): 8-20. 

  21. Kim, J. G., Y. C. Choi, J. Y. Choi, H. S. Sim, H. C. Park, W. T. Kim, B. D. Park, J. E. Lee, K. K. Kang and D. B. Lee(2007) Ecological analysis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of aquatic insects in agricultural ecosystem.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46: 33-341. 

  22. Kim, S. K., Y. H. Kang, G. B. Hong, D. U. Yoo, H. Y. Suk, B. S. Chae, H. S. Kim and U. W. Hwang(2011) Ichthyofauna and community stucture from 21 Lakes in the Yeungnam area including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Korea. Korea Journal of Ichthyology 23(4): 288-299. 

  23.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2000) Statistical yearbook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for agricultur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Korea. 

  24. Lack, D.(1966) Population Studies of Birds. Clarendon press, Oxford. 

  25. Lee, G. G.(2006) Ecotourism resource planning for Mulwang Reservoir in Siheu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4): 37-47. 

  26. Lee, J. W., J. S. Kim and C. H. Ryu(1989) User's effects on avifauna in Kaya Mountai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 70-80. 

  27. Lee, S. D. and S. B. Kim(2009)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of freshwater lake basin: A case study on Duryang Reservoir at Sache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1): 50-64. 

  28. Lim, H. J. and M. W. Lee(2011) Prior eco-preserve zoning through stream ecosystem evaluation on dam basin: A case of Yongdam-dam watershed, Jeollabukdo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 103-112. 

  29. Margalef, R.(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ems 3: 36-71. 

  3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Natural environment survey national guidelines. 

  31. Park, H. M. and S. D. Lee(2013) Habitat use pattern of Korea waterdeer base on the land coverage map.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5: 567-572. 

  32. Paek, M. K., J. M. Hwang, K. S. Jung, T. W. Kim, M. C. Kim, Y. J. Lee, Y. B. Cho, S. W. Park, H. S. Lee, D. S. Ku, J. C. Jeong, K. G. Kim, D. S. Choi, E. H. Shin, J. H. Hwang, J. S. Lee, S. S. Kim and Y. S. Bae(2010) Checklist of Korean Insects. Nature & Ecology. 

  33. Pielou, E. C.(1975) Ecological Diversity. New York. Wiley. 

  34. Rhim, S. J.(1997) Chang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and small mammal populations due to different habitat structure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5. Rhim, S. J., W. H. Hur andW. S. Lee(2002) Characteristics of altitudinal bird community in Mt. Seore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5(3): 179-187. 

  36. Shim, J. H. and K. H. Chung(1997) Studies on the Herpetofauna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of population community analysis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Gyebangsan area Kangwon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 84-99. 

  37. Shim, S. H.(2001) Water space and city marketing: London, Syracuse, Sophia-Antipolis, and Copenhagen.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4(2): 27-43. 

  38. The Ornithological Society of Korea(2009) Checklist of the birds of Korea. Hanrimwon Limited Company 133pp. 

  39. Yoo, C. S. and H. G. Park(2007)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rm dam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2(6): 940-954. 

  40. Yoon, I. B., S. J. Aw and J. I. Kim(1989) Study on the structures of aquatic insect communities at five wetlands in Gyungsang-Bukdo, Korea. The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7: 19-32. 

  41. Yoon, J. D., M. H. Jang, M. C. Kim, G. S. Nam, S. J. Hwang and G. J. Joo(2006) The characterization of fish communities in agricultural reservoi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115: 131-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