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발된 광학적 흐림이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uced Dioptric Blur on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2 = no.55, 2014년, pp.261 - 270  

김창진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최은정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인위적으로 유발된 광학적 흐림이 원거리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Optec^{(R)}$ 6500으로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평균연령 $22.90{\pm}1.92$세의 대학생 31명(남자 16명, 여자 1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완전교정값을 구하였고, 광학적 흐림은 S0.00 D~S+3.00 D(+0.50 D step)까지 시험렌즈를 시험테에 장입하여 검사하였다. 원거리 시력과 대비감도는 $Optec^{(R)}$ 65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검사환경은 명소시 조건하에서 양안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원거리 시력은 광학적 흐림의 양이 증가하면 감소되었고, 시력의 감소율(decrease rate)은 점점 작아졌다. 대비감도는 광학적 흐림의 양이 증가하면 모든 공간주파수의 대비감도가 감소되었고, 정점대비감도는 중간 공간주파수(6 cpd)에서 낮은 공간주파수(1.5 cpd)로 이동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시력은 최고시력에서 약 0.77까지 구간에서만 정상적인 대비감도의 정점인 6 cpd의 공간주파수에서 정점을 나타내었다. 결론: 적은 양의 굴절이상을 교정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굴절교정상태이면, 적은 양이라 할지라도 대비감도가 저하되고 비정상적으로 정점대비감도가 이동하여 일상생활에 시각적 불편함을 야기할 수도 있으므로 항상 주기적인 시력검사와 신중한 안경처방값을 결정하여야 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study the effect of an artificially induced dioptric blur on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using the $Optec^{(R)}$ 6500. Methods: Healthy 31 subjects aged $22.90{\pm}1.92$ (male 16, female 15) who were recrui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ith 6/6 (20/20) or bet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인위적으로 유발된 광학적 흐림이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임상적으로 적절한 안경처방을 위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비감도는 무엇을 제공해주는가? 대비감도함수는 시각 시스템[1,3,4]과 다양한 질환 상태[5-8]에 따른 시각적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대비감도는 공간주파수와 대비변화를 이용하여 시각적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일반 시력표를 이용한 시력측정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시각적 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 대한 더 많은 시기능 정보를 제공해 준다.[9-11] 대비감도는 시표의 크기와 밝기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시기능을 나타내므로,[12] 일반적인 시력검사로는 밝혀내지 못하는 시각적 능력의 차이를 밝혀내는 데에도 아주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광학적 흐림을 이용한 기존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망막 상의 질에 따른 시각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인위적 흐림을 유발시켜 평가하기도 하는데, 굴절이상과 연관해서는 광학적 흐림을 이용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하였다. Peter 등[26]은 여러 가지 환경(광학적 흐림 (dioptric blur), 확산적 흐림(diffusive blur), 망막 편심(retinal eccentricity))에서 문자와 격자시표를 이용한 대비 감도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Frank[37]는 총 3단계의 광학적 흐림(S+1.00 D, S+2.00 D, S+3.00 D)을 유발시켜 Vistech대비감도 시표를 이용하여 대비감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Frank 등[38]은 광학적 흐림을 유발시켰을 때 스넬렌 시표로 측정한 시력과 격자 시표로 측정한 시력의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Russell 등[39]은 굴절이상이 교정되지 않으면 대비감도가 낮게 측정될 수 있으며, 안질환이나 다른 신경학적 질환으로 오인될 소지가 있고, 0.50 D 정도의 적은 굴절이상이라도 높은 공간주파수 영역에서는 넓은 범위로 대비감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렇게 적은 양의 굴절이상을 교정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굴절교정상태이면, 적은 양이라 할지라도 대비감도가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시각적 불편함을 야기할 수도 있다.
대비감도란 무엇인가? 대비감도함수는 시각 시스템[1,3,4]과 다양한 질환 상태[5-8]에 따른 시각적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대비감도는 공간주파수와 대비변화를 이용하여 시각적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일반 시력표를 이용한 시력측정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시각적 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 대한 더 많은 시기능 정보를 제공해 준다.[9-11] 대비감도는 시표의 크기와 밝기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시기능을 나타내므로,[12] 일반적인 시력검사로는 밝혀내지 못하는 시각적 능력의 차이를 밝혀내는 데에도 아주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Campbell FW, Robson JG. Application of fourier analysis to the visibility of gratings. J Physiol. 1968;197(3):551-566. 

  2. Blakemore C, Campbell FW. On the existence of neurones in the human visual system selectively sensitive to the orientation and size of retinal images. J Physiol. 1969;203(1):237-260. 

  3. Campbell FW, Green DG. Optical and retinal factors affecting visual resolution. J Physiol. 1965;181(3):576-593. 

  4. Blakemore C, Nachmias J, Sutton P. The perceived spatial frequency shift: evidence for frequency-selective neurones in the human brain. J Physiol. 1970;210(3):727-750. 

  5. Bodis-Wollner I, Diamond SP. The measurement of spatial contrast sensitivity in cases of blurred vision associated with cerebral lesions. Brain. 1976;99(4):695-710. 

  6. Arden GB. The importance of measuring contrast sensitivity in cases of visual disturbance. Br J Ophthalmol. 1978;62(4):198-209. 

  7. Hess R, Woo G. Vision through cataract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78;17(5):428-435. 

  8. Bodis-Wollner I. Detection of visual defects using the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Int Ophthalmol Clin. 1980;20(1):135-153. 

  9. Sekuler R, Owsley C, Hutman L. Assessing spatial vision of older people. Am J Optom Physiol Optics. 1982;59(12):961-968. 

  10. Jindra LE, Zemon V. Contrast sensitivity testing: a more complete assessment of vision. J Cataract Refract Surg. 1989;15(2):141-148. 

  11. Heitzmann J, Binder PS, Kassar BS, Nordan LT. The correction of high myopia using the excimer laser. Arch Ophthalmol. 1993;111(12):1627-1634. 

  12. Bodis-Wollner I, Camisa JM. Contrast sensitivity measurement in clinical diagnosis, In: Lessell S, van Dalen JTW, editors. Neuro-ophthalmology. Amsterdam: Excerpta Medica, 1980;373-401. 

  13. Regan D, Silver R, Murray TJ.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in multiple sclerosis-hidden visual loss: an auxilary diagnostic test. Brain. 1977;100(3):563-579. 

  14. Kim CJ, Kim HJ, Kim JM.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at Near Between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and Single Vision Lenses. J Korean Oph Opt Soc. 2010;15(4):381-388. 

  15. Kim HJ, Kim HJ, Cho SH, Cho BJ, Choi KY, Chung KH, et al.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with ACV(Visual Capacity Analyzer) in Different Types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04;45(6):945-951. 

  16. Paik JS, Kim MJ, Park SH, Joo CK.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of Different Edge Designed Intraocular Len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7;48(2):259-265. 

  17. Kim HS, Kim SW, Ha BJ, Kim EK, Kim TI. Ocular Aberrations and Contrast Sensitivity in Eyes Implanted with Aspheric and Spherical Intraocular Len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8):1256-1262. 

  18. Yoon JU, Chung JL, Hong JP, Ha BJ, Kim TI, Kim EK. Comparison of Wavefront Analysis and Visual Function Between Monofocal and Multifocal Aspheric Intraocular Len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2):195-201. 

  19. Jeong JH, Kim MK, Wee WR, Lee JH. Comparison of Optical Performances in Eyes Implanted With Aspheric and Spherical Intraocular Lenses After Cataract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1):1445-1452. 

  20. Kang EC, Kim EK, Kim TI. Comparisons of Visual Acuity, Spherical Aberration and Contrast Sensitivity among Spheric, Aspheric $ReSTOR^{(R)}$ , and Crystalens $HD^{(R)}$ Len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11):1275-1280. 

  21. Jun JB, Lee JE, Lee JS. A Comparative Study for Mesopic Contrast Sensitivity between Keratectomy(PRK)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LASIK). J Korean Ophthalmol Soc. 2004;45(10):1724-1730. 

  22. Hong JT, Lee J, Kim JY, Kim MJ, Tchah H. Clinical Results of Wavefront-guided LASIK.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1):1438-1444. 

  23. Bae K, Keum JE, Chung TY, Chung ES. LASIK for Myopia with Presbyopia Using the Aspheric Micro-Monovision Technique.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11-19. 

  24. Woo GC, Dalziel CC. A pilot study of contrast sensitivity assessment of the cam treatment of amblyopia. Acta Ophthalmol. 1981;59(1):35-37. 

  25. Shan Y, Moster ML, Roemer RA, Siegfried JB. Abnormal function of the parvocellular visual system in anisometropic amblyopia. J Pediatr Ophrhalmol Strabismus. 2000;37(2):73-78. 

  26. Peter RH, Harold EB. Contrast sensitivity for letter and grating targets under various stimulus conditions. Optom Vis Sci. 1989;6611):774-781. 

  27. Thorn F, Schwartz F. Effects of dioptric blur on Snellen and grating acuity. Optom Vis Sci. 1990;67(1):3-7. 

  28. Thorn F. Effects of dioptric blur on the vistech contrast sensitivity test. Optom Vis Sci. 1990;67(1):8-12. 

  29. Hohberger B, Laemmer R, Adler W, Juenemann AG, Horn FK. Measuring contrast sensitivity in normal subjects with OPTEC 6500: influence of age and glar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7;245(12):1805-1814. 

  30. Rocha KM, Soriano ES, Chalita MR, Yamada AC, Botts K, Botts J, et al. Wavefront analysis and contrast sensitivity of aspheric and spherical intraocular lenses: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Am J Ophthalmol. 2006;142(5):750-756. 

  31. Chung SA. Measuring photophobia using Optec $6500^{(R)}$ in children with intermittent exotropi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0;3-33. 

  32. Hitchcock EM, Dick RB, Krieg EF. Visual contrast sensitivity testing: a comparison of two F.A.C.T. test types. Neurotoxicol Teratol. 2004;26(2):271-277. 

  33. Terzi E, Bhren J, Wesemann W, Kohnen T. [Frankfurt- Freiburg Contrast and Acuity Test System (FF-CATS). A new test to determine contrast sensitivity under variable ambient and glare luminance levels]. Ophthalmologe. 2005;102(5):507-513. 

  34. Ginsburg AP. Contrast sensitivity: determining the visual quality and function of cataract, intraocular lenses and refractive surgery. Curr Opin Ophthalmol. 2006;7(1):19-26. 

  35. Larsson E, Rydberg A, Holmstrm G. Contrast sensitivity in 10 year old preterm and full term children: a population based study. Br J Ophthalmol. 2006;90(1):87-90. 

  36. Ginsburg AP, Evans DW, Cannon MW Jr, Owsley C, Mulvanny P. Large-sample norms for contrast sensitivity. Am J Optom Physiol Opt. 1984;61(2):80-84. 

  37. Thorn F, Schwartz F. Effects of dioptric blur on the vistech contrast sensitivity test. Optom Vis Sci. 1990;67(1):8-12. 

  38. Frank T, Faye S. Effects of dioptric blur on snellen and grating acuity. Optom Vis Sci. 1990;67(1):3-7. 

  39. Russell LW, Niall CS, David AA. Measuring contrast sensitivity with inappropriate optical correction. Ophthal Physiol optics. 2000;20(6):442-451. 

  40. Ginsburg AP. A new contrast sensitivity vision test chart. Am J Optom Physiol Opt. 1984;61(6):403-407. 

  41. Della Sala S, Bertoni G, Somazzi L, Stubbe F, Wilkins AJ. Impaired contrast sensitivity in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retinopathy: a new technique for rapid assessment. Br J Ophthalmol. 1985;69(2):136-142. 

  42. Hyvarinen L. Classification of visual impairment and disability. Bull Soc Belge Ophthalmol. 1985;215:1-16. 

  43. Regan D, Giaschi DE, Fresco BB. Measurement of glare sensitivity in cataract patients using low-contrast letter charts. Ophthalmic Physiol Opt. 1993;13(2):115-123. 

  44. Pelli DG, Robson JG, Wilkins AJ. The design of a new letter chart for measuring contrast sensitivity. Clin Vision Sci. 1988;2(3):187-199. 

  45. Ginsburg AP. Contrast sensitivity and functional vision. Int Ophthalmol Clin. 2003;43(2):5-15. 

  46. Lee EJ, Yoon MJ, Kim SH, Yang GT, Jeong JH, Kim HJ, et al. Changes of contrast sensitivity with decreasing luminance in photopic conditions. J Korean Oph Opt Soc. 2013;17(4):411-417. 

  47. Field DJ. Relations between the statistics of natural images and the response properties of cortical cells. J Opt Sot of Am A. 1987;4(12):2379-2394. 

  48. Vries HL. The quantum character of light and its bearing upon threshold of vision, the differential sensitivity and visual acuity of the eye. Physica. 1943;10(7):553-564. 

  49. Oen FT, Lim TH, Chung MP. Contrast sensitivity in a large adult population. Ann Acad Med Singapore. 1994;23(3):322-326. 

  50. You YC, Choi TH, Lee HB. Normal contrast sensitivity for various ag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1):150-156. 

  51. Ratliff F. Mach Bands: Quantitative Studies on Neural Networks in the Retina. San Francisco: Holden-Day, 1965;1-365. 

  52. Kelly DH, Magnuski HS. Pattern detection and the twodimensional fourier transform: Circular targets. vision res. 1975;15(8-9):911-9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