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역의 홍수기 방류에 의한 수로별 유속 잔차 및 염분 분포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Residual Current and Salin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Freshwater Discharge during Monsoon in Nakdong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6 no.3, 2014년, pp.184 - 195  

송진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윤병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김종욱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임채욱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우승범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구역하구둑이 건설된 이후, 담수는 갑문 개폐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방출되고 해수유입은 하구둑에 의해 억제되어왔다. 이로 인해 인위적인 수문 개방에 의한 해수와 담수의 수렴 및 혼합은 낙동강 하구역의 해수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기 방류 중 낙동강 하구역의 수로별 유동 환경과 하구 흐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유속 및 염분 관측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형적 특징 및 방류의 영향에 의해 수로별 유속 및 염분 분포 특징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역의 홍수기 방류에 의한 영향은 각 수로별 잔차유속 및 염분 수직분포에 다르게 작용하며, 지형적 특징은 염분침투 범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염의 물이 정체되는 구간이 존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building the dyke in Nakdong River Estuary, mixing of freshwater inflow to ocean and seawater to upstream is controlled by operating the sluice gates. Mixing and convergence of seawater and freshwater by opening the sluice gates, have a major impact on the circulation of seawater in the Nakd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둑이 건설된 후 낙동강 유역 유동 환경은 무엇에 따라 변화하는가?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 낙동강 유역 유동환경은 수문의 운영에 따라 변화하게 되었으며, 하구둑 건설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구둑 건설 이후 장자도와 백합등 부근에서 조시에 따른 수문 개폐로 인해 담수와 해수와 급작스럽게 만나면서 밀도류와 지형적인 영향, 조류의 영향 등으로 순환과정이 복잡하게 되었다(Ryu and Chang, 1979).
낙동강의 동쪽지류에 하구둑이 완공된 이유는 무엇인가? 1987년 홍수 조절 및 용수 공급 등의 이유로 낙동강의 동쪽지류에 총 길이 2,230 m의 하구둑이 완공되었으며, 하구둑 건설 후 기존 수로의 변경을 위해 매립과 준설이 이루어지면서 낙동강 하구는 새로운 해양환경이 형성되었다. 이렇듯 연안에 방조제를 건설하거나 매립공사를 실시하는 경우 평형 상태의 해양환경이 평형을 상실하여 새로운 역학 평형을 이루려는 방향으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Kim, 1992).
해양환경이 평형을 상실한 예로는 무엇이 있는가?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 낙동강 유역 유동환경은 수문의 운영에 따라 변화하게 되었으며, 하구둑 건설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구둑 건설 이후 장자도와 백합등 부근에서 조시에 따른 수문 개폐로 인해 담수와 해수와 급작스럽게 만나면서 밀도류와 지형적인 영향, 조류의 영향 등으로 순환과정이 복잡하게 되었다(Ryu and Chang, 1979). 또한, 수치모델을 이용한 연구 또한 수행되었으며, 하구둑이 건설되기 전의 염분의 침투(H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N. Y., Yoon B. I., Kim J. W., Song J. I., Lim E. P., Woo S. B. (2012). The Relation of Cross-sectional Residual Current and Stratification during Spring and Neap Tidal Cycle at Seokmo Channel, Han River Estuary Located at South Korea. J. Kor. Soc. Coast. Ocean Eng, 24(3), 149-158. 

  2. Han K. M., Kim K. C., Kim J. J. (1993). A Study on the Flow Patterns on the Myunggi-Noksan Region due to Reclamation.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7(1), 441-454. 

  3. Han J. S., Park S. K., Jung S. W., Roh T. Y. (2011), The Study of Salinity Distribu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J. Kor. Soc. Coast. Ocean Eng, 23(1), 101-108. 

  4. Jang S. T., Kim K. C. (2006). Change of Oceanographic Environment in the Nakdong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1(1), 11-20. 

  5. Joyce, T.M.(1989). On In Situ "Calibration" of Shipboard ADCPs. J.Atmos. Oceanic Technol., 6, 169-172. 

  6. Kim J. W., Yoon B. I., Song J. I., Lim C. W., Woo S. B. (2013).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Residual Current and Salinity according to Freshwater Discharge in Yeoungsal River Estuary. J. Kor. Soc. Coast. Ocean Eng, 25(2), 103-111. 

  7. Kim, K.C., Kim, J.J., Kim, Y.E., Han, K.M., Choi, K.K. and Jang, S.T. (1996). Outflow characteristics of Nakdong River plume. J. Kor. Soc. Coast. Ocean Eng., 8(4), 305-313. 

  8. Kim, Y. E. (1992). Hydrological research of Nakdong river estuary.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Inje University, Vol 1. 77-86. 

  9. Kim, Y. J. (2004).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awater movement and diffusion of pollutants due to the freshwater inflow in the Nakdong estuary. MS Thesis, Inje University. 

  10. Kreeke, J. van de (1992). Residual flow in Naples Bay and its effect on constituent concentration, constituent flux and residence time. Dynamics and Exchanges in Estuaries and the Coastal Zone (D. Prandle, Ed.), AGU, 117-133. 

  11. Lee D. H., Yoon B. I., Kim J. W., Gu B. H., Woo S. B. (2012). The Cross-sectional Mass Flux Observation at Yeomha Channel, Gyeonggi Bay at Spring Tide During Dry and Flood Season. J. Kor. Soc. Coast. Ocean Eng, 24(1), 16-25. 

  12. Lwiza, K. M. M., D. G. Bowers, and J. H. Simpson (1991). Residual and tidal flow at a tidal mixing front in the North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11(11), 1379-1395. 

  13. Preisendorfer, R. W. and C. D. Mobley (1988).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Elsevier,425p. 

  14. Ryu C. R., Chang S. D. (1979). Tide and Tidal Current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 71-77. 

  15. Valle-Levinson, A (1999). Spatial gradients in the flow over an estuarine channel. Estuaries, 22, 179-193. 

  16. Yanagi, T., Manabu, M., Nomuram M. and Furukawa, K. (2003). Spring-neap tidal variation of residual flow in Tokyo Bay, Japan. Continental Shelf Research, 23, 1087-1097. 

  17. Yu, H. S. and Lee, J., Kang, H.J., Kang, S.R., Shoi, K. S. and Kim, J. S. (1993). Lateral spreading of a river plume and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s in the Nakdong estuary. J. Kor. Soc. Coast. Ocean Eng., 5(4), 296-3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