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에서 수분의 함량에 따른 셀의 전기 화학적 특성 연구
The Study on the Cell Electrochemical Properties with Increasing Water content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5 no.3, 2014년, pp.289 - 296  

서현우 (홍익대학교 재료공학부) ,  김동민 (홍익대학교 재료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re, we have studied the effect of water added electrolyte on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It was found that open-circuit voltage ($V_{oc}$) increased and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j_{sc}$)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amou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3) 전해질 용액 내의 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셀의 jsc 값이 감소하는 이유는 TiO2 광 전극의 conduction band 띠가 위로 이동하여 염료에서 여기 된 전자가 TiO2 광 전극으로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이는 전해질에 포함된 물의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즉, 물이 첨가된 전해질 용액들의 산화환원 potential이 거의 유사하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장점은 무엇인가? 1세대 태양전지인 실리콘 태양전지는 현재 25% 수준의 높은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고 있지만, 고가의 원재료와 특수 공정으로 인한 대량화의 어려움으로 비효율적이라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많은 차세대 태양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s)는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저렴한 원재료, 제조 공정이 간편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또한 염료 특유의 색상으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3-5).
태양전지의 장점은 무엇인가? 많은 대체 에너지들 중에서도 태양전지는 친환경적이고 무한한 태양에너지를 에너지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화석연료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에너지원으로 관심이 집중 되고 있다2). 태양전지는 1839년 Edmond Becquerel이 광기전 효과를 발견한 이후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와 같은 차세대 태양전지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태양전지는 1839년 Edmond Becquerel이 광기전 효과를 발견한 이후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1세대 태양전지인 실리콘 태양전지는 현재 25% 수준의 높은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고 있지만, 고가의 원재료와 특수 공정으로 인한 대량화의 어려움으로 비효율적이라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많은 차세대 태양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s)는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저렴한 원재료, 제조 공정이 간편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또한 염료 특유의 색상으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achet, C. Johansson TB, et al. (eds) "Renewable energy: sources for fuels and electricity", Washington, D.C.: Island Press, 1993. p. 1. 

  2. A. J. Appleby and F. R. Foulkes, "Fuel Cell Handbook",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89). 

  3. M. Gratzel, "Photoelectrochmical cells", Nature Vol. 414, 2001, p. 338. 

  4. Martin A. Green, K. Emery, Y. Hishikawa, W. Warta, Ewan D, Dunlop, "Solar cell efficiency tables (version 39)", Prog. Photovoltaics Vol. 20, 2012, p. 12. 

  5. J.H. Lee, D.G. Lim, J.S. Lee, "Principles of Solar Cells", Hong Reunggwahakchulpansa, 2005. 

  6. B. O'Regan, M. Gratzel, "A low-cost, high-efficiency solar cell based on dye-sensitized colloidal $TiO_2$ films", Nature Vol. 353, 1991, p. 737. 

  7. K. Kalyanasundaram, "FUNDAMENTAL SCIENCES DYE-SENSITIZED SOLAR CELL", EPFL Press, 2010. 

  8. H. Zhao, X. Yin, H. Li, Y. Lin, Y.-X. Weng, "Explanation of Effect of Added Water on Dye-Sensitized Nanocrystalline $TiO_2$ Solar cell: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and Carrier Relaxation Kinetics", Chin. Phys. Lett. Vol. 24, 2007, p. 3272. 

  9. S. Mikoshiba, S. Murai, H. Sumino, T. Kado, D. Kosugi, S. Hayse, "Ionic liquid type dye-sensitized solar cells: increases in photovoltaic performances by adding a small amount of water", Curr. Appl. Phys. Vol. 5, 2005, p. 152. 

  10. H.-L. Lu, T. F.-R. Shen, S.-T. Huang, Y.-L. Tung, T. C.-K. Yang, "The degradation of dye-sensitized solar cell in the presence of water isotopes", Sol. Energy Mater. Sol. Cells Vol. 95, 2011, p. 1624. 

  11. T. Daeneke, Y. Uemura, N. W. Duffy, A. J. Mozer, N. Koumura, U. Bach, L. Spiccia, "Aqueous Dye- Sensitized Solar cell Electrolytes Based on the Ferricyanide-Ferrocyanide Redox Couple", Adv. Mater. Vol. 24, 2012, p. 1222. 

  12. W. H. Lai, Y. H. Su, L. G. Teoh, M. H. Hon, "Commercial and natural dyes as photosensitizers for a water-based dye-sensitized solar cell loaded with gold nanoparticles", J. Photochem. Photobiol. A-Chem. Vol. 195, 2008, p. 307. 

  13. Y. Liu, A. Hagfeldt, X.-R. Xiao, S.-E. Lindquist, "Investigation of influence of redox species on the interfacial energetics of a dye-sensitized nanoporous $TiO_2$ solar cell", Sol. Energy Mater. Sol. Cells Vol. 55, 1998, p. 267. 

  14. C. Law, S. C. Pathirana, X. Li, A. Y. Anderson, P. R. F. Barnes, A. Listorti, T. H. Ghaddar, B. C. O'Regan, "Water-Based Electrolyt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Adv. Mater. Vol. 22, 2010, p. 4505. 

  15. Y.-S. Jung, B. Yoo, M. K. Lim, S. Y. Lee, K.-J. Kim, "Effect of Triton X-100 in water-added electrolytes on the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Electrochim. Acta Vol. 54, 2009, p. 6286. 

  16. D.-W. Seo, S. Sarker, N. C. D. Nath, S.-W. Choi, A. J. S. Ahammad, J.-J. Lee, W.-G. Kim, "Synthesis of novel imidazolium-based electrolytes and application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Electrochimica Acta Vol. 55, 2010, p. 1483. 

  17. Z. Zhang, N. Evans, S. M. Zakeeruddin, R. H.-Baker, M. Gratzel, "Effect of $\omega$ -Guanidinoalkyl Acids as Coadsorbent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J. Phys. Chem. C Vol. 111, 2007, p. 398. 

  18. K. Zhu, S.-R. Jang, A. J. Frank, "Effects of water intrusion on the charge-carrier dynamics,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Energy Environ. Sci. Vol. 5, 2012, p. 9492. 

  19. E. M. Barea, J. Ortiz, F. J. Paya, F. F.-Lazaro, F. F.-Santiago, A. S.-Santos, J. Bisquert, "Energetic factors governing injection, regeneration and recombination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with phthalocyanine sensitizers", Energy Environ. Sci. Vol. 3, 2010, p. 1985. 

  20. S. Sarker, H. W. Seo, D. M. Kim, "Calculating current density-voltage curves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A straight-forward approach", J. Power Sources Vol. 248, 2014, p. 739. 

  21. S. Sarker, H. W. Seo, D. M. Kim,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with thermally degraded N719 loaded $TiO_2$ ", Chem. Phys. Lett. Vol. 585, 2013, 193. 

  22. Z. Zhang, S. M. Zakeeruddin, B. C. O'Regan, R. H. -Baker, M. Gratzel, "Influence of 4-Guanidinobutyric Acid as Coadsorbent in Reducing Recombination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J. Phys. Chem. B Vol. 109, 2005, p. 21818. 

  23. S.-J. Park, K. Yoo, J.-Y. Kim, J. Y. Kim, D.-K. Lee, B. Kim, H. Kim, J. H. Kim, J. Cho, M. J. Ko, "Water-Based Thixotropic Polymer Gel Electrolyt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ACS Nano Vol. 7, 2013, p. 4050. 

  24. M. Kaneko, T. Nomura, C. Sasaki, "Photoinduced Charge Separation in an Aqueous Phase Using Nanoporous $TiO_2$ Film and a Quasi-Solid Made of Natural Products", Macromol. Rapid Commun. Vol. 24, 2003, p. 4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