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색상 및 적용위치에 따른 DSC 통합창호 디자인 컨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oncept of DSC Window by Color and Installation Position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4 no.4, 2014년, pp.91 - 99  

이기원 (세명대학교 대학원 건설공학과) ,  이응직 (세명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pprehend the preference of occupants to colors and installation locations for DSC combined windows and doors, and suggest a concept to optimize the design and function of windows and doors. A miniature model was made applying green, blue, and red colored DSC window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창호의 경우 기본 기능인 채광 및 조망 등을 해치지 않는 조건 충족이 기존 결정형으로는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지만 창호 통합형 DSC의 경우 외부조망 뿐만 아니라 채광성능의 가시광선 투과율, 실내조도와 주광율, 실내 불쾌현휘 지수2)등의 성능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호 통합형 DSC의 색상과 적용위치에 따른 재실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 및 창호기능의 최적화를 위한 콘셉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제작되는 DSC를 창호에 통합시킴에 있어 실내 빛 환경과 재실 자 들이 느끼게 될 시각적, 심리적 상태에 입각한 색상과 적용위치 별 선호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DSC 통합창호를 위한 최적화 컨셉 제안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헌조사를 통해 DSC의 물리적 특성과 통합창호 적용 시 나타날 수 있는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적 측면에서 창호 통합형 DSC의 색상 및 설치에 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PV 적용부위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3MW에 달하는 신규 BIPV적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1)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BIPV 적용부위는 지붕이 67%이며 나머지가 커튼월 및 창호이고, 적용모듈의 대부분은 결정계가 주도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근년에는 고효율,저비용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투과성과 단
창호에 염료 감응형(DSC_Dye-sensitizedSolar Cell)태양전지가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염료 감응형(DSC_Dye-sensitizedSolar Cell)태양전지는 3세대에 속하는 신기술로서, 기존의결정계 대비 저비용 생산구조 속에서도 상당한 효율 및 투과성확보로 지붕과 외벽이라는 제한적 적용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띄고 있어 관련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즉 창호의 경우 기본 기능인 채광 및 조망 등을 해치지 않는 조건 충족이 기존 결정형으로는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지만 창호 통합형 DSC의 경우 외부조망 뿐만 아니라 채광성능의 가시광선 투과율, 실내조도와 주광율, 실내 불쾌현휘 지수2)등의 성능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호 통합형 DSC의 색상과 적용위치에 따른 재실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 및 창호기능의 최적화를 위한 콘셉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염료 감응형(DSC_Dye-sensitizedSolar Cell)태양전지의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염료 감응형(DSC_Dye-sensitizedSolar Cell)태양전지는 3세대에 속하는 신기술로서, 기존의결정계 대비 저비용 생산구조 속에서도 상당한 효율 및 투과성확보로 지붕과 외벽이라는 제한적 적용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띄고 있어 관련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즉 창호의 경우 기본 기능인 채광 및 조망 등을 해치지 않는 조건 충족이 기존 결정형으로는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지만 창호 통합형 DSC의 경우 외부조망 뿐만 아니라 채광성능의 가시광선 투과율, 실내조도와 주광율, 실내 불쾌현휘 지수2)등의 성능을 충족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Oh M. H. et al, A Study on the Optimal Window Floor Ratio According to Transmitance of Dye Sensitized Solar Cell(DSSC) by Analysis of Daylighting performance and Glare Index of Transmitance, Proceedings of the KSES 2009 Autumn Annual Conference, Vol. 29, No. 2, pp. 92-97, 2009 

  2. Kim H. J., The effect of space production by window and its application as factor of architectural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1996 

  3. Sim S. R. et al, An Evaluation of Application Possibility of Window System in the Building based on Optim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SSC,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Society, Vol. 31, No. 3, pp. 67-72, 2011 

  4. Kim Hyo-Jung et al, Assessment of Proper Application Domain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DSSC) Window by Analysis of Daylighting Performance and Preferred Color,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Planning & Design), Vol. 28, No. 6, pp. 275-282, 2012 

  5. Kim Hee-Je, Seok Young-Kuk, Kim Ming-Chul, A Study on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Dye Sensitized Solar Cell, Korea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2009 No. 3, pp. 467-470, 2009 

  6. Kim Yong Chul, A Study on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Dye Sensitized Solar Cell, Pusan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2009 

  7. www.motie.go.kr 

  8. www.fnnews.com, 2013. 9. 15. 

  9. www.borderstep.de 

  10. http://de.wikipedia.org, 

  11. www.heise.de/ 

  12. www.dyesol.co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