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파리 피해 실태 및 산업적 이용 방향
A Study on Direction of Industrial Utilization for Jellyfish in Korea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6 no.3 = no.69, 2014년, pp.587 - 596  

김대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이정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김도훈 (부경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direction of industrial utilization for harmful jellyfish which appears in large quantities in the Korean coastal areas. If the technology of industrial utilization for the jellyfish is developed, it will be possible to grow the industry to the export industry due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 해파리가 대량 출현은 여름철 약 3개월에 집중되고 있어 안정적인 가공물량의 확보를 위해서는 대량 출현 시기에 집중적으로 생산되어야 한다. 따라서 해파리 구제 또는 수거시스템을 확립하고 나아가서는 해파리의 포획도 검토해 나간다. 즉 현재 가동되고 있는 해파리 모니터링의 결과를 참고해서 어업 피해가 발생하기 전에 해파리를 포획한다면 그만큼 여러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해파리 원료의 대량 확보도 가능하게 된다.
  • 또한 어구에 해파리가 걸리면 어구가 파손되거나 조류의 저항을 받게 되어 해파리 제거에 시간이 걸리므로 조업 지연 및 어획물 선도 저하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어업의 피해 중 어획량 감소 피해와 상품가치 하락 피해에 대해 정량적인 분석을 하였다. 우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해파리에 의한 어획량 감소를 추정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대량 출현하고 있는 해파리를 대상으로 산업적인 활용 방향을 모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최근 우리나라 주변수역에서 해파리가 대규모로 광범위하게 출현하면서 어업은 물론 다른 분야에도 피해를 입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파리를 단순한 해적 또는 구제해야 하는 생물이 아닌 자원화의 시각에서 산업적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주로 맹독성인 작은부레관해파리, 커튼원양해파리, 입방해파리 등이 해수욕객에게 피해를 준다. 여기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전국 최대 해수욕장이 밀집해 있는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을 사례로 해파리로 인해 해수욕장이 일시 폐장이 될 경우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해파리 피해로 추정하였다. 부산에는 7개소의 해수욕장이 있는데 연간 약 3,400만 명이 방문한다.
  •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역에서 대량으로 번식·출현하고 있는 해파리를 대상으로 자원화 관점에서 산업적인 활용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아울러 해파리 식품개발을 위해 민·관·학·연의 참여로 해파리 식품 파일럿사업도 추진해 나간다. 이를 통해 저렴한 가공기술, 염장 가공품 이외에 다양한 조리법이 포함된 매뉴얼을 개발한다. 이것이 실현된다면 국내산 해파리 가공비용의 절감, 해파리 가공 및 제품의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해파리가 어구에 대량 유입되면 제거에 시간이 걸리고 어획물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기 때문에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여기서는 신선도 저하와 상품가치 하락이 동일한 비중으로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파리의 대량 발생 원인은? 국내외적으로 해파리의 대량 출현으로 인해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해파리의 대량 발생은 1960년대 이후 연안개발 및 환경 오염, 수산자원 감소, 지구온난화 등에 의해 해양환경이 해파리 번식․서식에 양호하게 조성되었기 때문으로 알려지고 있다(Parsons, T. R.
해수욕장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해파리들은? 먼저 해파리로 인한 해수욕장 피해는 휴가기인 여름철에 해수욕객 쏘임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주로 맹독성인 작은부레관해파리, 커튼원양해파리, 입방해파리 등이 해수욕객에게 피해를 준다. 여기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전국 최대 해수욕장이 밀집해 있는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을 사례로 해파리로 인해 해수욕장이 일시 폐장이 될 경우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해파리 피해로 추정하였다.
해파리 발생 전망은? , 2002). 해파리는 적응력과 번식력이 강한 생물로서 앞으로도 대량 발생과 종의 다양화 및 대형화가 예상되고 있어 수산자원과 해양생태계를 크게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Purcell J 2005, Lynam C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usan development institute(BDI)(2012). Maximization Plan of Beach Open Period, BDI. Focus, 4. 

  2. China Agriculture Press(2013), China Fishery Statistical Yearbook, 29. 

  3. FAO(2013), Review of Jellyfish Blooms in the Mediterranean and Black Sea, 32-33. 

  4. FAO, Fishstat. J. 

  5. Japan Fisheries Research Agency(2007). Processing Manual of Large Jellyfish. 

  6. Japan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 Associations(JNFFCA) Homepage, http://www.jf-net.ne.jp/fpo/yugai/. 

  7. Kang, Young-Sil Park, Mi-Sun Park, Young-Tae(2009). Appearance, Ecology and Countermeasures for Oceans' UFO Jellyfish, Academybook, 7-10. 

  8. KHNP(2009). Verification of the High Speed Screens for Prevention of Bio-impingement against Power Plant Intake, 7-11. 

  9. Lynam C Heath, M Hay, S & Brierley, A.(2005). Evidence for impacts by jellyfish on North Sea herring recruitment.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298: 157-167. 

  1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2).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to Remove Jellyfish (Internal Data). 

  1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A) (2009). Study Report of Preventing Jellyfish Damage, 16-32. 

  1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A) (2011). Final Study Report of Preventing Jellyfish Damage, 12-15. 

  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MOF)(2013), "2013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to prevent jellyfish damage", 9. 

  14.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NFRDI) (2004). Handbook for Jellyfish Monitoring in Korean Coastal Area, 8. 

  15.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NFRDI) Homepage, www.nfrdi.re.kr. 

  16.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NFRDI)(2008), Mass Occurrence of Jellyfish and its Prevention and Utilization, 81-98. 

  17. Parsons, T. R. & Lalli, C. M.(2002). Jellyfish population explosions: Revisiting a hypothesis of possible causes, La Mer 40: 111-121. 

  18. Purcell, J.(2005). Climate effects on formation of jellyfish and ctenophore blooms: a review.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85: 461-4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