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의 보습 효과
Moisturizing Effect of Jellyfish Collagen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2 no.2, 2016년, pp.153 - 162  

김동욱 ((주)더마랩 기술연구소) ,  백태선 ((주)더마랩 기술연구소) ,  김윤정 ((주)더마랩 기술연구소) ,  최성규 ((주)더마랩 기술연구소) ,  이대우 ((주)더마랩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해파리로부터 콜라겐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보습 효과는 caspase 14 발현, filaggrin, hyaluronan synthase-3 (HAS- 3), aquaporin-3 (AQP-3) 및 desmocollin (DSC)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spase 14 mRNA 발현은 비교물질인 retinoic acid (RA)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콜라겐 추출물은 2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211.7%, 139.9%, 212.5% 및 116.8%의 filaggrin, HAS-3, AQP-3 및 DSC 발현 증가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해파리 콜라겐 추출물은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oisturizing effects of collagen extract from jellyfish. The mositurizing effects were measured by the caspase 14 expression, filaggrin, hyaluronan synthase-3 (HAS-3), aquaporin-3 (AQP-3) and desmocollin (DSC). As a results, effect of caspase 14 mRNA express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해파리로부터 화장품 소재로서의 유효성을 규명하고 산업소재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겐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콜라겐 추출물로부터 보습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질층의 구조가 파괴되면 피부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각질층의 구조가 파괴되면 경피 수분 손실을 일으키고, 피부 소양감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외에도 피부의 화끈거림, 피부 벗겨짐, 피부의 갈라짐, 발작 등을 일으킬 수 있다[5].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피부 생리학적 기능을 무너트려 피부암(skin cancer), 노화(senescence), 홍반(erythema), 부종(edema)과 같은 염증을 유발하며, 인체에서 가장 흔하게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염증반응은 인체나 조직에 물리적 작용, 화학 물질, 세균 감염 등의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상처 부위를 복구하고 재생하려는 기전이 진행된다[6,7]. 따라서, 천연보습인자는 수분을 직접적으로 보유하거나 흡습하여 표피의 수분을 유지시키기에 중요하다.
피부에서의 수분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러한 피부의 고유 성질 외에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 있게 해주는 역할은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2]. 수분은 인체의 필요한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운반하는 작용을 하며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3].
각질층의 역할은 무엇인가?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은 외부 환경에 대한 일차 방어 기능을 담당하며, 외부로부터의 물리화학적 자극 및 미생물 등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고 체액, 수분의 증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한다[1]. 이러한 피부의 고유 성질 외에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 있게 해주는 역할은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O. K. Jacobi, About the mechanism of moisture regulation in the horny layer of the skin, Proc. Sci. Sect. Toilet Goods Assoc., 31(5), 24 (1959). 

  2. J. S. Park, Skin barrier and moisturizer, The Korean Society for Skin Barrier Research, 9(1), 11 (2007). 

  3. M. W. Greaves and J. Sondergaard, Pharmacological agents released in ultraviolet inflammation studies by continuous skin perfusion, J. Invest. Dermatol., 54(5), 365 (1970). 

  4. L. Hruza and A. P. Pentland, Mechanisms of UV-induced inflammation, J. Invest. Dermatol., 100(1), 35 (1993). 

  5. C. F. Nathan, Secretory products of macrophages, J. Clin. invest., 79(2), 319 (1987). 

  6. C. Maziere, M. A. Conte, J. Degonville, D. Ali, and J. C. Maziere, Cellular enrichment with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duces an oxidative stressand activates the transcription factors AP-1 and NF-kappaB, Biochem. Biophys. Res. Commun., 265(1), 116 (1999). 

  7. D. Gomez-Nicola, B. Valle-Argos, and M. Nieto-Sampedro, Blockade of IL-15 activity inhibits microglial activation through the NF-kappaB, p38, and ERK1/2 pathways, reducing cytokine and chemokine release, Glia, 58(3), 264 (2010). 

  8. P. M. Elias, S. K. Ahn, M. Denda, B. E. Brown, D. Crumrine, L. K. Kimutai, L. Komuves, S. H. Lee, and K. R. Feingold, Modulations in eqidermal calcium regulate the expression of differentiation specific markers, J. Invest. Dermatol., 119(5), 1128 (2002). 

  9. R. B. Prealand, M. K. Kuechle, S. P. Lewis, P. Fleckman, and B. A. Dale, Regulated expression of human filaggrin keratinocytes results in cytoskeletal disruption, loss of cell-celladhesion, and cell cycle arrest, Exp. Cell. Res., 270(2), 199 (2009). 

  10. M. Watanabe, H. Tagami, I. Horii, M. Takahashi, and A. M. Kligma, Functional analyses of the superficial stratum corneum in atopic xerosis, Arch. Dermatol., 127(11), 1689 (1991). 

  11. M. Hara, K. Kikuchi, M. Watanabe, M. Denda, J. Koyama, J. Nomura, I. Horii, and H. Tagami, Senile xerosis: functional,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J. Geriatr. Dermatol., 1, 111 (1993). 

  12. H. Sumino, S. Ichikawa, M. Abe, Y. Endo, Y. Nakajima, T. Minegishi, O. Ishikawa, and M. Kurabayashi, Effects of aging and postmenopausal hypoestrogenism on skin elastic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Japanese wome, Endocr. J., 51(2), 159 (2004). 

  13. S. Stevenson, L. D. Nelson, D. T. Sharpe, and M. J. Thornton, $17{\beta}$ -estradiol regulates the secretion of TGF- ${\beta}$ by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J. Biomater. Sci. Polym. Ed., 19(8), 1097 (2008). 

  14. J. B. Schmidt, Perimenopausal influence on skin, hair and appendages. Menopause-Andropause: hormone replacement therapy through the ages; new cognition and therapy concepts, eds. Krause and Pachernegg, 145, Mozart-gasse, Gablitz, Austria, (2001). 

  15. S. Gestios, A. G. Huen, and K. J. Green, Working out the strength and flexibility of desmososmes, Nat. Rev. Mol. Cell Biol., 5(4), 271 (2004). 

  16. S. K. Runswick, M. J. O'Hare, L. Jones, G. H. Streuli, and D. R. Giarrod, Desmosomal adhesion regulates epithelial morphogenesis and cell positioning, Nat. Cell Biol., 3(9), 823 (2001). 

  17. R. Windoffeer, M. Borchert-Stuhltrager, and R. E. Leube, Desmosomes: interconnective calcium dependent structures of remarkable stability with significant integral membrane protein turnover, J. Cell Sci., 115(8), 1717 (2002). 

  18. E. Donetti, M. Bedoni, E. Boschini, C. Dellavia, I. Barajon, and N. Gagliano, Desmocollin 1 and desmocollin 1 expression in human epidermis and keratinizing oral mucosa: a comparative immunohistochemical and molecular study, Arch. Dermatol. Res., 297(1), 31 (2005). 

  19. K. T. Kim, Y. H. Kim, J. G. Kim, C. S. Han, S. H. Park, and B. Y. Lee, Preparation of oligo hyaluronic acid by hydrolysis and its application as a cosmetic ingredient, J. Soc. Cosmet. Sci. Korea, 33(3), 189 (2007). 

  20. J. Necas, L. Bartosikova, P. Braunder, and J. Kolar, Hyaluronic acid (hyaluronan): a review, Vet. Med., 53(3), 397 (2008). 

  21. P. J. Lee, H. T. Kim, K. S. Yoon, H. C. Park, and H. Y. Ha, The effecct of Astragalus membranceus methanol extract on hyaluronic acid procudtion in HaCaT cells,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 26(1), 75 (2013). 

  22. H. J. Song, H. J. Mu, and S. H. Lee, Effect of Ferulic acid isolated from Cnidium officinaale on the synthesis of hyaluronic acid, J. Soc. Cosmet. Sci. Korea, 39(4), 281 (2013). 

  23. P. Agre, L. S. King, M. Yasui, W. B. Guggino, O. P. Ottersen, Y. Fujiyoshi, A. Engel, and S. Nielsen, Aquaporin water channels-from atomic structure to clinical medicine, J. Physiol., 542(1), 3 (2002). 

  24. M. Hara-Chikuma and A. S. Verkman, Aquaporin-3 function as a glycerol transporter in mammalian skin, Biol. cell., 97(7), 479 (2005). 

  25. J. H. Lim, Master's Thesis Dissertation, Dong-A Univ., Busan, Korea (2013). 

  26. T. Nagai, W. Worawattanamteekul, N. Suzuki, T. Nakamura, T. Ito, K. Fujiki, M. Nakao, and T. Yano,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from rhizostomous jellyfish, Food Chem., 70(2), 205 (2000). 

  27. Y. P Hsiehm, F. M. Leong, and J. Rudloe, Jellyfish as food, Hydrobiologia., 451(1), 11 (2001). 

  28. H. Y. Lee, Y. H. Kim, S. Y. Um, U. S. Jung, M. S. Chang, and N. H. Lee, Melanogenesis inhibition effects of Nemopilema nomurai hydrolized extracts, J. Soc. Cosmet. Sci. Korea., 40(4), 341 (2014). 

  29. A. Masuda, T. Baba, N. Dohmae, M. Yamamura, H. Wada, and K. Ushida, Mucin (qniumucin), a glycoprotein from jellyfish and determination of its main chain structure, J. Nat. Prod., 70(7), 1089 (2007). 

  30. J. F. Ding, Y. Y. Li, J. J. Xu, X. R. Su, X. Gao, and F. P. Yue, Study on effect of jellyfish collagen hydrolysate on anti-fatigue and anti-oxidation, Food hydrocoll., 25(5), 1350 (2011). 

  3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95). 

  32. Y. G. Ha, Master's Thesis Dissertation, Andong National Univ., Andong, Korea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