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균활성 식물근권세균 전 처리에 의한 감귤 궤양병 억제
Suppression of Citrus Canker by Pretreatment with Rhizobacterial Strains Showing Antibacterial Activity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0 no.2, 2014년, pp.101 - 106  

양지순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  강소영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  전용철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귤 궤양병Xanthomonas citri subsp. citri (Xcc)에 의해 발생하는 감귤에서 매우 중요한 병 중에 하나이다. 비록 한국에서 대부분 재배되는 감귤인 온주밀감은 감귤 궤양병에 대해 중도저항성이긴 하지만 지난 10년전 이래로 자주 발생되었다. 감귤에서 다른 병과 마찬가지로 감귤 궤양병도 포장에서 주로 화학농약에 의해 방제되고 있다. 농약의 부작용으로 인해 최근 다른 방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Xcc에 직접적인 항균 활성이 있는 식물근권세균 TRH423-3, MRL408-3, THJ609-3, TRH415-2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식물근권세균을 감귤 잎에 전 처리하였더니 감귤 궤양병균을 접종한 후 병 발생이 억제되었다. 유사하게, 포장 실험에서도 선발된 식물근권세균을 여러 차례 살포한 감귤나무에서 무처리한 나무에 비해 병이 적게 진전 되었다. 따라서 선발된 식물근권세균이 친환경 감귤농가에서 대체 수단으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trus canker caused by Xanthomonas citri subsp. citri (Xc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s on citrus. Although Satsuma mandarin cultivating mostly in Korea is moderately resistance to canker, occurrence of the disease were more frequently reported since last decade. Like other diseases in 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감귤 수출 농가에서 기존의 화학적 방제에만 의지하였던 감귤 궤양병 방제 수단에서 벗어나 친환경적 방제 방안을 제시하고자, 감귤 궤양병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식물 근권세균의 선발, 온실에서 식물근권세균을 이용한 감귤 궤양병 발생 억제 여부, 그리고 포장실험을 통한 선발된 식물근권세균의 감귤 궤양병에 대한 방제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 궤양병은 초기에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감귤 궤양병은 주로 잎과 열매에 발생하나 심할 때에는 가지에도 발생한다. 병징 초기에는 작은 반점으로 시작되어 2-10 mm의 원형반점이 되며 병징의 융합에 의해 불규칙하게 되기도 한다. 병이 심하게 발생된 잎이나 과실에서는 낙엽 또는 낙과도 되지만, 주로 이병과는 수확기까지 남아 있어 상품가치를 떨어뜨리고 다른 지역으로 병원균을 전파시킬 수 있는 전염원이 된다.
감귤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최근 감귤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영양원 이용 양상과 DNA 상동성을 근거로 Xanthomonas citri, X. fuscans, X. alfalfae로 구분되었다. X.
집중적인 화학적 방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감귤 궤양병 방제 수단으로는 주로 합성농약을 이용한 화학적 방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집중적인 화학적 방제는 병원균의 저항성 발현, 주변 환경의 오염 및 인축독성 등 많은 부작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작물의 다수확을 목적으로 과도한 농약사용의 증가로 인해 병원균의 약제 저항성이 발생되면서 농약은 약효를 잃고 그 사용에 제한이 따르게 되었으며, 감귤 궤양병에 대해서도 지역에 따라 약제내성을 나타냈다(Hynes와 Boyetchko, 2006; Timmer 등,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 Y. J., Kang, S. Y., Kim, K. D., Hwang, B. K. and Jeun, Y. C. 2010. Enhanced defense responses of tomato plants against late blight pathogen Phytophthora infestans by pre-inoculation with rhizobacteria. Crop Prot. 29: 1406-1412. 

  2. Bae, Y. S., Park, K. S. and Choi, O. H. 2007. Laboratory culture mediadependent biocontrol ability of Burkholderia gladioli strain B543. Plant Pathology J. 23: 161-165. 

  3. Gottwald, T., Graham, J., Bock, C., Bonn, G., Civerolo, E., Irey, M., Leite, R., McCollum, G., Parker, P., Ramallo, J., Riley, T., Schubert, T., Stein, B. and Taylor, E. 2009. The epidemiological significance of post-packinghouse survival of Xantnomonas citri subsp. citri for dissemination of Asiatic citrus canker via infected fruit. Crop Prot. 28: 508-524. 

  4. Hynes, R. K. and Boyetchko, S. M. 2006. Research initiatives in the art and science of biopesticide formulations. Soil Biol. Biochem. 38: 845-849 

  5. Jeun, Y. C., Park, K. S. Kim, C. H. Fowler, W. D. and Kloepper, J. W. 2004. Cytological observations of cucumber plants during induced resistance elicited by rhizobacteria. Biol. Control 29: 34-42. 

  6. Joo, G. J., Kim, J-H. and Kang, S. J. 2002. Isolation of antagonistic Bacillus ehimensis YJ-37 and i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egetables damping-off fungi. Korean J. Life Sci. 12: 200-207. 

  7. Jung, H. K., Kim, J. R., Woo, S. M. and Kim, S. D. 2007. Selection of the auxin, siderophore, and cellulase-producing PGPR, Bacillus licheniformis K11 and its plant growth promoting mechanism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23-28. 

  8. Kim, H. J. and Jeun, Y. C. 2006. Resistance induction and enhanced tuber production by pre-inoculation with bacterial strains in potato plants against Phytophthora infestans. Mycobiology 34: 67-72. 

  9. Kim, H. J. and Jeun, Y. C. 2007. Infection structures on the infected leaves of potato pre-inoculated with bacterial strains and DL-3-amino butyric acid after challenge inoculation with Phytophthora infestans. Plant Pathology J. 23: 203-209. 

  10. Kim, S. Y., Hyun, J. W. and Jeun, Y. C. 2011. Suppression effect and mechanism of citrus scap in the citrus pre-inocul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Res. Plant Dis. 17: 302-310. (In Korean) 

  11. Ko, Y. J., Kang, S. Y. and Jeun, Y. C. 2012. Suppression of citrus melanose on the leaves treated with rhizobacteria strains after inoculation with Diaporthe citri. Res. Plant Dis. 18: 331-337. (In Korean) 

  12. Lee, C. S., Kim, K. D., Hyun, J. W. and Jeun, Y. C. 2003. Isolation of Rhizobacteria in Jeju Island showing anti-fungal effect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s. Mycobiology 31: 251-254. 

  13. Meziane, H., van der Sluis, I., van Loon, L. C., Hoefte, M. and Bakker, P. A. H. M. 2005. Determinants of Pseudomonas putida WCS358 involved in inducing systemic resistance in plants. Mol. Plant Pathol. 6: 177-185. 

  14. Raaijmakers, J. M., Leeman, M., van Osrschot, M. M. P., van der Sluis, I., Schippers, B. and Bakker, P. A. H. M. 1995. Dose-response relationships in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wilt of radish by Pseudomonas spp. Phytopathology 85: 1075-1081. 

  15. Raupach, G. S. and Kloepper, J. W. 1998. Mixtures of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enhance biological control of multiple cucumber pathogens. Phytopathology 88: 1158-1164. 

  16. Schaad, N. W., Postnikova, E., Lacy, G., Sechler, A., Agarkova, I., Stromberg, P. E., Stromberg, V. K. and Vidaver, A. K. 2006. Emended classification of xanthomonad pathogens on citrus. Syst. Appl. Microbiol. 29: 690-695. 

  17. Shiotani, H., Uematsu, H., Tsukamoto, T., Shimizu, Y., Ueda, K., Mizuno, A. and Sato, S. 2009. Survival and dispersal of Xanthomonas citri subsp. citri from infected Satsuma mandarin fruit. Crop Prot. 28: 19-23. 

  18. Timmer, L. W., Gottwald, T. R. and Zikto, S. E. 1991. Bacterial exudation from lesions of Asiatic citrus canker and citrus bacterial spot. Plant Dis. 75: 192-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