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3, 2014년, pp.266 - 274  

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부) ,  이건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부) ,  차현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신선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for the elderly on sexual knowledge and life satisfactio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A seven week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as develop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년기의 성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노인 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전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진행을 위해 정신의학박사, 성 상담 연구소장, 비뇨기과 전문의, 의사소통 전문가가 참여하여 7주간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 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성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성 지식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성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 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주제 강연을 진행하였고, 자유토론, 시범 및 연습을 통하여 흥미와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교육을 종료한 후 평가한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
  • 교육 후 두 군 간의 삶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어 가설 2는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사회적 편견을 없애기 위한 토론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게 하였으며, 배우자 및 이성과의 의사소통 기술을 익힐수 있는 내용으로 진행하였는데, 이는 노인들이 삶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키우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교육 후 삶의 만족도가 향상된 것은 50세 이상의 재가노인부부 13쌍을 대상으로 한 성 교육(Kim & Kim, 2004)과 7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성 교육(Lim, 2008) 후 삶의 만족도가 향상된 것과 유사하였다.
  • 9%가 혼자 상담을 받는 것보다 집단 강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의 인원이었으므로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을 통합하여 교육을 진행하였는데, 의사소통 기술과 같은 연습을 수행할 때에도 분위기가 전혀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진행되었다. 아직까지 노인에게 개별적으로 실시한 성 교육이 없으므로, 추후 집단 교육과 맞춤형 개별교육의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성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성 지식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실험군에게 적용할 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였다. 국외에서는 1970년대부터 노년기 성 교육의 중요성을 주목하면서 성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여 1990년대에 노인을 대상으로 안전한 성에 관한 교육을 시행하였다(Hodson & Skeen, 1994; Willert & Semans, 2000).
  • 노인의 성 교육은 올바른 성 지식과 개방적인성 태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안전한 성 생활을 증진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데(Lee & Sung, 2005; Park & Park, 2010), 노인이 되기 바로 전에 노인에게 접근하기 용이한 노인복지관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Lee & Sung, 2005). 이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노인복지관에서 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노인의 성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위한 자유토론을 진행하였으며, 부부 또는 이성간에 성에 대한 올바른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가가 강의하고 지도하였다.
  • 또한 새로운 정보의 습득능력이 저하된 노인을 대상으로 하므로 정기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성 지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 가설 1: 노인 성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성 지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 2: 노인 성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교육 후 두 군의 성 지식 정도는 차이가 없어 가설 1은 기각되었다. 이는 Park과 Park (2010)이 종합복지관에 등록된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2주간 3회의 성 교육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의 성 지식이 증가하였다고 한 것과 달랐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성 생활에 대해 부적절한 가치관과 왜곡된 지식은 어떤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가? , 2012; Lee & Sung, 2005; Park, 2006). 노인의 성에 대한 부적절한 가치관과 왜곡된 지식은 아동 성추행과 같은 성 범죄, 반사회적 일탈행위, 성병과 성 매매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Jung & Na, 2004). 그러므로 노인의 성 지식의 부족, 성에 대한 편견이나 인식, 성 관련 질환 등 노인의 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행복한 노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노령화가 계속되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는 경제성장, 생활수준 향상 및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인구의 노령화가 계속되고 있다. 현재 65세 이상 인구는 총 인구의 11%를 차지하고 있는데 2018년에는 14.
대한민국의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는 경제성장, 생활수준 향상 및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인구의 노령화가 계속되고 있다. 현재 65세 이상 인구는 총 인구의 11%를 차지하고 있는데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 2026년에는 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iener, E., Emmons, R. A., Larso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 Eun, Y., Sohng, K. Y., Park, O. J., Ko, S. H., Park, M. H., Kim, J. S., et al. (2010). Advanced clinical gerontological nursing. (2nd ed.). Seoul: Hyunmoonsa. 

  3. Falvo, N., & Norman, S. (2004). Never too old to learn: The impact of an HIV/AIDS education program on older adults' knowledge. Clinical Gerontologist, 27(1), 103-118. 

  4. Gott, M. M., & Hinchliff, S. S. (2003). How important is sex in later life? The views of older people. Social Science & Medicine, 56(8), 1617-1628. 

  5. Han, H. J., Kim, N. C., & Chi, S. A. (2003). Knowledge, attitudes and educational needs for sexuality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5(1), 45-55. 

  6. Hodson, D. S., & Skeen, P. (1994). Sexuality and aging: The hammerlock of myths. Th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3(3), 219-35. 

  7. Inelmen, E. M., Sergi, G., Girardi, A., Coin, A., Taffanello, E. D., Cardin, F., et al. (2012). The importance of sexual health in the elderly: Breaking down barriers and taboo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4(3 Suppl), 31-34. 

  8. Jeong, H. W. (2007). A study on the change of sex perception through sex education programs for aged pers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9. Jo, M. H., & Cha, K. H. (1998). National comparison to life satisfaction. Seoul: Jipmoondang. 

  10. Jung, M. S., & Na, I. S. (2004).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to educate the sexuality counsellors for the aged.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3 , 189-213. 

  11. Kang, J. H., & Park, B. J. (2003). The case study for the attitude on sexuality and sexual activity of Korean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2, 105-126. 

  12. Kim, H. L., & Kim, Y. J. (2004). Educational program for developing aging couples' abilities to deal with their sexual problems and conflicts in the sexual life. Journal of Family Relations, 9(2), 43-69. 

  13. Kim, H. R. (2003). A study on the sexuality of the elderly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1, 185-202. 

  14. Kim, J. H., & Lee, C. Y. (2000). A study on sexuality of the married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3), 185-195. 

  15. Kim, K. T., & Kwak, H. K. (2003).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regarding sexuality in the aged. Modern Society and the Government, 13(2), 83-110. 

  16. Lee, Y. G., & Sung, K. W. (2005). A study on sex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senior citizen: Focusing on changes in seniors' sex sense. Korea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19(1), 89-110. 

  17. Lim, J. N. (2008). A study on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and it's effective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18. Na, I. S. (2005). A study on the effects of sexuality knowledge and attitudes on the coping behavior with sexual desires of the elderly wome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0, 215-236. 

  19. No, J. H., & Lim, E. J. (2011).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of community dwelling rural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13(2), 109-119. 

  20. Park, H. J. (2013). Sexual behavior and awareness on STD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1), 83-94.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83 

  21. Park, M. H., & Park, M. H. (2010). Effects of sex education on elders' knowledge and attitude regarding sexual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12(1), 62-71. 

  22. Park, M. Y., & Kong, M. H. (2011). Development of experienceoriented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Women's Studies, 22, 139-164. 

  23. Park, T. R. (2006). Research of the attitudes toward the sexuality of the older persons. Journa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12(3), 235-249. 

  24. Rheaume, C., & Mitty, E. (2008). Sexuality and intimacy in older adults. Geriatric Nursing, 29(5), 342-349. http://dx.doi.org/10.1016/j.gerinurse.2008.08.004 

  25. Sim, C. G. (2005). The research trends of the sexuality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2(1), 141-160. 

  26. Sim, C. G. (2008). Development of marriage environment program for the elderly couples - Ap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7. Statistic Korea. (2011). Senior status. Retrieved from http://www.kostat.go.kr 

  28. White, C. B. (1982). A scale for the assessment of attitude and knowledge regarding sexuality in the aged. Archives of Sexual Behavior, 11(6), 491-502. 

  29. Wiley, D., & Bortz, M. (1996). Sexuality and aging: Usual and successful. Journal of Gerontology, 51(3), 142-146. 

  30. Willert, A., & Semans, M. (2000).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later life sexuality: What clinicians need to know about helping the elderly.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2(4), 415-4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