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30~64세 성인의 수면시간과 고혈압 관련 요인
Sleep Duration and the Related Factors of Hypertension among Korean Middle-aged Adul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3, 2014년, pp.372 - 381  

박은옥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explored sleep duration, and examined the related factors to hypertension in Korean middle-aged adults. Methods: Using raw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conducted from 2008 to 2010,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Kim과 Jo (2010)의 연구에서 우울 증상, 당뇨, 뇌졸중 등을 고혈압 관련 요인으로 포함하였는데, 이들 질병은 고혈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보다는 고혈압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이어서 이들을 제외하고, 선행연구에서 포함되지 않았던 스트레스를 포함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8년~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통합하여 연구를 수행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 시간과 고혈압 실태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고혈압유병률과 수면 시간을 비교하며, 고혈압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30~64세 성인 13,23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 시간과 고혈압 관련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수면이 고혈압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살펴보고,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즉,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과 흡연, 음주, 신체활동과 스트레스를 관련요인으로 하여 수면과 고혈압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수면과 고혈압과 관련된 다른 요인들을 포함하여 고혈압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제시한 연구는 부족하므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 시간과 고혈압 실태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수면 시간을 비교하며, 수면 시간을 포함하여 고혈압 관련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고혈압 위험 요인들이 각각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Kim과 Jo (2010)의 연구에서 우울 증상, 당뇨, 뇌졸중 등을 고혈압 관련 요인으로 포함하였는데, 이들 질병은 고혈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보다는 고혈압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이어서 이들을 제외하고, 선행연구에서 포함되지 않았던 스트레스를 포함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과 흡연, 음주, 신체활동과 스트레스를 관련요인으로 하여 수면과 고혈압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수면과 고혈압과 관련된 다른 요인들을 포함하여 고혈압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제시한 연구는 부족하므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 시간과 고혈압 실태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수면 시간을 비교하며, 수면 시간을 포함하여 고혈압 관련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고혈압 위험 요인들이 각각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 부족이나 수면 문제가 고혈압과 관계가 있다는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최근에 수면 시간과 건강수준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에서 짧은 수면 시간과 긴 수면 시간 모두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Cappuccio, D'Elia, Strazzullo, & Miller, 2010), 심장질환이나 뇌졸중 또는 심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Cappuccio, Cooper, D'Elia, Strazzullo, & Miller, 2011). 또한 수면 시간이 고혈압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는 여러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다. 수면 시간이 7시간인 경우보다 5시간 미만 경우, 주요 변수를 보정 후에도 비만, 고혈압, 고지질혈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질병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인 수면 부족은 고혈압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ltman et al., 2012). 6년간 추적 연구를 한 연구에서는 수면 시간이 5시간 미만인 경우 고혈압 발생위험이 폐경 전 성인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다고 보고되었고(Kim et al., 2012), 6시간 미만의 수면을 취하는 여성은 수면 시간이 6시간 이상인 여성에 비해 고혈압 위험이 1.66배 증가한다고 하였다(Stranges et al., 2010). 짧은 수면 시간은 65세 이상 노인보다 65세 미만의 사람들에게 고혈압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긴 수면 시간이 고혈압 유병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기도 하였다(Wang, Xi, Liu, Zhang, & Fu, 2012).
수면이란? 적절한 수면은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수면은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법 중 가장 좋은 방법이다(Lee, 2013). 산업기술과 문명의 발달은 인간의 수면 양상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지난 수십 년간 수면 시간은 점점 짧아졌고, 같은 기간 고혈압 유병률은 점점 증가되었다(Gangwisch et al.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 특징은? , 2006). 특히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 시간은 매우 짧은 편인데, Woo 등(2010)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은 수면 시간이 6시간 30분 미만인 경우가 일반 인구의 50%에 달할 정도로 수면 시간이 짧고, 최근 한 달간 수면에 문제를 느끼지 않은 사람이 14.1% 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수면의 질도 좋지 않았다(Kim & Jo, 2010; Woo et al., 2010). 반면, 고혈압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tman, N. G., Izci-Balserak, B., Schopfer, E., Jackson, N., Rattanaumpawan, P., Gehrman, P. R., et al. (2012). Sleep duration versus sleep insufficiency as predictors of cardiometabolic health outcomes. Sleep Medicine, 13, 1261-1270. http://dx.doi.org/10.1016/j.sleep.2012.08.005 

  2. Appel, L. J., Champagne, C. M., Harsha, D. W., Cooper, L. S., Obarzanek, E., Elmer, P. J., et al. (2003). Effects of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on blood pressure control: Main results of the PREMIER clinical trial.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 2083-2093. http://dx.doi.org/10.1001/jama.289.16.2083 

  3. Basu, S., & Millett, C. (2013). Social epidemiology of hypertension in middle-income countries determinants of prevalence, diagnosis, treatment, and control in the WHO SAGE Study. Hypertension, 62, 18-26. http://dx.doi.org/10.1161/HYPERTENSIONAHA.113.01374 

  4. Cappuccio, F. P., Cooper, D., D'Elia, L., Strazzullo, P., & Miller, M. A. (2011). Sleep duration predicts cardiovascular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European Heart Journal, 32, 1484-1492. http://dx.doi.org/10.1093/eurheartj/ehr007 

  5. Cappuccio, F. P., D'Elia, L., Strazzullo, P., & Miller, M. A. (2010). Sleep duration and all-cause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Sleep, 33, 585-592. 

  6. Cappuccio, F. P., Stranges, S., Kandala, N-B, Miller, M. A., Taggart, F. M., Kumari, M., et al. (2007). Gender-specific associations of short sleep duration with prevalent and incident hypertension: The Whitehall II study. Hypertension, 50, 693-700. http://dx.doi.org/10.1161/?HYPERTENSIONAHA.107.095471 

  7. Choi, S. J., & Park, E. (2013). The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hypertension in adul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3, 141-147. 

  8. Dong, C., Ge, P., Ren, X., Fan, H., & Yan, X. (2013).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mong adults in rural north-western China: A cross-sectional population survey.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41 , 1291-1300. http://dx.doi.org/10.1177/0300060513488498 

  9. Eun, K.-S., & Cha, S.-E. (2010). Gender differentials and covariates of sleep time in daily life of Korea. Statistics Research, 15(2), 82-103. 

  10. Fang, J., Wheaton, A. G., Keenan, N. L., Greenlund, K. J., Perry, G. S., & Croft, J. B. (2012).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hypertension among US adults varies by age and sex. American Journal Hypertension, 25, 335-341. http://dx.doi.org/10.1038/ajh.2011.201 

  11. Gangwisch, J. E., Heymsfield, S. B., Boden-Albala, B., Buijs, R. M., Kreier, F., Pickering, T. G., et al. (2006). Short sleep duration as a risk factor for hypertension: Analyses of 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ypertension, 47, 833-839. http://dx.doi.org/10.1161/01.HYP.0000217362.34748.e0 

  12. Guo, F., He, D., Zhang, W., & Walton, R. G. (2012). Trends in prevalence, awareness, manage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mong United States adults, 1999 to 2010.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60, 599-606. http://dx.doi.org/10.1016/j.jacc.2012.04.026 

  13. Kearney, P. M., Whelton, M., Reynolds, K., Muntner, P., Whelton, P. K., & He, J. (2005). Global burden of hypertension: Analysis of worldwide data. The Lancet, 365, 217-223. 

  14. Kim, J., & Jo, I. (2010). Age-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hypertension in the adult Korean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23, 1286-1291. http://dx.doi.org/10.1038/ajh.2010.166 

  15. Kim, S. J., Lee, S. K., Kim, S. H., Yun, C. H., Kim, J. H., Thomas, R. J., et al. (2012). Genetic association of short sleep duration with hypertension incidence: A 6-year follow-up in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Circulation Journal, 76, 907-913. 

  16. Ko, Y. J., & Park, E. (2013). Factors related to blood pressure control in hypertensive patients in Jeju provinc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 267-279. 

  17. Lee, H. R. (2013). Sleep quality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76-88. 

  18. Luckhaupt, S. E., Tak, S., & Calvert, G. M. (2010). The prevalence of short sleep duration by industry and occupation in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Sleep, 33(2), 149-159.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a). Guidelines for using raw data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first and second survey of the fifth phase. (KNHANES V-1, V-2). Retrieved June 3, 2014 from the KNHANES Web site: https://knhanes.cdc.go.kr/knhanes/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b).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2). Retrieved June 3, 2014 from the KNHANES Web site: https://knhanes.cdc.go.kr/knhanes/ 

  21. Ryu, S. Y., Kim, K. S., & Han, M. A.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sleep duration in Korean adults: Results of a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ine Science, 26, 1124-1131. http://dx.doi.org/http://dx.doi.org/10.3346/jkms.2011.26.9.1124 

  22. Sesso, H. D., Cook, N. R., Buring, J. E., Manson, J. E., & Gaziano, J. M. (2008).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hypertension in women and men. Hypertension, 51, 1080-1087. http://dx.doi.org/10.1161/?HYPERTENSIONAHA.107.104968 

  23. Stranges, S., Dorn, J. M., Cappuccio, F. P., Donahue, R. P., Rafalson, L. B., Hovey, K. M., et al. (2010). A population-based study of reduced sleep duration and hypertension: The strongest association may be in premenopausal women. Journal of Hypertension, 28, 896-902. http://dx.doi.org/10.1097/HJH.0b013e328335d076 

  24. Wang, Q., Xi, B., Liu, M., Zhang, Y., & Fu, M. (2012). Shor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risk among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ypertension Research, 35, 1012-1018. http://dx.doi.org/10.1038/hr.2012.91 

  25. Wang, W., Lee, E. T., Fabsitz, R. R., Devereux, R., Best, L., Welty, T. K., et al. (2006). A longitudinal study of hypertension risk factors and their relation to cardiovascular disease: The strong heart study. Hypertension, 47, 403-409. 

  26. Woo, J. M., Hyun, S. Y., Lee, S. H., Kang, S. G., Lee, J. S., Kim, L., et al. (2010). Productivity time lost by sleep disturbance among wor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50, 62-68.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A global brief on hypertension. Geneva: Auth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