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층 만성질환 외래이용의 지역 간 변이
Regional Difference in Outpatient Service Utilization for Chronic Diseases among the Elderly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4 no.2, 2014년, pp.128 - 135  

윤희숙 (한국개발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With ageing and growing importance of disease manage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regional difference in service utilization for chronic diseases among the elderly and to reflect it in designing the system. Method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escrip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시와 농어촌, 부유층과 빈곤층 등의 전형적인 구분이 의료이용 차이로 직결되는지를 파악하고, 생활기반을 벗어나 의료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 지역경제력 등 구조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지 여부 등에 대한 판단근거를 확보하는 것이 주 관심사이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향후 고령자 만성질환관리의 지역 간 변이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설계의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우선적 목표이다.
  • 본 연구는 만성질환을 가진 고령자 외래이용의 지역 간 변이와 그 요인을 파악해 향후 만성질환관리정책과 관리시스템을 설계함에 있어 기초가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의도했다.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의료환경과 경제적 변수를 회귀모형에 포함시켜, 고령자 만성질환 외래이용의 지역 간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했다.
  • Shin [16]의 지역별 의료이용 연구에서 이웃지역 간 상관성이 상당한 정도로 나타난 바 있는데, 이는 일상생활을 주 매개로 개인이나 가구의 의료이용에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이들 요인이 거주행정구역의 범위를 넘어서 상호 연관되어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용률과 생활권 기준 이동비율을 중심 변수로 고령층 만성질환의 지역 간 변이를 관찰했다.
  • 이때 무엇을 기준으로 차이를 판단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자원의 균점을 목표로 하거나 의료이용의 차이를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접근이 가능하다. 본고는 고령층의 만성질환 외래이용과 외래이용을 위한 지역 간 이동비율의 지역 간 변이를 관찰했다. 관찰결과, 도시나 농어촌, 고소득지역이나 저소득지역으로 간단히 대별하기는 어려울 만큼 그룹 내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고령층의 만성질환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이 만성질환을 위해 외래이용을 하는 비율이 지역 간에 어떠한 변이를 보이는지를 측정했다. 의료부문의 격차에 대해서는 그간 의료자원의 지역 간 분포가 주요한 판단기준으로 활용 되어 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층 간 소득격차 및 사회적 배제가 심화되는 것은 어떤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인가? 만성질환의 진료와 관리, 예방 등의 기능이 얼마나 잘 구현되는지는 고령화 대비뿐만 아니라, 사회통합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이슈이다. 계층 간 소득격차가 증가하고, 사회적 배제가 심화되는 것은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가 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1,2]. 사회적 격차와 배제의 문제는 의료영역으로 인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대부분의 의료시스템에서 대형병원, 전문의, 첨단기술에 기반을 둔 서비스에 대한 경제적, 지역적 접근성이 뚜렷한 계층별 격차를 보이기때문이다[3-6].
의료시스템이 고령화를 대비를 위한 시스템 전반의 재편의 필요성으로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료시스템은 고령화를 대비하기 위해 시스템 전반의 재편 필요성이 제기되는 영역 중 하나이다. 고령인구 비중과 함께 만성질환 보유비율이 증가하면서 일상적인 질환관리와 예방기능의 상대적 중요성이 부상하는 만큼 이를 구현하도록 의료시스템 전반의 지향이 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고령자에게 자주 나타나는 증상들이 중증이 되지 않도록 적절히 진료하고 사전에 질병을 예방하며 각급 의료기관의 서비스를 연결하는 기능은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적 격차와 배제의 문제 무엇으로 인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는가? 계층 간 소득격차가 증가하고, 사회적 배제가 심화되는 것은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가 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1,2]. 사회적 격차와 배제의 문제는 의료영역으로 인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대부분의 의료시스템에서 대형병원, 전문의, 첨단기술에 기반을 둔 서비스에 대한 경제적, 지역적 접근성이 뚜렷한 계층별 격차를 보이기때문이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ivided we stand: why inequality keeps rising.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ublishing; 2011.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report 2008: primary health care: now more than ever.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3. Van Doorslaer E, Koolman X, Jones AM. Explaining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doctor utilisation in Europe. Health Econ 2004;13(7):629-647. 

  4. Starfield B. Reinventing primary care: lessons from Canada for the United States. Health Aff (Millwood) 2010;29(5):1030-1036. 

  5. Kruk ME, Porignon D, Rockers PC, Van Lerberghe W. The contribution of primary care to health and health system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critical review of major primary care initiatives. Soc Sci Med 2010;70(6):904-911. 

  6. Glazier RH, Agha MM, Moineddin R, Sibley LM. Universal health insurance and equity in primary care and specialist office visits: a population-based study. Ann Fam Med 2009;7(5):396-405. 

  7.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care quality review: Korea: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s.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ublishing; 2012. 

  8. Harrold LR, Field TS, Gurwitz JH. Knowledge, patterns of care, and outcomes of care for generalists and specialists. J Gen Intern Med 1999; 14(8):499-511. 

  9. Blewett LA, Johnson PJ, Lee B, Scal PB. When a usual source of care and usual provider matter: adult prevention and screening services. J Gen Intern Med 2008;23(9):1354-1360. 

  10. DeVoe JE, Saultz JW, Krois L, Tillotson CJ. A medical home versus temporary housing: the importance of a stable usual source of care. Pediatrics 2009;124(5):1363-1371. 

  11. Saultz JW, Lochner J. Interpersonal continuity of care and care outcomes: a critical review. Ann Fam Med 2005;3(2):159-166. 

  12. Weiss LJ, Blustein J. Faithful patients: the effect of long-term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s on the costs and use of health care by older Americans. Am J Public Health 1996;86(12):1742-1747. 

  13. Baicker K, Chandra A. Medicare spending, the physician workforce, and beneficiaries' quality of care. Health Aff (Millwood) 2004;Suppl Web Exclusives:W4-184-197. 

  14. Kravet SJ, Shore AD, Miller R, Green GB, Kolodner K, Wright SM. Health care utilization and the proportion of primary care physicians. Am J Med 2008;121(2):142-148. 

  15. Parchman ML, Culler SD. Preventable hospitalizations in primary care shortage areas: an analysis of vulnerable Medicare beneficiaries. Arch Fam Med 1999;8(6):487-491. 

  16. Shin HS. Resional disparity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Issue Focus 2012;(145):1-8. 

  17. Oh Y. Supply of health facilities. Health and Welfare Policy Issues 2012.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18. Yun HS. Patients' moving patterns of patients and its implication from regional unbalance in health resources.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7. 

  19. Kim JG. Regional differences in the equity of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 Korean Soc Secur Assoc 2012;28(2):153-180. 

  20. White J, Marmor TR. Primary care and health reform concepts, confusions, and clarifications. In: Marmor TR, Freeman R, Okma KG, editors. Comparatives studies and the politics of modern medical car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2009. pp. 180-201. 

  21. Lamarche PA, Beaulieu MD, Pineault R, Contandriopoulos AP, Denis JL, Haggerty J. Choices for change: the path for restructuring primary healthcare services in canada. Ottawa: Canadian Health Services Research Foundation; 2003. 

  22. Sheaff R. What is 'primary' about primary health care? Health Care Anal 1998;6(4):330-340. 

  23. Vuori H. Primary health care in Europe: problems and solutions. Community Med 1984;6(3):221-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