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사망률 관련 요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community mortality rate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2 no.3, 2015년, pp.11 - 22  

지태근 (인제대학원대학교) ,  곽경화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  제갈정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  박민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광기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the mortality rates. Community characteristics included socioeconomic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health care resources, and health lifestyle practice. Method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whose units of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역사회란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사회경제 환경적 특성, 보건의료자원, 건강생활실천 및 사망률 간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 본 연구는 2차자료 분석으로서 전국 249개 시·군·구별 통계연보, 국가통계포털, 질병관리본부의 2009 지역사회건강조사,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및 대검찰청에서 공개하고 있는 범죄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특성들이 도시와 농어촌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지역사회의 사회경제 환경적 특성, 보건의료자원, 건강생활실천이 지역사회의 사망률과 어떤 관계가 있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건강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을 비교하여 지역사회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여 이차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사망률을 결정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는 지역의 사회경제 환경적 특성, 보건의료자원 및 건강생활실천 각각의 영향을 규명하고 그 정도를 비교하려는 것이다. 특별히 지역사회별로 사망률 수준의 차이가 하나의 사회문제로 인식(Kim & Lee, 2004; Yoon, 2010)되고 있는 바, 이를 살펴보고 지역사회의 사회경제 환경적 특성, 보건의료자원 및 건강생활실천이 지역사회의 연령표준화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위한 분석틀은 Lalonde의 건강 장 모델(health field model)(Lalonde, 1981)과 국내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Figure 1]과 같이 설정하였다. 지역사회의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그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사회경제 환경적 특성, 보건의료자원 및 건강생활실천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들 변수군들의 영향력을 비교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사회경제 환경적 특성에 관한 변수로, 재정자립도, 교육수준, 문화기반 시설 수, 상수도보급율, 유흥시설 당 주민 수, 범죄율, 교통사고 건수, 실업률, 빈곤율, 이혼율, 도농구분을 포함하였다.
  • 특별히 지역사회별로 사망률 수준의 차이가 하나의 사회문제로 인식(Kim & Lee, 2004; Yoon, 2010)되고 있는 바, 이를 살펴보고 지역사회의 사회경제 환경적 특성, 보건의료자원 및 건강생활실천이 지역사회의 연령표준화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 사망률 결정요인을 설명하려는 기존의 국내 연구들이 지니는 한계점은 무엇입니까? 기존의 이들 연구들은 지역사회의 어떤 특성이 사망수준과 관련이 있는 지를 보고하였다는 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다양한 특성을 규명하였다고는 하지만 하나의 체계적인 분석틀에 의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점(Joo & Lee, 2013; Lee, 2010a; Park, 2013)과 결정요인들을 사회경제 환경적 특성, 보건의료체계 및 건강생활실천의 범주별로 묶어서 비교하지 못해 이들 결정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정도를 파악할 수가 없었다는 점이다. 어떤 요인들이 사망률 결정요인인지를 아는 것과 함께 이들 요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도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가 될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연구들의 분석방법은 주로 다중회귀분석에 의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귀분석을 시행할 수 있는 기본가정을 확인하거나 이를 충족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분석을 진행하여 실제 관계를 정확하게 기술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지역사회 사망률 결정요인을 설명하려는 기존의 국내 연구들은 어떠한 특성들에 집중되어 있습니까? 지역사회 사망률 결정요인을 설명하려는 기존의 국내 연구들은 주로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특성들에 집중되어 있다(Joo & Lee, 2013; Khang et al., 2005; Lee, 2002; Park, 2013). 특히, 실업률이나 빈곤율, 재정자립도와 같은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열악한 지역의 사망률이 높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는 연구들이 지배적이다(Park, 2012; Shin, Lee, & Chu, 2009). 이외에도 보건의료체계나 흡연율과 같은 생활양식의 차이(Lee, 2005; Lee, 2010a) 또는 도시화와 같은 지역특성, 인구분포 및 지역의 서비스업 및 의료자원 분포와 같은 특성(Lee, 2002)이 사망률 결정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공중보건의 최종목표는 무엇입니까? 지역사회의 건강수준 향상은 건강증진사업 나아가서는 공중보건의 최종 목표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사망률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보건정책을 결정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하겠다(Lee, 2010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osma, H., van de Mheen, H., Borsboom, G., & Mackenbach, J. (2001).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and all-cause mortalit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3, 363-371. 

  2. Carstairs, V., & Morris, R. (1990). Deprivation and health in Scotland. Health Bulletin, 48(4), 162-175. 

  3. Cho, J. H., & Kang, B. M. (2009).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 A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 Sport Science, 11(3), 87-104. 

  4. Condon, P. (1995). The impact of area contest on long term illness and premature mortality: A case study of England and W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Population Geography, 3, 243-263. 

  5. Fukuda, Y., Nakamura, K., & Takano, T. (2005). Cause-specific mortality differences across socioeconomic position of municipalities in Japan, 1973-1977 and 1993-1998: Increased importance of injury and suicide in inequality for ages under 75.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4(1), 100-109. 

  6. JeKarl, J., Kim, K.K., Lee, J. H & Park, J. E. (2014). An estimation of alcohol attributable deaths and its associated environmental factors in community level for local government policy,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Reports 

  7. Joo, Y., & Lee, H. Y. (2013). Exploratory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mortality rate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9(4), 99-121. 

  8. Kennedy, B. P., Kawachi, I., & Prothrow-Stith, D. (1996). Income distribution and mortality: Cross sectional ecological study of the Robin Hood Index in the United States. British Medical Journal, 312, 1004-1007. 

  9. Khang, Y., Lee, S., Lee, M., & Jo, M. (2004). Socioeconomic mortality inequalities in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14(4), 1-20. 

  10. Khang, Y., Yun, S., Hwang, I., Lee, M., Lee, S., Jo, M., & Lee, M. (2005). Changes in mortality inequality in relation to the South Korean economic crisisL Use of area-based socioeconomic positio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38(3), 359-365. 

  11. Kim, D. (2010). Analysis of small area variation of health behavior using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in Korea. Academic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 Final Report. 

  12. Kim, D., & Lee, S. (2004). Ecological environments a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cause of death.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8(4), 133-158. 

  13. Kim, K. K., & Moody, P. (1992). More resources better health? A cross-national perspective. Social Science & Medicine, 34(8), 837-842. 

  14. Lalonde, M. (1981).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a working document. Government of Canada. 

  15. Lee, H. K. (2010a). An ecological study on the regional variance of total mortality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Hallym University. 

  16. Lee, H. Y., & Jeon, G. S. (2009) Th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 about social capital on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Korean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3), 789-803. 

  17. Lee, M. R. (2010b). The protective effects of civic communities against all-cause mortality. Social Science & Medicine, 70, 1840-1846. 

  18. Lee, S. G. (2002). Social contextual effects on regional mortality and self-rated health status.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19. Lee, Y. (2005). A study on the inequality of health care resources distribution affected by reg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21, 49-78. 

  20. Mattew R. L. (2010). The protective effects of civic communities against all-cause mortality. Social Science & Medicine 70;1840-1846 

  21. McKeown, T. (1979). The role of medicine: dream, mirage or nemesi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McKinlay, J., & McKinlay, S. (2009). Medical measures and the decline of mortality. In P. Conrad (ed.),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pp. 7-20). New York: Worth Publishers. 

  23. Park, E. (2012). A comparison of community health status by region and an investigation of related factors using community health indica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1), 31-39. 

  24. Park, E. (2013). Cardiovascular disease-specific standardized mortality and the related factor in South Korea. Health & Social Science, 34, 257-271. 

  25. Pirkola, S., Sund, R., Sailas, E., & Wahlbeck, K. (2009). Community mental-health services and suicide rate in Finland: A nationwide small-area analysis. Lancet, 373, 147-153. 

  26. Shi, L., Macinko, J., Starfield, B., Politzer, R., Wulu, J., & Xu, J. (2005). Primary care, social inequalities, and all-cause, heart disease, and cancer mortality in US counties, 1990.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5, 674-680. 

  27. Shin, H., Lee, S., & Chu, J. M. (2009). Development of compositie deprivation index for Korea: The correlation with standardized mortality ration. Preventive Medicine Publication Health, 42, 392-402. 

  28. Son, M. (2002). The relationships of occupational class, educational level and deprivation with mortality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35(1), 76-82. 

  29. Supreme Prosecutors' Office. (2010). Analytical Reports on Crime, 2011, Seoul, Ministry of Justice. 

  30. Townsend, P., Phillimore, P., & Beattie, A. (1988). Health and deprivation: Inequality and the north. London: Croom Helm. 

  31. Yoon, T. H.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distribution and mortality.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13(4), 99-114. 

  32. Yoon, T. H. (2010).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The status and policy tasks.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30, 49-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