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이 분석 - 유해위험요인 노출을 경유한 영향 경로 -
Analysis of health inequality by the type of employment on health among employees - Pathway of the effect via the exposure of hazardous factors -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6 no.2, 2014년, pp.81 - 90  

이경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exible production system has been expanded to all sectors of economy with the change of labor market and diversification of employment. The unstable employment with irregular work has replaced stable employment with regular work. This study has investigate the impact pathway of the type of employ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상황에서 비정규직 임금근로자는 불안정한 고용계약관계에 놓여지고 이로 인해 열악한 근로환경 및 일상생활 영역에서의 생활상의 어려움이 건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안정적인 고용계약관계에 놓여져 있는 정규직 근로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건강수준이 나빠지게 된다. 본 연구는 고용형태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로를 알아보았다. 특히 고용형태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 중에서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노출 수준을 경유하는 영향경로와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임금 근로자의 고용형태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제반 근로환경 특성 중에서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노출 특성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임금 근로자들이 노출되는 유해위험요인은 매우 다양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피고용자의 고용형태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피고용자의 고용형태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건강불평등을 알아보고, 이러한 불평등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발생하는지를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 피고용자의 고용형태는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피고용자의 고용형태는 다양한 유해요인 노출을 경유하여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간접효과).
  • - 피고용자의 고용형태는 유해요인 노출을 경유하지 않고 건강수준에 직접 영향을 미칠 것이다(직접효과).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작업장 안에서 차별화된 관리방식의 사례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피고용자 집단 내부에서 서로 다른 고용형태로 일을 하는 근로자들의 경우 작업장 안에서 차별화된 관리방식에 따라서 일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임시직 근로자들이 휴가를 적절히 쓰지 못하거나(Letourneux, 1998) 안전보건위원회에게서 배제되는 경우(Quinlan et al, 2001)들이 있다. 또한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그들의 근로환경에 대해 제대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Aronsson, 1999), 정규직 근로자들보다 업무 자율성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면서 계획에 따라서만 일을 해야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결과 고용상태가 불안정하여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잦은 퇴직과 재취업의 반복과정을 거치면서 일반 질환이 이미 발생한 노동자들이 채용검진상의 결과로 인해 재취업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조수헌 등, 2000; Goudswaard et al, 2002; 박종식, 2007) 결과적으로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정규직보다 더 나쁜 건강 상태를 보이고 있다(Benavides et al, 2000; Kivimaki et al, 2003; Benavides et al, 2006).
기업의 ‘고용 유연화’ 전략은 무엇입니까? 기업의 ‘고용 유연화’ 전략은 생산비용의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합리화 전략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OECD, 1998). 그리고 이와 같은 고용 유연화 전략을 추진한 결과, 노동법, 단체협약, 훈련체계나 노동시장의 관행적인 규제들은 점차 축소되면서(Hadden et al, 2007) 고용방식 및 고용형태의 다양화가 나타났다(Benavides et al, 2000).
OECD 국가 중 비정규직 근로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어디입니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중에서 비정규직 근로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한국이다. OECD에서는 고용형태의 다양화 및 국가별 집계의 차이로 인해서 비교가 매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정규 근로시간보다 짧은 파트타임에 대해서마 국가 간 비교를 진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고상백, 손미아, 공정옥, 이철갑, 장세진, 차봉석,(2004),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대한산업의학회지 16(1):103-113. 

  2. 박종식,(2007), "위험의 전이와 제도의 지체 :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정규직과 사내하청업체 노동자 2005년 산재통계 비교", 산업노동연구 13(2):213-247. 

  3. 조수헌, 최홍렬, 신용철, 주영수, 강동묵, 김재용, 고상백, 김정원, 이상윤, 임형준,(2000), 조선업종 근로자 건강관리체계 연구 : 협력업체 도장부서 근로자 중심으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4. Aronsson G,(1999), "Contingent workers and health and safety", Work Employment and Society 13:439-59. 

  5. Bamberger SG, Vinding AL, Larsen A, Nielsen P, Fonager K, et al.(2012), "Impact of organisational change on 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9(8):592-598. 

  6. Benach J, Muntaner C,(2007), "Precarious employment and health: developing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1:276-277. 

  7. Benach J, Gimeno D, Benavides FG(2002), "Types of employment and health", Dublin, Euro 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8. Benach J, Vives A, Amable M, Vanroelen C, Tarafa G, Muntaner C(2014), "Precarious Employment: Understanding an Emerging Social Determinant of Health",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35:229-53. 

  9. Benach J, Benavides FG, Platt S, Diez-Roux AV, Muntaner C(2000), "The Health-damaging Potential of New Types of Flexible Employment: A Chanllenge for Public Health Researcher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0(8):1316-1317. 

  10. Benavides FG, Benach J, Diez-Roux AV, et al.(2000), "How do types of employment relate to health indicators? Findings from the Second European Survey on Working Condition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4:494-501. 

  11. Benavides FG, Benach J, Muntaner C, et al.(2006), "Associations between temporary employment and occupational injury: what are the mechanism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3:416-21. 

  12. De Cuyper N, De Witte H,(2008), "Job insecurity and employability among temporary workers: a theoretical approach based on the psychological contract", In Naswall K, Hellgren J, Sverke M,(ed), "The Individual in the Changing Working Lif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88-107. 

  13. Dooley D, Fielding J, Levi L(1996), "Health and unemployment",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17:449-465. 

  14. Ferrie JE(2001), "Is job insecurity harmful to health?"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94(2):71-76. 

  15. Ferrie JE, Marmot MG, Griffiths J, et al.(1999), "Labour market changes and job insecurity: a challenge for social welfare and health promotion", European Series, Number 81, Copenhagen, WHO Regional Publications. 

  16. Ferrie JE, Westerlund H, VirtanenM, Vahtera J, Kivimaki M(2008), "Flexible labor markets and employee health",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and Environmental Heath 6:98-110. 

  17. Germiniasi, A(2010), "Labor Market Imperpections: Effects on Occupational Injuries and Earnings",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Department of Economics Ph. D Dissertation. 

  18. Goudswaard D, Claude J, Ekstedt E, Huuhtanen P, Kuhn K, Peirens K, Beeck R, Brown R(2002), "New forms of contractual relationships and the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https://osha.europa.eu/en/publications/reports/206/en/view). 

  19. Hadden WC, Muntaner C, Benach J, et al.(2007), "A glossary for the social epidemiology of work organization: Part 3, Terms from the sociology of labour market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1:6-8. 

  20. Kivimaki M, Vahtera J, Virtanen M, et al.(2003), "Temporary employment and risk of overall and cause-specific mortalit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8:663-668. 

  21. Letourneux V(1998), "Precarious employment and working conditions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Luxembourg: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2. Min KB, Park SG, Song JS, Yi KH, Jang TW, Min JY, "Subcontractors and increased risk for work-related diseases and absenteeism"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6(11):1296-1306. 

  23. Navarro V(1982), "The Labor Process and Health: An Historical Materialist Interpre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12(1):5-29. 

  24. Park J, Lee N(2009). "First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 and EU countries", IndustrialHealth 47:50-54. 

  25. Quinlan M, Mayhew C, Bohle P(2001), "The Global Expansion of Precarious Employment, Work Disorganization, and Consequences for Occupational Health: A Review of Recent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31(2): 335-414. 

  26. Quinlan M, Bohle P(2009), "Overstretched and unreciprocated commitment: reviewing research on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effects of downsizing and job insecu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39(1):1-44. 

  27. Rodgers G, Rodgers J(1989), "Precarious jobs in labour market regulation: The growth of atypical employment in Western Europe", Brussels,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ur Studies Free University. 

  28. Virtanen M, Kivimaki M, Joensuu M, et al.(2005), "Temporary employment and health: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4:610-6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