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간의 통합적 녹지환경 평가
An Integrated Assessment of Green Environment on Urban Space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2, 2014년, pp.15 - 31  

이우성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의 녹지환경에 대한 통합적 평가를 통해 지속가능한 녹지계획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의 7개 행정구 중 녹지의 공간적 불균형이 가장 심화된 지역인 달서구를 선정하였다. 녹지환경 평가를 위한 세 가지 기능은 자연생태적, 환경조절적, 이용적 기능으로 설정하였다. 자연생태적 기능의 평가에서는 '녹지연결성'과 '동물이동성'을 지표로 활용하였으며, 환경조절적 기능 평가에서는 '열환경'과 '기온저감기능', 이용적 기능 평가에서는 '녹지의 서비스공급량'을 지표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I등급 지역인 녹지환경 우수지역은 달서구 전체면적의 44.8%를 점하며, 대부분 남동쪽의 앞산과 비슬산, 북쪽의 궁산과 와룡산의 산림녹지를 따라 분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IV등급 지역인 녹지환경 단절지역은 감삼동과 죽전동의 주거지역, 월성1동과 진천동의 주거 및 공업지역 등으로 나타났으며, 전체면적의 5.5%를 점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들은 향후 도시기본계획 수립 시 녹지 조성 및 배치를 위한 계획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green environment on urban space and to suggest the sustainable green space planning. The study area is Dalseo-gu which has the biggest spatial imbalance of green space among 7 districts of Daegu. Three functions such as nature-ecological, environment-co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대상으로 녹지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을 고려하여 효율적 녹지계획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대상으로 녹지의 자연생태적, 환경조절적, 이용적 기능을 고려하여 통합적 녹지환경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녹지환경 평가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녹지계획 정책방향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지는 도시공간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많은 환경문제들 중 20세기 말부터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 녹지환경1) 에 관한 문제이다. 녹지는 도시공간 내에서 생물종 다양성 보존, 미기후 조절, 대기오염 완화, 경관 형성, 인구과밀 억제 등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Landsberg, 1981; Byun and Lee, 2002). 그러나 최근 도시의 과도한 성장과 난개발로 인해 도시 내의 녹지는 양적으로 부족하며, 질적 악화로 인해 본래의 기능을 점점 상실하고 있다(Sagong, 2004).
본 연구에서 설정한 500m×500m의 Vector GRID로 구성된 공간단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500m×500m의 Vector GRID로 구성된 공간단위를 설정하였다. 이 단위공간은 토지 이용 특성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녹지의 기능적 평가에 빈번하게 활용되는 규모이다(Yoon and Ahn, 2009; Lee et al., 2010).
최근 녹지는 어떤 실정인가? 녹지는 도시공간 내에서 생물종 다양성 보존, 미기후 조절, 대기오염 완화, 경관 형성, 인구과밀 억제 등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Landsberg, 1981; Byun and Lee, 2002). 그러나 최근 도시의 과도한 성장과 난개발로 인해 도시 내의 녹지는 양적으로 부족하며, 질적 악화로 인해 본래의 기능을 점점 상실하고 있다(Sagong,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yun, B.S. and B.J. Lee. 2002. Strategies for conserving green spaces for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43pp (변병설, 이병준. 2002.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143쪽). 

  2. Davies, C., R. Macfarlane and M.H. Roe. 2006.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Guide, 2 Volumes: Final Report and GI Planning Guide. University of Northumbria, North East Community Forests, Univ. of Newcastle, Countryside Agency, English Nature, Forestry Commission, Groundwork Trusts. 

  3. Hong, J.J.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elements and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Master Thesis, Univ. of Hanyang, Seoul, Korea. 74pp (홍재주. 2004.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쪽). 

  4. Huff, D.L. 1963. A probabilistic analysis of shopping center trade areas. Land Economics 39:81-90. 

  5. Kawamura, T. and Y. Suzuki. 1983. Air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park and the surrounding urban area. Annual Report of the Institute of Geoscience, the University of Tsukuba 9:39-41. 

  6. Kim, K.T., S.G. Jung, K.H. Park and J.H. Oh. 2005. Evaluation of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GIS and 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1):75-87 (김경태,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 2005. GIS 및 R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75-87). 

  7. Ko, E.J. 2005. Integrated assessment of urban greens concerning ecological aspect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76pp (고은주. 2005. 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도시녹지 종합평가방법: 울산광역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6쪽). 

  8.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2001. A study on environmental assessment standard of land. 191pp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1. 토지의 환경성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191쪽). 

  9. Landsberg, H.E. 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Academic Press. 275pp. 

  10. Lee, G.G. 2003. Sustainability indicators of greenspace in apartment site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147pp (이관규. 2003. 아파트단지의 녹지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7쪽). 

  11. Lee, G.J. and E.S. Im. 2009. Developing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assessing the level of neighborhood park service provisio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63:107-122 (이경주, 임은선. 2009. 근린공원 입지계획지원을 위한 공급 적정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63:107-122). 

  12. Lee, W.S. 2011. The assessment of green environment and establishment of planning direction for the sustainable urban space.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 Daegu, Korea 439pp (이우성. 2011.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9쪽). 

  13. Lee, W.S. and S.G. Jung. 2012. Evaluating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and establishing its management zone using spati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2):126-138 (이우성, 정성관. 2012. 공간분석을 활용한 녹지의 불균형 평가 및 관리권역 설정: 녹지의 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5(2):126-138). 

  14. Lee, W.S., S.G. Jung, K.H. Park and K.T. Kim. 2010.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environment-friendly spatial pl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42-154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42-154). 

  15. Lee, Y.J., E.J. Yoon and N.Y. Park. 2008. Restoration plan for damaged green space: regarding taxati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20pp (이양주, 윤은주, 박나영. 2008. 녹지훼손에 대한 대체녹지의 합리적 조성방안 I: 관련 세제를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120쪽).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4. A study on increasing strategy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in urban area. 239pp (환경부. 2004. 도시지역의 자연환경성 확보방안 연구. 239쪽). 

  17. Park, E.J. 2009. A study on the composition plan of an ecological urban park to apply green network.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 Seoul. Korea 191pp (박은진. 2009. 녹지네트워크를 적용한 생태적 도시공원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시 동작구를 대상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1쪽). 

  18. Riess, W. 1986. Konzepte zum Biotopverbund im Arten-und Biotopschutz programm Bayern,. Laufener Seminarbeitrag 10:102-115. 

  19. Ryu, Y.S. 2005. A character analysis of the neighborhood park in the point of the landscape ecology.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 Daegu, Korea 209pp (류연수. 2005. 근린공원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9쪽). 

  20. Ryu, Y.S. and J.H. Ra. 2005. Establishing the concepts for urban green space planning and investigating the propriety of the established concept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0(3):123-139 (류연수, 나정화. 2005. 도시 녹지계획 목표 설정 및 타당성 검토: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0(3):123-139). 

  21. Sagong, J.H. 2004. Development of landscape ecological green-network model in a metropolitan.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 Daegu, Korea 162pp (사공정희. 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2쪽). 

  22. Schonewald-Cox, C.M. 1983. Guidelines to management: a beginning attempt. In: C. Schonewald-Cox et al.(ed.). Genetics and Conservation. Benjamin Cummings Publication Company. Menlo Park, CA, pp.414-445. 

  23. Seoul. 2001. Review guideline for environmental evaluation of urban planning. 51pp (서울특별시. 2001. 도시계획 환경성 검토 지침. 51쪽). 

  24. Song, I.J. and J.H. Mok. 2004. Study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index and design guideline of green space for district unit plan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45pp (송인주, 목정훈. 2004. 지구단위계획에서 환경성 제고를 위한 녹지평가지표 개발과 계획기법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145쪽). 

  25. Sung, H.C. and S.Y. Hwang. 2013. A preliminary study on assessment of urban parks and green zones of ecological attributes and responsiveness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3):107-117 (성현찬, 황소영. 2013. 도시공원녹지의 생태성 및 기후변화 대응성 평가 기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6(3):107-117). 

  26. Um, D.Y. 2006. A study on the accuracy improvement of land surface temperature extraction by remote sensing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2):159-171 (엄대용. 2006. 원격탐사 자료에 의한 지표온도추출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 159-171). 

  27. Yoon, E.J. 2006. Analysis of scale sensitivity and spatial discrimination of the landscape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urban green in Seoul. Ph.D.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166pp (윤은주. 2006. 서울시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민감성 및 변별력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6쪽). 

  28. Yoon, M.H. and D.M. Ahn. 2009. An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 analysis to visualize the effects of urban green areas on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3):46-53 (윤민호, 안동만. 2009.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녹지의 기온저감 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7(3):46-53). 

  29. Yoon, Y.H. and B.H. Bae. 2002.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cale of green spaces and decreasing air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0(1):10-19 (윤용한, 배병호. 2002. 녹지의 규모와 기온저감효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0(1):10-19). 

  30. Weber, T. 2003. Maryland's green infrastructure assessment: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land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aryland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Watershed Services Unit Landscape and Watershed Analysis Division. Annapolis, MD. 246pp. 

  31. Zhang, Y., I.O.A. Odeh and C. Han. 2009. Bi-temporal characterization of land surface temperature in relation to impervious surface area, NDVI and NDBI, using a sub-pixel imag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11(4):256-264. 

  32. 高原榮重. 1988. 都市綠地. 鹿島出版會, 東京. 221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