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녹지공간의 곤충다양성
Insects Diversity in Urban Green Spac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3, 2015년, pp.374 - 390  

박성준 (국립생태원) ,  이민호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재원 (인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홍용식 (국립생태원) ,  김도성 (생물보전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늘날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환경이 악화되어 감에 따라 이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도시 녹지공간의 곤충다양성을 확인하여 생태계 현황을 밝히고 보전 대책 수립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익산시 원광대학교 녹지공간의 곤충류를 대상으로 2010년 9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0종, 한국적색목록 1종, 기후변화생물지표종 2종과 특정종 70종을 포함하여 총9목 78과 209종의 주요 곤충자원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분류군별 종 다양성은 딱정벌레목이 23과 76종(36.36%)으로 가장 높고, 노린재목 138과 53종(25.36%), 파리목 8과 24종(11.48%), 벌목 7과 16종(7.6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종 다양성은 2010년 9월에 52과 105종으로 가장 높고, 2011년 5월(37과 87종), 2011년 7월(50과 86종), 2011년 6월(40과 80종), 2011년 8월(43과 73종) 등의 순으로 다양도가 높았으며, 2011년 9월(38과 60종), 2010년 10월(36과 52종), 2011년 4월(19과 29종)이 상대적으로 종 다양성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조사지점별 종 다양성은 S4(75과 186종, 88.99%)에서 가장 다양한 종의 서식을 확인하였고, S1(41과 70종, 33.49%), S2(41과 63종, 30.14%), S3(36과 59종, 28.22%)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종다양도지수(H')와 종풍부도지수(RI)는 S4(H'=3.344, RI=9.257)가 가장 높고, 종균등도지수(EI)는 S1(0.93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S3(H'=2.428, RI=4.307, EI=0.832)은 모든 지수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처럼 곤충들은 녹지공간의 식물과 식생구조와 연관되어 출현하고 있어 도시 녹지공간이 자연환경과 비슷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sect diversity and forest in urban green space, which can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ecosystem and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required for conservation planning and sustainable use of the environment. For this study, we have surveyed insect diver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들이 식재되어 있는 약 200ha에 이르는 원광대학교 녹지공간에서 생물다양성 조사의 일환으로 곤충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도시 녹지공간이 생물다양성 보육공간으로서 나아갈 방향과 관리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 녹지공간에 서식하는 곤충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대부분의 곤충들은 식물과 연관되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녹지공간의 다양한 식물상과 식생구조는 곤충의 서식환경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녹지공간에서 서식하는 동물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도시 녹지공간은 생물다양성을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지역이다. 그리고 이곳에 서식하는 동물들의 특징은 포유류나, 조류, 양서·파충류에서 야생성이 강한 종들은 감소하고 일반종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곤충만이 습지와 화단 조성과 같은 서식처가 제공되어 다양한 곤충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14).
수목원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처럼 도심에서 부족한 녹지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공원과 수목원, 도시숲, 가로공원 등이 제공되고 있다. 이 중 수목원은 자연 산림지역과는 수목의 밀도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낮겠지만, 여타 녹지공간에 비해 면적과 수목의 개체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공간이다(Bae et al., 2009).
도심에서 부족한 녹지공간의 확보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오늘날 급속한 도시화는 녹지공간의 감소로 나타나 이로인하여 주거환경이 악화되어 감에 따라 이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도심에서 부족한 녹지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공원과 수목원, 도시숲, 가로공원 등이 제공되고 있다. 이 중 수목원은 자연 산림지역과는 수목의 밀도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낮겠지만, 여타 녹지공간에 비해 면적과 수목의 개체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공간이다(Ba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M.K., H.D. Jong and Y.M. Son(2009) Role of Urban Green Spac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Case Study on Daejeon City.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17(2): 181-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Y.C., J.K. Kim, J.Y. Choi, W.T. Kim, H.S. Shim and B.D. Park(2007) Evaluation of Farm Lands located in Urban Area and Industrial Complex using Insect Diversity Indices. Korean J. Appl. Entomol. 46(3): 363-3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ris A. M., van Swaay and M. S. Warren(2006) Prime butterfly areas of Europe: an initial selection of priority sites for conservation. Journal of Insect Conservation. 10: 5-11. 

  4. Chun S.H.(2010) Distributional Patterns and the Evaluation of Hydrophytic Plants of Urban Wetlands in Seongnam City, Gyunggi-do Province, Korea.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2): 159-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Ehrlice, P.R., and P.H. Raven(1964) Butterfly and plants: A study in coevolution. Evolution 18: 586-608. 

  6. Kang K.R., K.C. Lee, H.T. Lee, B.R. Ryu and D.P. Kim(2011)A Study on Economic Value of Daegu Arboretum based on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5): 787-7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D.S., J.H. Kang, S.J. Lee, H.S. Lim, and N.R. Kim(2014) The faunae before and after creating the Solbangjuk wetland ecological park located in Jecheon-city were compared. J. KILA 42(3): 35-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D.S., Y.B. Cho and J.C. Jeong(2012) Effects of host plant, nectar plant and vegetation types on butterfly communities. Kor. J. Appl. Entomol. 51: 331-3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S.B. and Y.S. Kim(1992) The Role of Green Space in Metropolitan - Region with Practical Reference to Taegu City, Korea-.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4):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S.B.(1999) Study on Environmental Green Space Planning Policy in Taegu - The Case Study of Taegu Residents' Values for Greenspace -. J.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3): 99-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o A.L. and E.H. Lee(2010) The Change of Flora and Fauna on Extensive Rooftop Green Areas.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3): 334-3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wak J.I., K.J. Lee and B.H. Han(2010) Study o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 for Wildbirds' Appearance in Urban Area around Urban Green Axis.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2): 166-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G.Y., E.K. Kim, J.H. Jo and Y.C. Park(2011) Species Diversity of Terrestial Mammalia in the Nature Environment Research Park in Gangwon Province.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2): 145-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W.C.(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624pp. (in Korean) 

  15. Magalef, R.(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3E, pp36-71. 

  16. McNaughton, S.J.(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74. 

  1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0) Management of Species Diversity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194pp. (in Korean) 

  1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1) Endemic Species of Korea. 451pp. (in Korean) 

  1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Insects in Korea (I). 178pp. (in Korean)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2) The Guide to 'The 4rd National Ecosystem Survey'. 298pp. (in Korean) 

  21. Oh C.H., L.K. Choi, E.H. Lee and D.O. Lim(2010)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Biotope Types in the Jeonju Area.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1): 37-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Oh J.H., J.O. Kwon, J.H. You and K.T. Kim(2010) A Landscape Ecological Model for Assessing the Korean Urban Forests.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2): 178-1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Paek M.K, J.M. Hwang, K.S. Jung, T.W. Kim, M.C. Kim, Y.J. Lee, Y.B. Cho, S.W. Park, H.S. Lee, D.S. Ku, J.C. Jeong, K.G.Kim, D.S. Choi, E.H. Shin, J.H. Hwang, J.S. Lee, S.S. Kim, and Y.S. Bae (2010) Checklist of Korean Insects. 598pp. (in Korean) 

  24. Park J.K.(2010) Insect Fauna of Urban Green Park in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 (II). Weed&Turfgrass Science 24(2): 182-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ielou, E.C.(1969) An introduction to mathmatical ecology. Wiley-Interscience, New York. 

  26.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p. 

  27. Platt W. and I. Weis(1977) Resource partitioning and competition within a guild of fugitive prairie plants. American Naturalist 111: 479-513. 

  28. Pywell, R.F., E.A. Warman, T.H, Sparks, J.N. Greatorex-Davies, K.J. Walker, W.R. Meek, C. Carvell, S. Petit and L.G. Firbank (2004) Assessing habitat quality for butterflies on intensively managed arable farmland. Biol. Conserv. 118: 313-325. 

  29. Townsend C.R., M. Begon and J.L. Harper(2008) Essentials of Ecology. blackwellpublishing.com. 495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