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파종시기가 톨 페스큐 생육특성 및 종자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Time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on of Tall Fescue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4 no.2, 2014년, pp.103 - 107  

이기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최기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기용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지희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박형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동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생명과학연구부) ,  이상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육성한 톨 페스큐 신품종 푸르미의 종자증식 기술개발과 종자생산성 및 채종짚의 사료가치 평가를 통해 종자생산 기술체계를 확립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파종시기별 종자생산성을 조사하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출수기의 차이는 약 2~3일정도 차이를 보였으며 종자수량의 결정에 중요한 요소인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9월 17일 파종이 692본/$m^2$로서 가장 많았고 이보다 10일 빠르거나 늦은 경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채종 종자의 천립중도 2 g 내외로 발아율도 80~83%로 처리구간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채종 종자수량의 수량성은 파종시기가 9월 17일 경우 1,711 kg/ha로 가장 많았으며 파종시기가 이보다 10일 빠르거나 늦은 경우 생산된 종자의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생초 수량과 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9월 17일 파종시 각각 63,556 kg/ha, 16,926 kg/ha로서 가장 많았으며 파종시기가 10일 간격씩 늦어질수록 건물수량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채종짚의 사료가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is one of cool-season adapted perennial grass species and has been cultivated worldwide as a important forage and lawn gras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eed production of new tall fescue cultivar, 'Purum', which was cultivated in Korea. Agronomic asp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국내육성 우량 품종들이 농가 현장에 보급되기 위해서는 종자생산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국내에서 개발된 우량 신품종 톨페스큐를 이용하여 우량종자를 생산하고자 할 경우 적정 파종시기 및 종자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톨 페스큐 초종의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톨 페스큐(Festuca arundinacea schreb) 초종은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견디고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환경재해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장점 (Hannaway et al., 2009)이 있어 그 이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가축의 기호성과 사료가치가 향상된 신품종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Sleper, 1985; Van Wijk et al.
톨 페스큐 파종시기에 따라 출수기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정착은 파종시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 없이 출현과 정착이 모두 양호하였으며 월동상태도 월동 전 후 동해 피해 없이 생육이 양호하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출수기는 9월 7 일 파종시 5월 13일경으로 이보다 늦은 10일 늦은 9월 17 일 파종시에 비해 약 2일정도 빨랐다. 반면 9월 17일 파종시 이보다 10일 늦은 9월 27일 파종시와 1일 정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초장은 파종시기가 10일 간격으로 늦어질수록 점차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목초 및 사료작물의 종자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목초 및 사료작물의 종자생산성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품종, 파종량, 파종방법, 질소시비량, 휴폭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Choi et al., 2002; 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Choi, G.J., Lim, Y.C., Ji, H.C., Lee, S.H., Lee, K.W., Kim, D.K., Seo, S. and Kim, K.Y. 2011. Change in Dry Matter Yields and Feed Values of Italian Ryegrass, Hwasan 101, at Different Growth St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1(2):107-112. 

  3. Choi, G.J., Lim, Y.C., Ji, H.C., Kim, K.Y., Park, H.S., Seo, S., Moon, C.S., Kim, D.H. and Lee, S.H. 2010. A Stress-Tolerant and High-Yielding Tall Fescue New Variety, 'Greenmas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0(3):199-204. 

  4. Choi, G.J., Jung, E.S., Rim, Y.W., Lim, Y.C., Kim, K.Y., Sung, B.R. and Park, G.J. 2002. Effects of Drill Widths and Nitrogen Application Levels in Early Spring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um L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2(3):221-226. 

  5. Choi, G.J., Jung, E.S., Rim, Y.W., Lim, Y.C., Kim, K.Y., Sung, B.R., Kim, M.J. and Park, G.J. 2003. Effects of Seeding Tim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vity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3(2):101-106. 

  6. Easton, H., C. Lee, and R. Fitzgerald. 1994. Tall fescue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N. Z. J. Agric. Res. 37:405-417. 

  7. Fairey, N.A., and L.P. Lefkovitch. 2001. Effect of post-harvest management on seed production of creeping red fescue, tall fescue, and Kentucky bluegrass in the Peace River region of north-western Canada. Can. J. Plant Sci. 

  8. Fairey, D.T. and Hampton, J.G. 1997. Forage seed production (1st ed.) : 311-319. 

  9. Goering, H.K. and Van Soest, P.J.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ultural Handbook No. 379, USDA. Washington, DC. 

  10. Hannaway, D.B., C. Daly, M.D. Halbleib, D. James, C.P. West, J.J. Volenec et al. 2009. Ecological suitability. In: H.A. Fribourg, D.B. Hannaway, and C.P. West, editors, Tall fescu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ASA, CSSA, and SSSA, Madison, WI. p. 33.48. 

  11. Lee, S.H. Lee, K.W., Ji, H.C., Kim, K.Y., Park, H.S., Lim, Y.C. and Choi, G.J. 2012.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tall fescue new variety 'Purumi' in South Korea.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11(21):4956-4960. 

  12. Moore, R.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ersity of Florida,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13. Park, H.S., Park, N.G., Kim, J.G., Choi, K.C., Lim Y.C., Choi, G.J. and Lee, K.W. 2012.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for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and Bahiagrass (Paspalum notatum) in Je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2(2): 131-138 

  14. RDA. 2003.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search and Technology in Agriculture (Forag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5. Rim, Y.W., Choi, G.J., Sung, B.R., Lim, Y.C., Kim, M.J., Park, G.J., Kim, K.Y., Chung, J.W. and Go, S.B. 2004.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Variety 'Kord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4(3):261-264. 

  16. Sleper D.A. 1985. Bleeding tall fescue. J. Plant Breeding Rev. 3:313-342. 

  17. Suzuki, S. 1985. Analysis of seed production in relation to climatic conditions in tall fescue varieties. In: T. Okubo and M. Shiyomi, editors, Proceedings XV International Grassland Congress, Nishi-nasuno, Tochigi. 24-31 Aug. 1985. Sci. Council of Japan and Japanese Soc. of Grassl. Sci., Kyoto, Japan. p. 310-312. 

  18. Tilley, J.M.A. and Terry, R.A. 1963. A two-stage technique for th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Journal of the British Grassland Society. 18:104-111. 

  19. Van Wijk, A.J.P, Boonman, J.G. and Rumball, W. 1993. Achievements and prospectives in the breeding of forage grasses and legumes. In: Baker MJ (ed), Grasslands for our world, SIR, Wellington, pp 116-120. 

  20. Young, W.C., III. 1991. Influence of row spacing and seeding rate on tall fescue seed production. J. Appl. Seed Prod. 9: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