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리티케일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가 사일리지 사료가치와 기능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and Harvesting Times on Feed Value and Functional Component of Triticale (x Triticosecale Wittmack)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7 no.4, 2022년, pp.319 - 325  

김지숙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라경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김율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박명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트리티케일의 파종기(가을, 봄)와 수확시기별(유묘기, 수잉기, 출수기, 출수 후 10일, 출수 후 20일) 사일리지 사료가치와 기능성 성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재배환경과 조사료 용도에 맞는 트리티케일의 적정 파종시기와 수확기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육후기로 갈수록 트리티케일의 초장과 생체수량은 높아졌고, 수잉기까지의 초기생육은 봄파종보다 가을파종에서 더 높았다. 2. 수확시기별 조단백질 함량 차이가 뚜렷하였다. 생장이 진전됨에 따라 조단백질이 감소하는 경향으로 유묘기에 가장 높았으며, 가을파종(24.2%)보다는 봄파종(35.0%) 했을 경우에 더 높았다. ADF와 NDF에서도 생장후기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파종기에 의한 변화는 크지 않았다. TDN은 유묘기의 봄파종(71.3%)과 가을파종(67.0%)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이후에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3. 사일리지의 등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인 pH와 젖산 함량의 경우 봄파종 시 동일한 수확시기일지라도 가을파종이 낮은 편이었고, 생육단계가 진전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과 동일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기능성 물질인 옥타코사놀도 생육초기에 함량이 높았고, 수잉기까지는 가을파종이 봄파종보다 높았지만, 출수기 이후에는 파종기나 수확기와는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트리티케일 '조성'을 이용한 사일리지 제조 시 영양적 측면에서 조단백질이나 TDN, 기능성 물질인 옥타코사놀이 높은 사일리지가 필요할 경우 식물체가 어린 시기인 유묘기에 제조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발효가 잘되는 사일리지가 필요할 경우 출수 후 20일에 수확한 트리티케일을 이용할 경우 더 효율적이다. 가을파종이 어려울 경우 봄 파종하여 유묘기에 수확하면 조단백질이나 TDN, 유기산 함량이 높은 사일리지를 제조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iticale forage has the highest yield of all winter forage crops, including rye, and a cold tolerance within an average low temperature of -10℃ in Januar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owing and harvesting times on the feed value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triticale to op...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6)

  1. Athukorala, Y. and Mazza, G. 2010. Supercritical carbon dioxide?and hexane extraction of wax from triticale straw: Content,?composition and thermal properties. Industrial Crops and?Products 31(3) : 550-556. 

  2. Choi, K. C. and C. E. Song. 2011. Effects of Harvest Stages and?Ensiling method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sorghum×sorghum hybrid sil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1(3) : 295-304. 

  3. Choi, K. C., S. Ilavenil, M. V. Arasu, H. S. Park, and W. H. Kim.?2015. Effect of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KCC-10 and?KCC-19 on fermentation characterization of alfalfa silag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Science 35(2) : 166-170. 

  4. Heo, J. M., S. K. Lee, I. D. Lee, B. D. Lee, and H. C. Bae. 2005.?Effect of different growing stages of winter cereal crops on the?quality of silage materials and silages. Journal of Animal?Science and Technology 47(5) : 877-890. 

  5. Ju, J. I., D. H. Lee, O. K. Han, T. H. Song, and B. H. Lee. 2011.?Comparisons of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Quality of?Oat Varieties Sown in Spring and Autumn.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1(1) :?25-32. 

  6. Ju, J. I., D. H. Lee, Y. G. Seong, O. K. Han, T. H. Song, K. W. Lee,?and C. H. Kim. 2010. Comparisons of Growth, Yield and Feed?Quality at Spring Sowing among Five Winter Cereals for?Whole-crop Silage 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0(3) : 205-216. 

  7. Jung, J. S., B. Ravindran, I. Soundharrajan, M. K. Awasthi, and?K. C. Choi. 2022. Improved performance and microbial?community dynamics in anaerobic fermentation of triticale?silages at different stages. Bioresource Technology 345, 126485. 

  8. Jeong, E. C., Y. F. Li, L. L. Wang, S. H. Li, F. Ahmadi, and J.?Kim. G. 2022. Comparative Study of Seed and Straw?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GreenCall' According to Seeding Rates in the Southern?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Forage Science 42(1) : 41-46. 

  9. Kim, J. G., J. S. Ham, E. S. Chung, S. H. Yoon, M. J. Kim, H. S.?Park, and S. Seo. 2008. Evaluation of fermentation ability of?microbes for whole crop rice silage inoculant.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8(3) :?229-236. 

  10. Kim, J. G., E. S. Chung, S. Seo, W. S. Kang, J. S. Ham, and D. A.?Kim. 2001. Effect of maturity at harvest on the changes in?quality of round baled rye silage.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1(1) : 1-6. 

  11. Kim, J. G., H. S. Park, S. H. Lee, J. S. Jung, G. W. Lee, and H. J.?Ko. 2015. Evaluation of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for?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s in Korea. Journal of?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35(2):145-151. 

  12. Kim, J., R. Bharanidharan, G. Bang, S. Jeong, S. H. Park, Y. K.?Oh, and K. H. Kim. 2020. Effect of Ensilage of Rye Treated?with Formic Acid and Lactic Acid Bacteria Inoculant on?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40(4) : 244-250. 

  13. Korea Feed Ingredients Association. 2006. Planning special.?Feed Journal 4(6) : 81-111. 

  14. Lee, H. J., J. E. Byeon, S. G. Hwang, and J. W. Ryoo. 2020.?Change of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s according to?different growth stages of Italian ryegrass and triticale?cultivated in the Central Northern region.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40(1) :?50-56. 

  15. Lee, J. H., M. H. Oh, K. J. Lee, Y. S. Kim, E. H. Keum, J. E. Park,?and S. A. Kim. 2018. Optimiz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Octacosanol in Related Health-functional Foods with GCM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33(4) : 266-271. 

  16. Lee, J.H., O. Y. Jeong, J. S. Pack, H. C. Hong, S. J. Yang, Y. T.?Lee, J. G. Kim, K. I. Sung, and B. W. Kim. 2005. Analysis of?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for selecting of whole crop?rice. J. Anim. Sci & Technol. (Kor). 47(3): 355-362. 

  17. Moon, Y. H., S. C. Kim, W. G. Cho, S. S. Lee, and S. J. Cho. 2014.?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spent mushroom (Flammulina?velutipes) substrates on the fermentative quality of rye silage.?Journal of Mushroom 12(2) : 138-143. 

  18. Moon, G. B., S. B. Kim, S. W. Cha, B. D. Lee, S. K. Cho, and S.?K. Lee. 2007.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Ojeoksan?(Herbal Medicine) Meal Silage by Molasses Supplementation.?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4(1) : 77-84. 

  1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of Korea?(MAFRA). 2021. Statistical data for supply forages. 

  20. Ra, J.-E., S.-Y. Woo, K.-S. Lee, M. J. Lee, H. Y. Kim, H. M. Ham,?I.-M. Chung, D. H. Kim, J. H. Lee, and W. D. Seo. 2020.?Policosanol profiles and adenosine 5'-monophosphate-activated?protein kinase(AMPK) activation potential of Korean wheat?seedling extracts according to cultivar and growth time. Food?Chemistry 317 : 126388. 

  21. Rogge, W. F., P. M. Medeiros, and B. R. Simoneit. 2006. Organic?marker compounds for surface soil and fugitive dust from?open lot dairies and cattle feedlots. Atmospheric Environment?40(1) : 27-49.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Agricultural?Science Technology Standards for Investigation of Research?(Korean). 

  23. Song, T. H., C. S. Kang, Y. K. Cheong, J. H. Park, and T. I. Park. 2017. An optimum harvest time for making grinded silage of?barley and wheat for whole crop.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7(4) : 264-270. 

  24. Song, T. H., T. I. Park, O. K. Han, H.-H. Park, S. J. Cho, Y.-J. Oh,?H.-J. Kang, Y. W. Jang, and K.-G. Park. 2013. Effect of?Harvesting Time and Making Method on Feed Value and?Fermentative Quality in Silage of Whole Crop Barley. Korean?J. Crop Sci. 58(4): 362-366. 

  25. Tulloch, A. P. and L. L. Hoffman. 1974. Epicuticular waxes of?Secale cereale and Triticale hexaploide leaves. Phytochemistry?13(11) : 2535-2540. 

  26. Yang, J. W., J. Y. Kim, M. R. Lee, I. J. Kang, J. H. Jeong, M. R.?Park, and W. H. Kim. 2021. Identification and Chemotype?Profiling of Fusarium Head Blight Disease in Triticale.?Research in Plant Disease 27(4) : 172-1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