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균 및 유전자제거를 위한 염소 CT 값 비교
The CT values Comparisons for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nd Resistant Genes by Chlorination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2, 2014년, pp.269 - 274  

오준식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성표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항생제 내성 균과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전달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살균능 (CT, 농도 * 접촉 시간)을 서로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를 위해 각기 다른 염소 주입농도(C)와 접촉시간(T)에 따라 각각의 항생제 내성 제거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항생제 내성균 90%(1 log)이상 제어를 위해서는 CT 값(176~353 mg min/L)이 필요하였으며,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제거를 위한 CT 값은 195~372 mg min/L 이었다. 또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전이 90% 이상 제거를 위한 CT 값은 187~489 mg min/L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조건에서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 및 유전자의 전이에 대한 제어를 위해서는 항생제 내성균 제어보다 더 높은 소독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T (disinfectant concentration * time) values in removing the antibiotic resistance bacteria, antibiotic resistance gene and transfer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s. Different concentration of chlorine(C) and contact time(T) according to the removal of antib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염소 소독 이후에도 잔류할 수 있는 내성 유전자(pB10 플라스미드)가 다른 환경 미생물로의 2차 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ating 실험을 통하여 염소로 소독을 시킨 샘플의 내성 유전자가 다른 환경 미생물(Pseudomonas aeruginosa)로의 전이를 알아보았다. 그림 3의 결과를 보면, 내성 유전자의 전이 감소율, 90% 이상(1log, 2log, 3log)을 위한 CT값은 적어도 187∼489 mg·min/L이 필요하였다.
  • 즉 수계에서의 항생제 내성유전자의 사멸 또는 전이정도를 파악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항생제 내성균의 사멸과의 비교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항생제 내성균의 제거,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제거 및 항생제 내성 전달의 감소에 필요한 소독능을 비교 검토하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염소 소독공정을 continuous test로 구현하고 항생제 내성균 및 내성 유전자의 제어를 위한 CT 값을 산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완전한 항생제 내성 제어를 위해선 항생제 내성균뿐만 아니라 유전자 및 유전자 전달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더 높은 CT 값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소독공정 이후 항생제 내성균이 90%이상 제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잔류하게 되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는 수계내에 존재하여 추후 다른 미생물로 전이가 되고, 소독으로 사멸되거나 피해를 입은 항생제 내성균 역시 불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미생물로의 전이가 가능할 수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항생제 내성 제거를 위한 염소 소독 실험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항생제 내성 제거를 위한 염소 소독 실험은 continous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O.D. 값이 1.3에 도달한 항생제 내성균 (E.coli DH5./pB10) 50mL 시료를 원심분리시켜 상징수를 버린 후, 0.63M phosphate buffer solution의 버퍼로 세척, 원심분리 후 다시 재 부유 시켜 시료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항생제 내성균 시료의 농도는 108 CFU/mL 이었다. 준비된 시료에 차아염소산 나트륨(NaOCl)으로 특정 염소 농도를 주입하여 시간별로 시료를 추출하여 항생제 내성의 제거 정도를 살펴보았다. 반응 시간 동안에는 염산(HCl 1+500)을 이용하여 초기 pH 7.6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사용된 염소농도(Cl2)는 각각 0, 3, 7.5, 20 mg/L를 사용하였으며, 접촉시간동안에는 20℃ Incubator에서 150rpm으로 지속적으로 혼합시켰다. 이 염소 소독 실험은 각각 2번씩 실시하여 결과의 재연성을 살펴보았다.
모델 항생제 내성유전자인 pB10는 무엇인가? /pB10)를 모델 항생제 내성균으로 사용하였다. 모델 항생제 내성유전자는 pB10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다제 항생제 내성(amoxicillin, streptomycin, sulfame thoxazole, tetracycline) 및 수은(mercury) 내성 플라스미드로, 여러 종류의 환경 미생물들에 전달될 수 있는 플라스미드이다(Schluter et al., 2003). 항생제 내성 유전자 전달은 위의 E.
수계에서의 항생제 내성유전자의 사멸 또는 전이정도를 파악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항생제 내성균의 사멸과의 비교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즉 사멸되거나 상처받은 내성균은 기존의 배양방법을 통해 제거 정도를 산정할 경우 자라지 않기 때문에 제거 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항생제 내성유전자가 유전전이 벡터(vector) (예, plasmid)에 존재하게 되면 이를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이 죽었다하더라도 이러한 유전물질은 미생물간의 접촉을 통해 다른 환경 미생물에게 전달될 수 있다(Dodd, 2012). 즉 수계에서의 항생제 내성유전자의 사멸 또는 전이정도를 파악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항생제 내성균의 사멸과의 비교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derson, AC, Reimers, RS and Dekernion, P (1982). A brief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alternatives to chlorine disinfection of water, Public Health Briefs, 72(11), pp 1290 1293. 

  2. Auerbach, EA, Seyfried, EE and McMahon, KD (2007). Tetracycline resistance genes in activated sludg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ater Research, 41(5), pp 1143-1151. 

  3. Bader, H and Hoigne, J (1981). Determination of ozone in water by the Indigo Method, Water Research, 15, pp 449-456. 

  4. Cho, M, Kim, J, Kim, JY, Yoon J and Kim JH (2010). Mechanisms of Escherichia coli inactivation by several disinfectants, Water Research, 44(1), pp 3410-3418. 

  5. Driedger, AM, Rennecker, JL and Marinas, BJ (2000). Sequential inactivation of Cryptosporidium Parvum oocysts with ozone and free chlorine, Water Research, 34(14), pp 3591-3597. 

  6. Dodd, M. C. (2012). Potential impacts of disinfection processes on elimination and deriva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s during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J. of Environmental Monitoring, 14, pp 1754-1771. 

  7. Gary T. Howard, Bronwyn Duos and Erin J. Watson-Horzeiski (2010). Characterization of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the decomposition of a swine carcas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64(4), pp 300-304. 

  8. Gehr, R, Wagner, M, Veerasubramanian, P and Payment, P (2003). Disinfection efficiency of peracetic acid, UV and ozone after enhanced primary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 Water Research, 37, pp 4573-4586. 

  9. Hunt, NK and Marinas, BJ (1997). Kinetics of Escherichia Coli inactivation with ozone, Water Research, 31(6), pp 1355-1362. 

  10. Iwane, T, Urase, T and Yamamoto, K (2001). Possible impact of treated wastewater discharge on incidence of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in river water, Water Sci. Technol., 43(2), pp 91-99. 

  11. Kim, S, Park, H and Chandran, K (2010). Propensity of activated sludge to amplify or attenuate tetracycline resistance genes and tetracycline resistant bacteria, A mathematical modeling approach, Chemosphere, 78(9), pp 1071-1077. 

  12. Levy, S. B. (2004). Antibacterial resistance worldwide: causes, challenges and responses, Nature Medicine, 10, pp 122-129. 

  13. Macauley, JJ., Qiang, Z., Craig D., Adams, CD., Surampalli, R and Mormile MR (2006). Disinfection of swine wastewater using chlorine, ultraviolet light and ozone, Water Research, 40, pp 2017 2026. 

  14. Mezrioui, N and Baleux, B (1994). Resistance patterns of E. coli strains isolated from domestic sewage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both aerobic lagoon and activated sludge, Water Research, 28(11), pp 2399-2406.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Guideline book of reuseing treated waste water 

  16. Murray. GE., Tobin. RS., Junkins. B., and Kushner DJ. (1984). Effect if chlorination on antibiotic resistance profiles of sewage related bacteria,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48(1), pp 73-77 

  1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5). Monitoring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endocrine disruptors(EDs) in Yeongsan and Seomjin rivers basins 

  18. Richardson, SD, Plewa, MJ, Wagner, ED, Schoeny, R and DeMarini, DM (2007). Occurrence, genotoxicity, and carcinogenicity of regulated and emerging disinfection byproducts in drinking water: a review and roadmap for research, Mutation Research Reviews in Mutation Research, 636(1-3), pp 178 -242. 

  19. Rosal, R, Rodriguez, A, Perdigon-Melon JA, Petre, A, Garcia-Calvoa, E, Gomez, MJ, Aguera, A and Fernandez-Alba, AR (2010). Occurrence of emerging pollutants in urban wastewater and their removal through biological treatment followed by ozonation, Water Research, 44, pp 578-588. 

  20. Schluter, A, Heuer, H, Szczepanowski, R, Forney, LJ., Thomas, CM, Puhler, A and Top, EM (2003). The 64 508 bp IncP-1b antibiotic multiresistance plasmid pB10 isolated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provides evidence for recombination between members of different branches of the IncP-1b group, Microbiology, 149, pp 3139-3153. 

  21. Von Gunten, U (2003). Ozonation of drinkingwater: Part II. Disinfection and by-product formation in presence of bromide, iodide or chlorine, Water Research, 37, pp 1469-1487. 

  22. Watson HE. (1908). A note on the variation of the rate of disinfection with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J. of hygiene, 8, pp 536-542 

  23. WHO (2008). Guidelines for drinking water quality. 

  24. Zhao, YY, Boyd, JM, Woodbeck, M, Andrews, RC, Qin, F, Hrudey, SE, Li, XF (2008). Formation of N-nitrosamines from eleven disinfection treatments of seven different surface waters, Environ. Sci. & Tec., 42(13), pp 4857-48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