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분과 미량원소가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 and Micronutrients on the Growth Rate of Bloom from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2 no.2, 2014년, pp.129 - 137  

이주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장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한명수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terosigma akashiwo의 대발생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환경 요인들에 따른 성장률을 각각 비교하였다. 환경요인, 염분, N:P ratio, 철 (Fe), 셀레늄 (Se)을 대상으로 국내 배양주 2종과 국외 배양주 1종의 성장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H. akashiwo 배양주는 염분과 철의 농도에 따른 최대 성장률의 특성을 기반으로 지리학적 특이성을 찾기는 힘들었으나, 염분에 대한 내성은 강하여 10 psu에서 40 psu에서 생존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N:P ratio와 셀레늄은 국내 배양주와 국외 배양주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생리학적 특성에 대한 결과를 보았을 때, H. akashiwo가 염분에 대한 높은 내성을 기반으로 우점할 수 있으며, 풍부한 영양염을 이용하여 더욱 빠른 성장으로 대발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bloom, we investigated the cell division pattern of its strains under various physicochemical conditions from three different origin. Among the three tested strains, HYM06HA and NFHTS-AK-1, are belong to South Korea and CCMP452 stra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kashiwo 유영세포의 생리학적 특성의 경우 그 연구가 전무하다. 따라서 본연구는 H. akashiwo의 대발생 기작 중에서 빠른 분열에 초점을 맞추고, 세포분열에 영향을 끼치는 화학적 환경요인들에 따른 성장률을 각각 비교하여 대발생 기작을 이해하고자 한다.
  • 본 연구 에서는 배양기간 중 최대 성장률(μMax)을 기반으로 실험 군에 따른 성장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생태학적으로 적조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은 대상 생물의 유입과 온도, 염분, 영양염 등과 같은 성장 조건, 그리고 수문학과 기상학으로 알려져 있다(Steidinger and Haddad 1981). 본 연구는 대발생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H. akashiwo의 성장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적조 심화 기작에 중요한 성장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과거에 국외에서 발생한 H.
  • 그러나 지리적 기원이 다른 종의 경우, 염분 내성과 생리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률이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Smayda 1998), 국내에 서는 이와 같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휴면 포자 분리가 어려워 국내에서 토착화한 배양주의 확보가 힘든 실정이었다. 이러한 부분을 보강하여 본 연구는 휴면포자를 발아시켜 확보한 국내 토착 배양주와 더불어 유영세포에서 분리한 국내 배양주, 그리고 미국에서 분리한 배양주를 이용하여 그들의 성장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 akashiwo 대 발생의 중요한 원인은 무엇인가? H. akashiwo 대 발생에서 중요한 요인은 빠른 분열과 휴면포자 (cyst)의 발아이며, 특히 빠른 분열은 높은 밀도의 대 발생 형성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다 (Bearon et al. 2006).
Heterosigma akashiwo에 의한 적조 피해의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Heterosigma akashiwo 는 캐나다, 미국, 칠레 등에서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대 발생으로 수년간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였다. 예로, 중국에서는 1985년부터 대련 항과 중국해 북부 지역에서 매년 H. akashiwo에 의한 적조 피해가 발생하고 있고 (Tseng et al. 1993), 일본에서도 1955년에 가고시마 만에서 대규모 적조로 인한 양식장에서의 새끼 방어의 대규모 폐사로 인한 피해가 보고된 바 있다 (Khan et al. 1997). 국내에서도 매년 높은 밀도로 대 발생을 야기 시키고 있다 (Kim et al. 1990; Kim 2006). H.
침편모조류는 무엇을 야기시키는 원인인가? 황색조식물문(Chromophyte)에 속한 침편모조류(Raphidophytes)의 대 발생은 전 세계적으로 어류의 대량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왔다 (Honjo 1993; Odebrecht and Abreu 1995; Munday and Hallegraeff 1998; Bourdelais et al. 2002; Hand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earon RN, D Grunbaum and RA Cattolico. 2006. Effects of salinity structure on swimming behavior and harmful algal bloom formation in Heterosigma akashiwo, a toxic raphidophyte. Mar. Ecol. Prog. Ser. 306:153-163. 

  2. Bourdelais AJ, CR Tomas, J Naar, J Kubanek and DG Baden. 2002. New fish-killing alga in coastal Delaware produces neurotoxin. Environ. Health Persp. 110:465-470. 

  3. Boyer GL and LE Brand. 1998. Trace elements and harmful algal blooms. pp.489-580. In physiological Ecology of Harmful Algal Blooms (Anderson DM, AD Cembella and GM Hallegraeff eds.). Springer. Berlin. Germany. 

  4. Brand LE, RRL Guilard and LS Murphy. 1981. A method for the rapid and precise determination of acclimated phytoplankton reproduction rates. J. Plankton Res. 3:193-201. 

  5. Brand LE, WG Sunda and RRL Guillard. 1983. Limitation of marine phytoplankton reproductive rates by zinc manganese and iron. Limnol. Oceanogr. 28:182-198. 

  6. Bruland KW, EL Rue and GJ Smith. 2001. Iron and macronutrients in California coastal upwelling regimes: implications for diatom blooms. Limnol. Oceanogr. 46:1661-1674. 

  7. Connell LB. 2000. Nuclear ITS region of the alga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is identical in isolates from Atlantic and Pacific basins. Mar. Biol. 136:953-960. 

  8. Diehl S, SA Berger, R Ptacnik and A Wild. 2002. Phytoplankton, light, and nutrients in a gradient of mixing depths: field experiments. Ecology 83:399-411. 

  9. Doblin MA, SI Blackburn and GM Hallegraeff. 2000. Intraspe- cific variation in the selenium requirement of different geographic strains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J. Plankton Res. 22:421-432. 

  10. Erga SR and BR Heimdal. 1984. Ecological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of Korsfjorden, western Norway. The dynamics of a spring bloom seen in relation to hydrographical conditions and light regime. J. Plankton Res. 6:67-90. 

  11. Guillard RRL, P Kilham and TA Jackson. 1973. Kinetics of silicon-limited growth in the marine diatom Thalassiosira pseudonana Hasle and Heimdal (Cyclotella nana Hustedt). J. Phycol. 9:233-237. 

  12. Hallegraeff GM, MA McCausland and PK Brown. 1995. Early warning of toxic dinoflagellate blooms of Gymnodinium catenatum in southern Tasmanian waters. J. Plankton Res. 17:1163-1176. 

  13. Handy SM, KJ Coyne, KJ Portune, E Demir, MA Doblin, CE Hare, SC Cary and DA Hutchins. 2005. Evaluating vertical migration behavior of harmful raphidophytes in the Delaware Inland Bays utiliz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Aquat. Microb. Ecol. 40:121-132. 

  14. Haque SM and Y Onoue. 2002. Effects of salinity on growth and toxin production of a noxious phytoflagellate,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Bot. Mar. 45:356-363. 

  15. Honjo T. 1993. Overview on bloom dynamics and physiological ecology of Heterosigma akashiwo. pp.33-41. In Toxic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Smayda TJ and Y Shimizu eds.). Elsevier. Amsterdam. 

  16. Hutchins DA and KW Bruland. 1998. Iron-limited diatom growth and Si:N uptake ratios in a coastal upwelling regime. Nature 393:561-564. 

  17. Hutchins DA, GR Di Tullio, Y Zhang and KW Bruland. 1998. An iron limitation mosaic in the California upwelling regime. Limnol. Oceanogr. 43:1037-1054. 

  18. Imai I and S Itakura. 1999. Importance of cysts in the population dynamics of the red tide flagellate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Mar. Biol. 133:755-762. 

  19. Ishimaru T, T Takeuchi, Y Fukuyo and M Kodama. 1989. The selenium requirement of Gymnodinium nagasakiense. pp. 357-360. In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Toxicology (Okaichi A and K Nemoto eds.). Elsevier. Sci. Obul. Co. Inc. Amsterdam. 

  20. Kempton J, CJ Keppler, A Lewitus, A Shuler and S Wilde. 2008. A novel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bloom extending from a South Carolina bay to offshore waters. Harmful Algae 7:235-240. 

  21. Khan S, O Arakawa and Y Onoue. 1997. Neurotoxins in a toxic red tide of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in Kagoshima Bay, Japan. Aquacul. Res. 28:9-14. 

  22. Ki JS, GY Jang and MS Han. 2004. Integrated method for single- cell DNA extraction, PCR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of the ribosomal DNA from the harmful dinoflagellates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Alexandrium catenella. Mar. Biotechnol. 6:587-593. 

  23. Kim HG. 2006. Mitigation and controls of HABs. pp. 327-338. In Ecology of Harmful Algae (Graneeli E and JT Terner eds.). Ecological Studies, Vol. 189.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4. Kim HG, JS Park and SG Lee. 1990. Coastal algal blooms caused by the cyst-forming dinoflagellates. Bull. Korean Fish. Soc. 23:468-474. 

  25. Kim MC. 2006. Algal Growth Potential (AGP) Assay Using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in Pukman Bay,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12:81-87. 

  26. Lee J and MS Han. 2007. Change of blooming pattern and population dynamics of phytoplankton in Masan Bay, Korea. Ocean Sci. J. 12:147-158. 

  27. Li D, W Cong, Z Cai, D Shi and F Ouyang. 2002. Response of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marine red tide alga Heterosigma akashiwo to iron and iron stress condition. Biotechnol. Lett. 24:743-747. 

  28. Mahouney JB and JJA Mc Laughlin. 1979. Salinity influence on the ecology of phytoflagellate blooms in lower New York Bay and adjacent waters. J. Exp. Mar. Biol. Ecol. 37:213-223. 

  29. Maldonado MT, MP Hughes, EL Rue and ML Wells. 2002. The effect of Fe and Cu on growth and domoic acid production by Pseudo-nitzschia multiseries and Pseudo-nitzchia australis. Limnol. Oceanogr. 47:515-526. 

  30. Martin JH and SE Fitzwater. 1988. Iron deficiency limits phytoplankton growth in the north east Pacific subarctic. Nature 331:341-343. 

  31. Martinez R, E Orive, A Laza-Martinez and AS Seoane. 2010. Growth response of six strains of Heterosigma akashiwo to varying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conditions. J. Plankton Res. 32:529-538. 

  32. McIntoch L, RA Cattolico. 1978. Preservation of algal and higher plant ribosomal RNA integrity during extraction and electrophoretic quantitation. Anal. Biochem. 91:600-612. 

  33. Munday BL and GM Hallegraeff. 1998. Mass mortality of captive southern Bluefin tuna (Thunnus Maccoyii) in April/May 1996 in Boston Bay, South Australia: a complex diagnostic problem. Fish Pathol. 33:343-350. 

  34. Odebrecht C and PC Abreu. 1995. Raphidophycean in southern Brazil IOC UNESCO. Harmful Algal News 12:4. 

  35. Paerl HW. 1997. Coastal eutrophication and harmful algal blooms: Importance of atmospheric deposition and groundwater as "new" nitrogen and other nutrient sources. Limnol. Oceanogr. 42:1154-1165. 

  36. Paerl HW, J Rudek and MA Mallin. 1990. Stimulation of phytoplankton production in coastal waters by natural rainfall inputs: nutritional and trophic implications. Mar. Biol. 170: 247-254. 

  37. Shikata T, S Yohikawa, T Matsubara, W Tanoue, Y Yamasaki, Y Shimasaki, Y Matsuyama, Y Oshima, IR Jekinson and T Honjo. 2008. Growth dynamics of Heterosigma. Eur. J. Phycol. 43:395-411. 

  38. Smayda TJ. 1998. Ecophysiology and bloom dynamics of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pp.113-131. In Physiological ecology of harmful algal blooms (Anderson DM, AD Cembella and GM Hallegraeff eds.). NATO ASI Series 41. Springer-Verlag, Berlin. 

  39. Steidinger KA and K Haddad. 1981. Biologic and hydrographic aspects of red tides. Bio. Science 31:814-819. 

  40. Sunda WG and SA Huntsman. 1995. Iron uptake and growth limitation in oceanic and coastal phytoplankton. Mar. Chem. 50:189-206. 

  41. Taylor FJR and R Haigh. 1993. The ecology of fish-killing blooms of the chloromonad flagellate Heterosigma in the Strait of Georgia and adjacent waters. pp.705-710. In Toxic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Smayda TJ and Y Shimizu eds.). Elsevier. Amsterdam. 

  42. Tomas CR. 1980. Olisthodiscus luteus (Chrysophyceae) V. Its occurrence, abundance and dynamics in Narragansett Bay, Rhode Island. J. Phycol. 16:157-166. 

  43. Tseng CK, MJ Zhou and JZ Zou. 1993. Toxic phytoplankton studies in China. pp.347-352. In Toxic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Smayda TJ and Y Shimizu eds.). Elsevier. Amsterdam. 

  44. Van Leeuwe MA, R Scharek, HJW Baar, JTM Jong and L Goeyens. 1997. Iron enrichment experiments in the Southern Ocean: physiological responses of plankton communities. Deep-Sea Res. II 44:89-207. 

  45. Watanabe M and Y Nakamura. 1984a. Growth characteristics of red tide flagellate, Heterosigma akashiwo (Hada) 2. The utilization of nutrients. Res. Rep. Natl. Inst. Environ. Stud. Jpn. 63:59-68. 

  46. Watanabe M and Y Nakamura. 1984b. Growth characteristics of red tide flagellate, Heterosigma akashiwo (Hada) 1. The effect of temperature, salinity, light intensity and pH on growth. Res. Rep. Natl. Inst. Environ. Stud. Jpn. 63:51-58. 

  47. Yamochi S. 1983. Mechanisms for outbreak of Heterosigma akashiwo red tide in Osaka Bay, Japan. J. Oceanogr. Soc. Japan 39:310-316. 

  48. Yamochi S and TA Be. 1984. Mechanisms to initiate a Heterosigma akashiwo red tide in Osaka Bay II Diel vertical migration. Mar. Biol. 83:255-261. 

  49. Zhang J. 2000. Evidence of trace metal limited photosynthesis in eutrophic estuarine and coastal waters. Limnol. Oceanogr. 45:1871-18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