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_2$와 수온 증가에 대한 봄철 저수온기 팔당호 식물플랑크톤군집 변화
Phytoplankton Community Change of Lake Paldang by Increasing $CO_2$ and Temperature during Spring Cold Water Season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4, 2013년, pp.588 - 595  

이가람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성은주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박혜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박채홍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박명환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황순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봄철 저수온기 팔당호 수역의 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하여 수온과 $CO_2$ 증가가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2년 3월 팔당호 경안천하류 광동교 부근의 현장수를 이용하여 수온증가와 $CO_2$ 농도증가를 네 가지 실험군, (1) Control; 저온(현장수온)과 저농도(공기중) $CO_2$ ($6{\pm}2^{\circ}C$, 400 ppm), (2) T1; 저온과 고농도 $CO_2$ ($6{\pm}2^{\circ}C$, 800 ppm), (3) T2; 고온과 저농도 $CO_2$ ($20{\pm}2^{\circ}C$, 400 ppm), (4) T3; 고온과 고농도 $CO_2$ ($20{\pm}2^{\circ}C$, 800 ppm)으로 하여 각각 실험하였다. 가장 높은 조류성장을 보인 실험군은 T1으로 현장 온도조건에 적응한 조류 군집에 $CO_2$를 첨가한 결과이다. 현장수의 주요 우점종은 Cyclotella meneghiniana로 나타났고,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고온 실험군(T2, T3)에서는 중심돌말류 Cyclotella meneghiniana에서 깃돌말류 Fragilaria capucina var. gracilis로 우점종의 천이가 나타났다. 모든 실험군에서 규조류가 우점하였고, 고온 실험군 T2, T3에서 배양 후반기에 남조류가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수온기 수온증가는 팔당호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변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CO_2$ 농도 증가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라 담수생태계의 식물플랑크톤의 성장과 군집변화의 잠재성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CO_2$ increase on phytoplankton growth and community structure during cold water season (spring) in Lake Paldang, Korea. Four experimental treatments of temperature and $CO_2$ manipulation were prepared in the laborato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중생물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국내에서 기후변화에 의한 담수생태계의 영향 연구는 아직까지 극히 드물다. 본 연구는 호수생태계에서 기후변화의 생태학적 잠재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환경적 변화에 대한 영향이 큰 저온기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대상으로 성장과 군집변화에 미치는 수온과 CO2 증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CC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경에 지구의 평균 기온이 얼마나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는가? 또한 IPCC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0년간(1906~2005) 지구의 평균 기온은 0.74oC 증가하였고, 현재의 추세대로 화석연료 의존적인 인간 활동이 지속된다면 2100년경에는 지구의 평균 기온이 6.4oC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지난 100년간 지구의 평균 기온증가의 2배가 넘는 1.
지구온난화에 의한 수온증가의 악영향은 무엇인가? 특히 수생태계에서 온도변화는 물이라는 매질의 특성상 육상생태계보다 변화가 매우 느리지만 일단 영향이 나타나면 그 파급효과는 훨씬 크게 된다. 예를 들면,수온증가는 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가장 빠르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1차생산자인 조류의 생리학적 상태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생태학적으로 종조성과 천이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먹이사슬을 통해 최상위 영양단계에 있는 어류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다(Noiri et al., 2005; Hutchins et al.
UN 기후변화협약이 온실가스로 정의한 것은 무엇인가? UN 기후변화협약이 온실가스로 정의한 이산화탄소(CO2), 메탄 (CH4), 아산화질소 (N2O), 수소불화탄소(HFC), 과불화탄소(PFC), 육불화황(SF6) 등은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물질로서, 현재까지 보고된 많은 연구에 의해서 이들 온실가스에 의한 기후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은 부정하기 어렵다.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for climate change: 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는 지구온난화에 의해 금세기 말까지 지구표면 온도가 1~4oC 증가할 것이며, 아울러 대기 중 CO2 농도는 750 ppm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하였다(IPCC,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PHA. 200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st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 C. USA. 

  2. Beardall, J., A. Johnston and J. Raven. 1998. Environmental regulation of CO2-concentrating mechanisms in microalgae. Canadian Journal of Botany 76: 1010-1017. 

  3. Belgrano, A., O. Lindahl and B. Hernroth. 1999. North Atlantic Oscillation (NAO) primary productivity and toxic phytoplankton in the Gullmar Fjord, Sweden (1985.96).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66: 425-430. 

  4. Biswas, H., A. Cros, K. Yadav, V.V. Ramana, V.R. Prasad, T. Acharyya and P.V.R. Babu. 2011. The response of a natural phytoplankton community from the Godavari River Estuary to increasing $CO_{2}$ concentration during the premonsoon period.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407: 284-293. 

  5. Choi, K.H., S.J. Hwang, H.S. Kim and M.S. Han. 2003. Temporal changes of limiting nutrients and phytoplankton growth rate in Lake Paldang.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6: 139-149. 

  6. Chung, J. 1993. Illustration of the freshwater algae of Korea. Academybook, Seoul, Korea. 

  7. Feng, Y., C.E. Hare, K. Leblanc, J.M. Rose, Y. Zhang, G.R. DiTullio, P. Lee, S. Wilhelm, J.M. Rowe and J. Sun. 2009. The effects of increased $pCO_{2}$ and temperature on the north Atlantic spring bloom: I. the phytoplankton community and biogeochemical response. Marin Ecology Progress Series 388: 13-25. 

  8. Feng, Y., M.E. Warner, Y. Zhang, J. Sun, F.X. Fu, J.M. Rose and D.A. Hutchins. 2008. Interactive effects of increased $pCO_{2}$ , temperature and irradiance on the marine coccolithophore Emiliania huxleyi (Prymnesiophyceae).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43: 87-98. 

  9. Fromentin, J.M. and B. Planque. 1996. Calanus and the environment in the eastern North Atlantic. II: Influence of the North Atlantic Oscillation on C. finnmarchicus and C. helgolandicu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34: 111-118. 

  10. Fu, F.X., M.E. Warner, Y. Zhang, Y. Feng and D.A. Hutchins. 2007. Effects of increased temperature and $CO_{2}$ on photosynthesis, growth, and elemental ratios in marine synechococcus and prochlorococcus (cyanobacteria). Journal of Phycology 43: 485-496. 

  11. Graham, L.E., J.M. Graham and L.W. Wilcox. 2009. The Roles of Algae in Biogeochemistry, p. 18-37. In: ALGAE (2nd ed.). Pearson Education, London, UK. 

  12. Gudmundsdottir, R., G.M. Gislason, S. Palsson, J.S. Olafsson, A. Schomacker, N. Friberg, G. Woodward, E.R. Hannesdottir and B. Moss. 2011. Effects of temperature regime on primary producers in Icelandic geothermal streams. Aquatic Botany 95: 278-286. 

  13. Hare, C.E., K. Leblanc, G.R. DiTullio, R.M. Kudela, Y. Zhang, P.A. Lee, S. Riseman and D.A. Hutchins. 2007. Consequences of increased temperature and CO2 for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Bering Sea. Marin Ecology Progress Series 352: 9-16. 

  14. Hutchins, D.A., F. Fu, Y. Zhang, M.E. Warner, Y. Feng, K. Portune, P.W. Bernhardt and M.R. Mullholland. 2007. $CO_{2}$ control of trichodesmium $N_{2}$ fixation, photosynthesis, growth rates, and elemental ratios: Implications for past, present, and future ocean biogeochemistry. Limnology and Oceanography 52: 1293-1304. 

  15. Hutchinson, G.E. 1957. A Treatise on Limnology. I. Geography, Physics, and 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6.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D. Qin, M. Manning, Z. Chen, M. Marquis, K.B. Averyt, M. Tignor and H.L. Miller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USA. 

  17. Johnson, V., C. Brownlee, R.E.M. Rickaby, M. Graziano, M. Milazzo and J. Hall-Spencer. 2013. Responses of marine benthic microalgae to elevated $CO_{2}$ . Marine Biology 160(8): 1813-1824. 

  18. Kim, J.K., S.H. Lee, H.H. Bang and S.O. Hwang. 2009.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in lake Paldang.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1: 325-331. 

  19. Kim, Y.J. 1996.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trophic states using indicators in lake Paltang.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29: 323-345. 

  20. Komarek, J. 1991. A review of water-bloom forming Microcystis species with regard to populations from Japan. Archiv fur Hydrobiologie Supplement, Algological Studies 64: 115-127. 

  21.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 Bacillariophyceae. 3. Centrales, Fragilariaceae, Eunituaceae.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2 Ed.) 2(3): 1-576. Gustav Fischer, Stuttgart. 

  22. Lassen, M.K., K.D. Nielsen, K. Richardson, K. Garde and L. Schluter. 2010. The effects of temperature increases on a temperate phytoplankton community-A mesocosm climate change scenario.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383: 79-88. 

  23. Lomas, M.W. and P.M. Gilbert. 1999. Temperature regulation of nitrate uptake: A novel hypothesis about nitrate uptake and reduction in cool-water diatoms. Limnology and Oceanography 44: 556-572. 

  24.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2004. The Korea climate change for 100 years and future outlook.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25. McKee, D., D. Atkinson, S.E. Collings, J.W. Eaton, A.B. Gill, I. Harvey, K. Hatton, T. Heyes, D. Wilson and B. Moss. 2003. Response of freshwater microcosm communities to nutrients, fish, and elevated temperature during winter and summer. Limnology and Oceanography 48: 707-722. 

  26. Noiri, Y., I. Kudo, H. Kiyosawa, J. Nishioka and A. Tsuda. 2005. Influence of iron and temperature on growth, nutrient utilization ratios and phyt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in the western subarctic Pacific Ocean during the SEEDS experiment. Progress in Oceanography 64: 149-166. 

  27. Park, H.J., B.H. Kim, D.S. Kong and S.J. Hwang. 2012. The effect of elevated $CO_{2}$ level on the water quality and periphytic algal community in indoor experimental channels. 2012 Korea Society of Limnology Congress. P-146. 

  28. Park, H.K. and W.H. Jheong. 2003. Long-term changes of algal growth in Lake Palda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19: 673-684. 

  29. Reid, P.C., M. Edwards, H.G. Hunt and A.J. Warner, 1998. Phytoplankton change in the North Atlantic. Nature 391: 546-546. 

  30. Reynolds, C.S. 1980. Phytoplankton assemblages and their periodicity in stratifying lake systems. Ecography 3: 141-159. 

  31. Reynolds, C.S. 1984. Phytoplankton periodicity: the interactions of form, function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Freshwater Biology 14: 111-114. 

  32. Sandgren, C.D., J.P. Smol and J. Kristianse. 1995. Chrysophyte algae. Ecology, phylogeny and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33. Sommer, U., Z.M. Gliwicz, W. Lampert and A. Duncan. 1986. The PEG-model of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events in fresh waters. Archiv fur Hydrobiologie 106: 433- 471. 

  34. Straile, D. and W. Geller. 1998. The response of Daphnia to changes in trophic status and weather patterns: a case study from Lake Constance. 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55: 775-782. 

  35. Wetzel, R.G. 2001. Planktonic communities: Algae and Cyanobacteria, p. 331-394. In: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3rd ed.). Academic Press, California, USA. 

  36. Weyhenmeyer, G.A. 2001. Warmer Winters: Are Planktonic Algal Populations in Sweden's Largest Lakes Affected? Ambio: A Journal of the Human Environment 30: 565-571. 

  37. Wolf-Gladrow, D.A., U. Riebesell, S. Burkhardt and J. Bijma. 1999. Direct effects of $CO_{2}$ concentration on growth and isotopic composition of marine plankton. Tellus 51B: 461-476. 

  38. You, K.A., M.S. Byeon, S.J. Youn, S.J. Hwang and D.H. Rhew. 2013. Growth characteristics of blue-green algae (Anabaena spiroides) causing tastes and odors in the North Han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 135-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