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못 조성년도와 크기에 따른 잠자리 군집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y According to Age and Size of Pond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3, 2014년, pp.293 - 301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피재황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정태준 (국립생태원 생태정보관리팀)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내 15개 인공연못의 조성연도와 연못 면적에 따른 잠자리 군집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잠자리는 총 6과 36종이었으며, 잠자리과가 19종으로 가장 많았다. 출현빈도와 밀도를 고려하여 상대적 중요치를 측정한 결과, 아시아실잠자리와 밀잠자리가 가장 높았으며, 큰청실잠자리, 애기좀잠자리, 먹줄왕잠자리 등 16종은 상대적으로 희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년수에 따라 우점종은 1~3년는 아시아실잠자리, 4~6년는 된장잠자리-밀잠자리-고추좀잠자리, 10년 이상은 방울실잠자리-아시아실잠자리로 나타나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조성연도와 종다양성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10년 이상이 지난 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1~3년된 연못보다 높았다. 산란유형은 분산분석결과 10년 이상 된 인공연못이 식물 내 산란 종수와 타니산란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연못면적이 넓을수록 종다양성지수는 증가하였으며, 잠자리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인공연못조성 면적은 $100{\sim}300m^2$내외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15 artificial ponds in Seoul have been examin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y according to age and size of pond. We found 6 Families 36 Species of Odonata community, and Libellulidae was the most frequent and 19 Species were observed among Libellulidae. Considering relative 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잠자리 성충 조사를 통하여 잠자리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환경 요인 중에서 연못 조성연도에 따라 잠자리 군집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와 연못 면적과 잠자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습지생태 복원 시 잠자리를 목표종으로 할 경우 조성 면적과 출현종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식물 조직 외 산란을 하는 종류도 다양한 방법으로 산란을 하는 등 잠자리들은 산란에 있어 서로 다른 생태적지위를 가지고 있다. 본 조사에서는 연못 조성년수에 따라 출현하는 잠자리의 산란방법이 다른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란방법을 6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 서울에 서식하는 잠자리들의 상대적인 중요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에 서식하는 잠자리의 상대우점치를 산출하였다. 15개 조사구를 종합한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에서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높아 서울시를 대표할 수 있는 잠자리 종은 아시아실잠자리, 밀잠자리, 된장잠자리였으며, 넉점박이잠자리, 묵은실잠자리, 여름좀잠자리, 검은물잠자리, 대륙좀잠자리, 가는실잠자리는 상대적인 중요성이 높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못에는 어떤 생명체가 서식하는가? 연못은 잠자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수서곤충들과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 다양한 생명체가 서식하는 공간이다. 생물 종다양성은 이주나 멸종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대적인 중요성은 시간이나 공간의 규모에 의해 결정되어진다(Huston, 1994).
잠자리는 연못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인가? 잠자리는 연못에서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 고차 소비자로 연못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부분의 잠자리들은 호수나 연못, 늪지, 논습지, 계류 등에서 번식한다.
잠자리 출현현황 조사를 실시한 시간은? 종 동정은 Jung(2007), Lee(2001)를 참고 하였으며, 명명은 Jung(2007)을 따랐다. 조사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6월과 8월에 각각 1회씩 실시하였으며, 조사시간은 햇빛이 잘 비추고, 잠자리의 활동이 활발하여 종이 풍부한 시간(Schmidt, 1985; Samways and Steytler, 1996)인 10시부터 4시 사이에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ernath, B., Szedenics, G., Wildermuth, H. and G. Horvath(2002) How can dragonflies discern bright and dark waters from a distance? The degree of polarisation of reflected light as a possible cue for dragonfly habitat selection. Freshwater Biology 47: 1707-1719. (in English) 

  2. Clark, T. E. and M. J. Samways(1996) Dragonflies(Odonata) as indicators of biotope quality in th Kruger National Park, South Africa. Journal of Applied Ecology 33: 1001-1012. (in English) 

  3. Clausnitzer, V.(2003) Dragonfly communities in coastal habitats of Kenya: indication of biotope quality and the need of conservation measure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2: 333-356. (in English) 

  4. Cleary, D. F. R., A. O. Mooers, K. A. O. Eichhorn, J. van Tol, R. de Jong and S. B. J. Menken(2004) 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butterflies and odonates in an ENSO-induced fire affected habitat mosaic: a case study from East Kalimantan, Indonesia. Oikos 105: 426-446. (in English) 

  5. Corbet, P. S.(1999) Dragonflies: Behavior and Ecology of Odonata. Cornell University Press, New York. 802pp. (in English) 

  6.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in English) 

  7. Gaston, K. J. and J. I. Spicer(2004) Biodiversity an introduction. Blackwell Publishing, Malden. 191pp. (in English) 

  8. Gibbons, L. K., Reed J. M. and Chew F. S.(2002) Habitate requirements and local persistence of three damselfly species (odnata: coenagrionidae). Journal of Insect Conservation 6: 47-55. (in English) 

  9. Hill, J. K. and K. C. Hamer(2004) Determining impacts of habitat modification on diversity of tropical forest fauna: the importance of spatial scale. Journal of Applied Ecology 41: 744-754. (in English) 

  10. Huston, M. A.(1994) Biological Diversity: the Coexistence of Species on Changing Landscap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in English) 

  11. Jung, K. S.(2007) Odonata of Korea. Ilgongyuksa, 512pp. (in Korean) 

  12. Kadoya, T., S. I. Suda and I. Washitani(2004) Dragonfly species richness on man-made ponds: effects of pond size and pond age on newly established assemblages. Ecological Research 19: 461-467. (in English) 

  13. Kim, D. G., J. W. Yum, T. J. Yoon, and Y. J. Bae(2006a) Effect of Temperature on Hatching Rate of Nannophya pygmaea eggs(Odonata: Libellulidae). Kor. J. Appl. Entomol. 45(3): 381-3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D. H., H. C. Park and C. E. Lee(1984) About the chromosome of a damselfly Calopteryx atrata Selys(Zygoptera: Odonata). Nature and Life 14(1): 13-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D. H., W. H. Park, H. C. Park and C. E. Lee(1985) A Phylogenetic Study on Some Korean damselflies(Zygoptera, Odonata). Nature and Life 15(1): 23-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J. S., J. I. Kwak, T. H. Noh and P. I. Yi(2013)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ies based on Habitat Types of Superb Biotope in Wonju City, Korea. Kor. J. Env. Eco 27(2): 209-2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K. D., D. S. Park, D. H. Shin, B. N. Han, H. W. Oh, Y. N. Youn and H. Y. Park(2006b) Characterization of Ligninase Producing Strain, Serratia macescens HY-5 isolated from Sympetrum depressiusculum. Kor. J. Appl. Entomol. 45(3): 301-3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M. H., M. S. Han, C. M. Choi, H. S. Bang, M. P. Jung, Y. E. Na and K. K. Kang(2010) Flora and Life Form of Habitats for Nannophya pygmaea Rambur. Kor. J. Env. Agri 29(2): 206-2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E. H., H. K. Jang, M. Y. Park, J. H. Yoon, J. G. Kim, Y. J. Bae(2008) A Preliminary Study on a Restoration of Habitats for Nannophya pygmaea Rambur (Odonata: Libellulieae). Kor. J. Env. Eco. 22(1): 35-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M. C.(1985) One Unrecorded Species of the Genus Sympetrum Newman(Odonata, Libellulidae) from Korea. Korean Arachnol. 1(1): 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Y. M.(2002) Statistics Ecology. Je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Korea, 262pp. (in Korean) 

  22. Lee, S. M.(2001) The Dragonflies of Korean Peninsula(Odonata). Junghaeng-Sa, 229pp. (in Korean) 

  23. McGeoch, M. A. & Samways, M. J.(1991). Dragonflies and the thermal landscape: implications for their conservation. (Anisoptera). Odonatologica, 20: 303-20. (in English) 

  24. Ock, M. S. and C. E. Lee(1981) On the Alimentary Canal of Larvae and Adults of Anax parthenope (Odonata, Anisoptera). Nature and Life 11(2): 51-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Oertli, B., Auderset Joye, D., Castella, E., Juge, R., Cambin, D., Lachavanne, J.-B.(2002) Does size ma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pond area and biodiversity. Biological Conservation 104: 59-70. 

  26. Owen, D. F.(1971) Species diversity in butterflies in a tropical garden. Biological Conservation 3: 191-198. (in English) 

  27. Pielou, E. 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385pp. (in English) 

  28. Samways M. J. and N. S. Steytler(1996) Dragonfly(Odonata) distribution patterns in urban and forest landscapes, and recommendations for riparian management. Biological Conservation 78: 279-288. (in English) 

  29. Schmidt, E.(1985) Habitat inventarization, characterization and bioindication by a 'Representative Spectrum of Odonata species (RSO)'. Odonatologica, 14, 127-133. 

  30. Shannon, C. 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in English) 

  31. Steffen, O.(2005a) Comparison of two Odonata communities from a natural and a modified rainforest in Papua New Guinea. International Journal of Odonataology 9(1): 89-102. (in English) 

  32. Steffen, O.(2005b) Habitat association of an Odonata community in a lower montane rainforest in Papua New Guinea. International Journal of Odonataology 8(2): 243-257. (in English) 

  33. Stewart, D. A. B.(1993). Dragonfly assemblage composition relative to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outhern rivers of the Kruger National Park. MSc thesis, Department of Zoology and Entomology, University of Natal, Pietermaritzburg. (in English) 

  34. Steytler, N. S. and Samways, M. J.(1995). Biotope selection by adult male dragonflies (Odonata) at an artificial lake created for insect conservation in South Africa. Biol. Conserv., 72: 381-386. (in English) 

  35. Ubukata, H. and Y. Kurauchi(2007) Assessment of lake environment using dragonfly assemblage: A case study at Lake Takkobu, Kushiro Marsh, northern Japan. Japanese Journal of Limnology 68: 131-144. (in English) 

  36. Yoon, J. H., H. C. Park and C. E. Lee(1996) Morphological Taxonomy of Genus Sympetrum from Korea(Libellalidae : Odonata). J. Nat. Hist. Soc. Korea 2(1): 7-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Yum, J. H.(2000) Systematics of the Zygoptera(Odonata, Insecta) in Korea. Master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81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