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족부질환 여부에 따른 당뇨병 환자의 생활습관, 식습관, 자가관리 및 Diabetes fatalism
Lifestyle, Diet, Self-care, and Diabetes Fatalism of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Diabetic Foot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9 no.3, 2014년, pp.241 - 249  

최정하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주희 (수원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이홍미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합병증으로 당뇨병성 족부질환을 가진 환자와 그렇지 않은 당뇨병 환자에서 DFS를 조사하고 이것이 생활습관, 식습관 및 당뇨병 자가 관리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1) 당뇨병성 족부질환군 69명(남/녀 48/21)과 일반당뇨군 59명(남/녀 33/26)으로 구성되었고, 당뇨병성 족부질환군이 일반당뇨군에 비해 당뇨병 유별기간이 유의적으로 길었으며(각각 $17.3{\pm}11.0$년, $11.3{\pm}9.46$년, p<0.01), 연령이 유의적으로 낮았고(각각 $51.2{\pm}11.6$세, $64.2{\pm}12.6$세, p<0.01), 기혼자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2) 당뇨병성 족부질환군은 일반당뇨군에 비해 부정적인 식사 특히, 패스트푸드, 배달음식, 인스턴트식품 및 편의점 음식의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각각 $1.37{\pm}1.02$일/주와 $0.91{\pm}0.85$일/주, p<0.01), 긍정적인 식사 빈도와(각각 $2.74{\pm}1.76$일/주와 $3.61{\pm}2.05$일/주, p<0.01), 발 관리, 특히 발 씻기와 씻은 후 말리기의 빈도는 유의적으로 낮았다(각각 $4.61{\pm}1.97$일/주와 $5.53{\pm}2.22$ 일/주, p<0.05). 3) 12 항목으로 된 DFS의 Chronbach's ${\alpha}$는 당뇨병성 족부질환군에서 0.614로 매우 낮고, 자아효능감 관련 하부 영역의 세 항목은 제거되었을 때 내적일치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당뇨병의 자가관리를 예측하는 인자로서 DFS의 유용성은 적어도 당뇨병성 족부질환 환자에서, 현재 12 항목의 DFS 도구로는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4) 당뇨병성 족부질환 합병증이 없는 일반당뇨군의 경우 12 항목 DFS는 Chronbach's ${\alpha}$가 0.869로 높고, 음주(r=0.247, p=0.059)와 부정적인 식사(r=0.241, p=0.066)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긍정적인 식사(r=-0.227, p=0.083)와는 음의 상관관계의 경향이 있었다. 자아효능감과 관련된 DFS와의 양의 상관관계는 음주(r=0.257, p<0.05), 흡연(r=0.350, p<0.01) 및 부정적 식습관(r=0.295, p<0.05)과 유의적이었고, 운동 (r=-0.224, p<0.088) 및 발 관리(r=-0.247, p<0.059)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DFS는 적어도 당뇨병성 족부질환이 없는 환자의 경우에 특히 자아효능감 관련 항목에서 생활습관, 식습관 및 발 관리 충실도를 예측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잠재적 유용성을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성 족부질환으로 족부 절단 위험에 처한 당뇨 환자가 그렇지 않은 당뇨 환자에 비해 식생활이 바람직하지 못할 뿐 아니라 발 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어 비록 그 인과관계가 밝혀지지는 못했지만 당뇨병성 족부질환의 예방과 관리에서 당뇨 환자를 위한 식생활과 발관리 교육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당뇨환자의 생활습관, 식습관 및 당뇨 자가관리를 예상할 수 있는 척도로서 미국에서 최근 개발된 DFS가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첫 시도로 의미가 있는데 연구 결과는 종교, 당뇨병 형태, 심각한 합병증 유무에 따른 당뇨병 환자군별로 그 유용성을 규명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determine diabetes fatalism of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diabetic foot and its association with lifestyle, diet, and self-care. Methods: The subjects were diabetic patients with (male/female 48/21) and without diabetic foot (male/female 33/26). We administe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서 DFS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므로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당뇨병 환자 집단에서 이를 측정하고 당뇨병 관리의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 중에 사지절단 위험의 당뇨병성 족부질환 합병증을 가진 환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의 DFS를 조사하고, 이것이 생활습관, 식습관 및 당뇨 자가 관리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성 족부질환으로 족부 절단 위험에 처한 당뇨 환자가 그렇지 않은 당뇨 환자에 비해 식생활이 바람직하지 못할 뿐 아니라 발 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어 비록 그 인과관계가 밝혀지지는 못했지만 당뇨병성 족부질환의 예방과 관리에서 당뇨 환자를 위한 식생활과 발관리 교육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당뇨환자의 생활습관, 식습관 및 당뇨 자가관리를 예상할 수 있는 척도로서 미국에서 최근 개발된 DFS가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첫 시도로 의미가 있는데 연구 결과는 종교, 당뇨병 형태, 심각한 합병증 유무에 따른 당뇨병 환자군별로 그 유용성을 규명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DFS를 국내에서 처음 조사한 연구로서 일반당뇨군에서 DFS에 대한 Cronbach's α값은 0.869으로 높고, 12 항목의 DFS, 특히 자아효능감 관련 DFS가 음주, 흡연, 부정적 식습관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국내 당뇨병 환자의 생활습관, 식습관 및 당뇨 자가관리 충 실도를 예측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잠재적 유용성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당뇨병성 족부질환 여부에 따라 일반당뇨군과 당뇨병발군을 비교하였다. 일반당뇨군은 당뇨병을 기저질환으로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들 중에, 당뇨병발군은 당뇨병성 족부질환 전문병원에 당뇨병성 족부질환이 심하여 족부절단을 위해 입원한 환자 중에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성 족부질환으로 족부 절단 위험에 처한 당뇨 환자가 그렇지 않은 당뇨 환자에 비해 식생활이 바람직하지 못할 뿐 아니라 발 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어 비록 그 인과관계가 밝혀지지는 못했지만 당뇨병성 족부질환의 예방과 관리에서 당뇨 환자를 위한 식생활과 발관리 교육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당뇨환자의 생활습관, 식습관 및 당뇨 자가관리를 예상할 수 있는 척도로서 미국에서 최근 개발된 DFS가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첫 시도로 의미가 있는데 연구 결과는 종교, 당뇨병 형태, 심각한 합병증 유무에 따른 당뇨병 환자군별로 그 유용성을 규명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합병증으로 당뇨병성 족부질환을 가진 환자와 그렇지 않은 당뇨병 환자에서 DFS를 조사하고 이것이 생활습관, 식습관 및 당뇨병 자가 관리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1년부터 2011년까지 만 30세 이상의 당뇨병 유병률은 어떠한가? 당뇨병은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성대사성 질환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2)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11년까지 만 30세 이상의 당뇨병 유병률은 8.6%에서 9.8%로 증가 추세에 있다. 2011년에 발표한 국제당뇨병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수가 2011년에 3억 6천명에서 2030년에는 5억 5천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고, 이는 10초당 3명의 새로운 환자가 생기거나, 혹은 매년 100만 명 정도 당뇨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보는 것과 같다.
당뇨병 치료에 관한 특징은 무엇인가? 당뇨병은 완치가 어렵지만 정상적인 대사 조절을 위해 환자가 질병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꾸준히 적절한 자가 관리를 시행한다면 합병증과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삶을 유지 할 수 있다(Lee 등 2008).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에 포함되어야 할 필수 내용으로는 신체적 활동의 증가, 건강 체중의 유지, 건강한 식사, 금연 등과 아울러 합병증의 모니터링이 있다(Yoo 2013).
Diabetes Fatalism는 무엇인가? 보다 강력한 당뇨 관리의 예측인자로 심리적 변수가 인식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우울증, 사회적 지원, 자아효능감 및 Diabetes Fatalism (DF) 등이 포함된다(Aljasem 등 2001). DF는 “절망, 좌절감, 무력감으로 특징되어 인식되는 복잡한 심리적 고리”로 정의된다(Edege & Ellis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jasem LI, Peyrot M, Wissow L, Rubin RR (2001): The impact of barriers and self-efficacy on self-care behaviors in type 2 diabetes. Diabetes Educ 27(3): 393-404 

  2. Bains SS, Edege LE (2011): Associations between health literacy, diabetes knowledge, self-care behaviors, and glycemic control in a low income population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Technol Ther 13: 325-41] 

  3. Choi JH (2014) Lifestyle, diet, and diabetes fatalism of patients with diabetic foot. MS thesis. Daejin University pp. 7 

  4. Chung CH, Kim DJ, Kim JY, Kim HY. Kim HY, Min KW, Park SW, Park JH, Baik SH, Son HS, Ahn CW, Oh JY, Lee SH, Lee JY, Choi KM, Choi IJ, Park IB (2006): Current status of diabetic foot in Korean patients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Diabetes Metab J 30(5): 372-376 

  5. David R, Guariguata L, Weil C, Shaw J (2011): IDF diabetes atlas: global estimates of the prevalence of diabetes for 2011 and 2030. Diabetes Res Clin Pract 94(3): 311-321 

  6. Delamater AM, Jacobson AM, Anderson B, Cox D, Fisher L, Lustman P, Rubin R, Wysocki T (2001): Psychosocial therapies in diabetes: report of the psychosocial therapies working group. Diabetes Care 24(7): 1286-1292 

  7. Egede LE, Ellis C (2009):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12-item diabetes fatalism scale. J Gen Intern Med 25(1): 61-66 

  8. Han SS, Lee SC (2012): Nursing and Health statistical analysis. Hannarae Academy, Seoul, pp. 279 

  9.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1): IDF Diabetes Atlas, 5th ed., Brussels, Belgium.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10. Jang SM, Choi KA, Yoo HJ (2004): Alcohol drinking problems and diabetes self-care in male diabetes. Diabetes Metab J 28(2): 139- 148 

  11.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0): WHO/IASO/IOTF: The Asia-Pacific perspective :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12. Kwon YJ, Han KA, Sung SK, Yoo HJ (1989): A clinical study on the diabetic foot lesions. J Korean Diabetes Assoc 13(1): 39-45 

  13. Lee JH, Chung CH (2011): Diabetic foot: Past and present. J Korean Diabetes 12(2): 69-71 

  14. Lee JR (2011): Lifestyle modification and diabetes management. J Korean Diabetes 12(4): 215-218 

  15. Lee YR, Kang MA, Kim PG (2008): The effects of an admission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14(1): 12-19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cited June 27, 2013] 

  17. Osborn CY, Bains SS, Egede LE (2010): Health literacy, diabtes selfcare, and glycemic control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Technol Ther 12(1): 913-919 

  18. Park BS, Jin GN, Choi YC, Chung JH, Koh JH, Chung CH (2005): Self-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 and adulthood diabetic patients. Diabetes Metab J 29(3): 254-261 

  19. Park JY, Ko IS (2012):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selfmanagement program promoting self efficacy for type 2 diabetic pati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19(1): 74-86 

  20.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5): Preventive foot care in diabetes. J Korean Diabetes 6(3, 4): 192-194 

  21. Toobert DJ, Hampson SE, Glasgow RE (2000):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results from 7 studies and a revised scale. Diabetes Care 23(7): 943-950 

  22. Yoo JH (2013): What is needed for early detection of diabetes complications? J Korean Diabetes 14(1): 32-35 

  23. Walker RJ, Smalls BL, Hernandez-Tejada MA, Campbell JA, Davis KS, Egede LE (2012): Effect of diabetes fatalism on medication adherence and self-care behaviors in adults with diabetes. Gen Hosp Psychiatry 34(6): 598-603 

  24. Wycherley TP, Mohr P, Noakes M, Clifton PM, Brinkworth GD (2011): Self-reported facilitators of, and impediments to maintenance of healthy lifestyle behaviors following a supervised research-based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m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 Med 29(5): 632-6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