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노인 심부전 환자에서의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사용 현황에 대한 연구
Assessment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Korea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4 no.2, 2014년, pp.115 - 125  

배민경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  이인향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  윤정현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incidence of the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IM) use in Korean elderl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to evaluate factors that influence PIM use. Method: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between January 2009 a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환의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PIM이 처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타 질환에 비해 높아 이로 인한 불필요한 의료비의 지출증대가 예상되는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2012년 새로 개정된 Beers Criteria를 적용하여 국내 심부전 노인환자에서의 PIM 사용현황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PIM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을 찾아내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환의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PIM이 처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타 질환에 비해 높아 이로 인한 불필요한 의료비의 지출증대가 예상되는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2012년 새로 개정된 Beers Criteria를 적용하여 국내 심부전 노인환자에서의 PIM 사용현황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PIM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을 찾아내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의 경우에는 노인 심부전 환자에서 특히 장기간 처방되는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Beers Criteria에서는 NSAIDs의 사용기간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문헌고찰을 통해서도 NSAIDs의 장기간 사용에 대한 명확한 정의나 충분한 자료를 찾을 수 없었다.
  • 노인 심부전 환자에서의 PIM 발생률과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1차 결과변수(primary outcome)로서 1) PIM 발생률(PIM incidence), 2) 환자가 받은 PIM 개수(PIM items), 3) PIM 사용량(PIM use)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에서 약물이상반응을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원인은 무엇인가? 노인에서 약물이상반응을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는 ‘다중약물처방(polypharmacy)’으로 알려져 있다.4) 다중약물처방이란 다수의 의약품을 동시에 복용하는 것을 말한다.
국외에서 부적절한 약물처방을 줄이기 위한 기준과 지침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7) 국외의 경우 노인환자에 있어서 부적절한 약물 처방과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각 나라의 실정에 맞는 기준과 지침을 마련하고자 오래 전부터 노력해 왔다. 미국의 Beers criteria8)와 Zhan’s classification9)을 비롯하여 캐나다의 Canadian criteria10), 아일랜드의 STOPP/START criteria11), 독일의 PRISCUS list12), 노르웨이의 NORGEP13) 등이 그 예이다. 국내에서도 최근 10 여년 전부터 노인환자에서 약물사용 현황분석 등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노인에 대한 의약품 적정사용 정보집’을 제공하는 등 노인환자에서의 부적절한 약물사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다중약물처방이란 무엇인가? 노인에서 약물이상반응을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는 ‘다중약물처방(polypharmacy)’으로 알려져 있다.4) 다중약물처방이란 다수의 의약품을 동시에 복용하는 것을 말한다. 노인의 경우에는 여러 만성질환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2012. Available at http:// kostat.go.kr. (Accessed on Dec 18, 2012). 

  2. Turnheim K. When drug therapy gets old: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in the elderly. Exp Gerontol 2003; 38(8): 843-53. 

  3. Gallagher P, Barry P, O'Mahony D. Inappropriate prescribing in the elderly. J Clin Pharm Ther 2007; 32(2): 113-21. 

  4. Hajjar ER, Cafiero AC, Hanlon JT. Polypharmacy in elderly patients. Am J Geriatr Pharmacother 2007; 5(4): 345-51. 

  5. Hamilton HJ, Gallgher PF, O'Mahony D. Inappropriate prescribing and adverse drug events in older people. BMC Geriatrics 2009; 9(5). 

  6. Opondo D, Eslami S, Visscher S, et al. Inappropriateness of medication prescriptions to elderly patients in the primary care setting: A systematic review. PLoS One 2012; 7(8): e43617. 

  7. Stockl KM, Le L, Zhang S, et al. Clinical and economic outcomes associated with potentially inappropriate prescribing in the elderly. Am J Manag Care 2010; 16(1): e1-10. 

  8.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2 Beers Criteria Update Expert Panel. American geriatrics society updated Beers criteria for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2012; 60(4): 616-31. 

  9. Zhan C, Sangl J, Bierman AS, et al.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Findings from the. 1996 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 JAMA 2001; 286(22): 2823-9. 

  10. McLeod PJ, Huang AR, Tamblyn RM, et al. Defining inappropriate practices in prescribing for elderly people: A national consensus panel. CMAJ 1997; 156(3): 385-91. 

  11. Gallagher P, Ryan C, Byrne S, et al. STOPP (screening tool of older person's prescriptions) and START (screening tool to alert doctors to right treatment). consensus validation. Int J Clin Pharmacol Ther 2008; 46(2): 72-83. 

  12. Holt S, Schmiedl S, Thurmann PA.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in the elderly: The PRISCUS list. Dtsch Arztebl Int 2010; 107(31-32): 543-51. 

  13. Rognstad S, Brekke M, Fetveit Al, et al. The Norwegian general practice (NORGEP) criteria for assessing potentially inappropriate prescriptions to elderly patients. A modified delphi study. Scand J Prim Health Care 2009; 27(3): 153-9.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andbook of appropriate medication use for elderly 2009. 

  15. Oh JM. Drug use pattern and evaluation for appropriateness in geriatric patien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4. 

  16. Fialova D, Topinkova E, Gambassi G, et al. AdHOC Project Research Group.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among elderly home care patients in Europe. JAMA 2005; 293(11): 1348-58. 

  17. Nam JS, Shin WG, Oh JM. Pattern of medications usage and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age among Korean ambulatory elderly patients based on an explicit criterion. Kor J Clin Phar 2005; 15(2): 149-59. 

  18. Yoo BW. Pattern of medication usage and study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age among elderly patients based on beer's criteria. D.R. Thesis for medical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2007. 

  19. O'Sullivan DP, O'Mahony D, Parsons C, et al. A prevalence study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prescribing in irish longterm care residents. Drugs Aging 2013; 30(1): 39-49. 

  20. Go AS, Mozaffarian D, Roger VL, et al.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3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3; 127(1): e6-e245. 

  21. Lindenfeld J, Albert NM, Boehmer JP, et al. HFSA 2010 comprehensive heart failure practice guideline. J Card Fail 2010; 16(6): e1-194. 

  22. Rothberg MB, Pekow PS, Liu F, et al.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hospitalized elders J Hosp Med 2008; 3(2): 91-102. 

  23. Akazawa M, Imai H, Igarashi A, et al.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elderly Japanese patients. Am J Geriatr Pharmacother 2010; 8(2): 146-60. 

  24. Statistics Korea.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causes of death. 2012. Available at http:// kostat.go.kr/kssc/main/MainAction.do?methodsub&catgrp kssc&catid1kssc03. (Accessed on Jan 1, 2013). 

  25. Chun YS, Suh YW, Lee ES, et al. Medications causing emergency department visits due to adverse drug reactions in Korean geriatric patients.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2; 29(3): 271-80. 

  26. Kim Y, Jung S. Benzodiazepine prescription patterns for the elderly patients at ambulatory care in Korea. JPERM 2008; 1: 60-7. 

  27. Antman EM, Bennett JS, Daugherty A, et al. Use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 Update for Clinician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7; 115: 1634-42. 

  28. The Digitalis Investigation Group. The effect of digoxin on mortality and morbidity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N Engl J Med 1997; 336(8): 525-33. 

  29. Rathore SS, Curtis JP, Wang Y, et al. Association of serum digoxin concentration and outcome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AMA 2003; 289(7): 871-8. 

  30. The Korean Society of cardiology. The manual of heart failure. 2007. Available at http://www.khfs.or.kr/pdf/ebook.pdf. (Accessed on May 13, 2013). 

  31. Jessup M, Abraham WT, Casey DE, et al. 2009 focused update: ACCF/AHA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eart failure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Circulation 2009; 119(14): 1977-2016. 

  32. Pitt B, Zannad F, Remme WJ, et al. The effect of spironolactone on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vere heart failure. N Engl J Med 1999; 341(10): 709-17. 

  33. Juurlink DN, Mamdani MM, Lee DS, et al. Rates of hyperkalemia after publication of the randomized aldactone evaluation study. N Engl J Med 2004; 351(6): 543-51. 

  34. Wiese BS. Geriatric depression: The use of antidepressants in the elderly. BCMJ 2011; 53(7): 341-7. 

  35. Ancelin ML, Artero S, Portet F, et al. Non-degenerative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people and use of anticholinergic drugs: longitudinal cohort study. BMJ 2006; 332: 455-9. 

  36. Doraiswamy PM, Husalin MM. Anticholinergic drugs and elderly people: a no brainer? Lancet Neurology 2006; 5(5): 379-80. 

  37. Packer M, Carver JR, Rodeheffer RJ, et al. Effect of oral milrinone on mortality in severe chronic heart failure. The PROMISE study research group. N Engl J Med 1991; 325(21). 

  38. Lacy CF, Armstrong LL, Goldman MP, et al. Drug information handbook, 19th Ed. Ohio: Lexi-Comp, 2010; 1235-1237, 1388-1390. 

  39. Nissen SE, Wolski K. Effect of rosiglitazone on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death from cardiovascular causes. N Engl J Med 2007; 356(24): 2457-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