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노래 장르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Gender Display in Music Videos: Gender Image and Sexuality by Genre and Gend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7, 2014년, pp.58 - 69  

조수선 (대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의 재현과 구성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젠더 이미지 및 선정성 유형과 관련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각 연도별로 뮤직비디오가 있는 30위까지의 노래 총 300개와 각 노래의 뮤직비디오 상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남녀 한명씩, 총 517명의 등장인물이 선정되었다. 등장인물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은 노래 장르와 성별로 구분하여 젠더 이미지의 유형과 선정성(신체노출, 성적표현)의 유무로 측정되었다. 젠더 이미지는 여성은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남성은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여성의 이미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남성 이미지의 경우 중성적 이미지는 가장 적었으나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R&B와 발라드였고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발라드, R&B와 록이었다. 선정성은 댄스곡과 힙합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신체노출에 있어서 여성은 모든 부위에서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성적표현에 있어서 여성은 표정유혹이 남성은 성적자세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 성역할 고정관념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ereotype of gender role in music video, comparing of gender image, sexuality(body exposure & sexual expression) by genre and gender difference. A content analysis of 300 songs and 517 characters was conducted between 2004 and 2013. Results were including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뮤직비디오의 콘텐츠 상에서 나타나는 성역할 고정관념과 관련된 젠더 이미지, 그리고 선정성 유형의 정도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그 시대의 대중적인 음악은 국가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뮤직비디오 역시 다른 형태와 구성방식을 갖고 있으므로 해외의 연구의 틀과 결론을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성역할 고정관념과 관련하여 국내의 상황에 맞는 뮤직 비디오에 대한 양적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대중음악의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젠더 이미지와 선정성 유형을 노래 장르와 등장인물의 성별을 기준으로 일련의 체계적인 내용분석을 실시한 후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했다
  • 또한 전체 장면의 수에서 분석된 장면 수의 비율이 결과로 나타남에 따라 각 노래별 등장인물에 대한 비교를 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요 등장인물이 뮤직비디오 전체적인 흐름에서 보여주는 이미지와 더불어 실제적으로 행하는 신체노출과 성적표현의 장면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한 노래에 나타나는 등장인물을 좀 더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비교하고자 했다.
  • 셋째, 국내외 뮤직비디오 내용분석 관련 많은 연구들은 대부분 단기적 연구에 치중하고 있는바 장기간의 데이터가 누적된 가운데 뮤직비디오의 젠더 고정관념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 노래 장르와 성별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 선정성의 유형(신체노출, 성적표현)을 중심으로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재현과 구성방식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예를 들어, 본 연구의 분석단위인 등장인물은 기존의 장면(화면)을 기본 분석단위로 하고 있는 연구와 다른 측면을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뮤직비디오의 성역할 고정관념의 재현이 어떠한지에 대한 환기를 불러일으키고 뮤직 비디오 이용과 관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의의가 있다. 뮤직비디오의 위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적 오류는 선정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소위 ‘19금’ 뮤직비디오에 대해 청소년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면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 이러한 뮤직비디오의 부정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그 전제조건으로서 현재 국내에서 제작, 유통, 노출되는 뮤직비디오에 대한 체계적인 내용분석이 요구되는바 다음에서는 뮤직비디오의 내용분석의 기준과 틀에 대한 기존의 연구 및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의 멀티미디어는 어떻게 대중화되어 가고 있는가? ’ 라는 말은 뉴스나 드라마에 한정되는 명제는 아니다. 현재의 ‘멀티미디어’ 환경에서는 전형적인 신문이나 방송채널의 유통방식을 통한 뉴스나 드라마 이외에 유튜브나 블로그 등을 통한 짧은 길이의 콘텐츠 유통방식 역시 대중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서, 뮤직비디오는 과거 대중가요의 부수적인 제작물, 홍보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한 부분(예를 들어, 엔딩 크레딧 등)으로 기능을 넘어 하나의 완성물로서 대중문화의 주요 콘텐츠가 되어가고 있다.
싸이의 ‘강남 스타일’이 인기를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은? 이러한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서, 뮤직비디오는 과거 대중가요의 부수적인 제작물, 홍보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한 부분(예를 들어, 엔딩 크레딧 등)으로 기능을 넘어 하나의 완성물로서 대중문화의 주요 콘텐츠가 되어가고 있다. 2012년 가수 싸이의 ‘강남 스타일’의 경우, 유투브를 통한 뮤직비디오 확산은 싸이와 그의 노래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의 재현과 구성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젠더 이미지 및 선정성 유형과 관련하여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등장인물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은 노래 장르와 성별로 구분하여 젠더 이미지의 유형과 선정성(신체노출, 성적표현)의 유무로 측정되었다. 젠더 이미지는 여성은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남성은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여성의 이미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남성 이미지의 경우 중성적 이미지는 가장 적었으나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R&B와 발라드였고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발라드, R&B와 록이었다. 선정성은 댄스곡과 힙합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신체노출에 있어서 여성은 모든 부위에서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성적표현에 있어서 여성은 표정유혹이 남성은 성적자세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 성역할 고정관념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양정혜, "뮤직비디오 제작의 관행이 텍스트 구성에 미치는 영향: 제작진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8-2호, pp.134-168, 2004. 

  2. 배상률,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리서치 브리프 제4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3. D. F. Roberts, P. G. Christenson, and D. A. Gentile, "The Effects of Violent Music o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Douglas (Eds.). Media Violence and Children," A Complete Guide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pp.153-170, 2003. 

  4. K. Bullens and J. Bulck, "News Music Videos and Action Movie Exposure and Adolescents' Intentions to Take Risks in Traffic,"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40, pp.349-356, 2008. 

  5. C. M. Frisby and J. S. Aubrey, "Race and Genre in the Use of Sexual Objectification in Female Artists' Music Videos," The Howard Journal of Communications, Vol.2, pp.66-87, 2012. 

  6. J. S. Aubrey, K. M. Hopper, and W. G. Mbure, "Check That Body! The Effects of Sexually Objectifying Music Videos on College Mens' Sexual Belief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5, No.3, pp.360-379, 2011. 

  7. M. C. R. Burgess and S. Burpo, "The Effect of Music Videos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Rape," College Student Journal, Vol.46, No.4, pp.748-763, 2012. 

  8. J. Gow, "Reconsidering Gender Roles on MTV: Depictions in the Most Popular Music Videos of the Early 1990s," Communication Reports, Vol.9, No.2, pp.151-161, 1996. 

  9. S. Seidman, "Revisiting Sex-role Stereo typing in MTV Videos,"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Media, Vol.26, pp.1-11, 1999. 

  10. C. Wallis, "Performing Gender: A Content Analysis of Gender Display in Music Videos," Sex Roles, Vol.64, pp.160-172, 2011. 

  11. J. L. Andsager and K. Roe, "Country Music Video in Country's Year of the Wom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9, pp.69-82, 1999. 

  12. K. Conrad, T. Dixon, and Y. Zhang, "Controlversial Rap Themes, Gender Portrayals and Skin Tone Distortion: A Content Analysis of Rap Music Video," Journal of Broadcasting & Elerctroinic Media, Vol.53, No.1, pp.134-156, 2009. 

  13. J. Tapper and E. Thorson. "Variations in Music Videos a Function of Their Musical Genr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8, pp.103-114, 1994. 

  14. 앤 카플란 지음, 채규진, 성기완 역, 포스트모던 영상과 소비문화 : 뮤직 비디오, 어떻게 읽을 것 인가, 한나래 팝컬쳐, 1996. 

  15. 김훈순, "한국 뮤직비디오의 포스트모더니즘과 성정치학",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5-3호, pp.87-128, 2000. 

  16. 이화정, "멜로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대립자 유형의 변화(1990년부터 2100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0, pp.54-62, 2012. 

  17. 이화정,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남성상 유형의 변화(1992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pp.62-69, 2013. 

  18. 김선남, 장해순, 정현욱, "수용자의 드라마 여성 이미지에 대한 수용행태 연구",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8-1호, pp.76-115,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