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신뢰의 매개역할 -MICE산업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Role of Supervisor Trust -With a focus on the MICE industry employe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7, 2014년, pp.435 - 448  

고종욱 (안양대학교 공공행정학과) ,  김명숙 (마이비즈컨설팅) ,  박종표 (경기도팔당수질개선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MICE산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MICE산업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신뢰의 매개역할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수도권 소재 30개 MICE업체 종사자 303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자료수집도구로는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주된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분배 및 절차공정성은 조직유효성의 세 지표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신뢰는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role of supervisor trust among the MICE industry employee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03 MICE industry employees in metropolitan area by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MICE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물론 상사신뢰의 매개를 통한 간접적 영향도 함께 실증적으로 탐구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의 두 차원인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즉,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 시민행위의 세 측면에서 측정된 MICE산업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 간에 상사신뢰가 수행하는 매개역할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MICE산업 종사자들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그러나 조직공정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조직유효성에 대한 조직공정성의 직접적 영향에만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이며, 상사신뢰의 매개영향까지 동시에 고려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MICE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물론 상사신뢰의 매개를 통한 간접적 영향도 함께 실증적으로 탐구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의 두 차원인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즉,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 시민행위의 세 측면에서 측정된 MICE산업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 간에 상사신뢰가 수행하는 매개역할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 한편 규모가 큰 조직에서는 상사신뢰와 조직신뢰가 상호 구분되는 독립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본 연구의 대상처럼 규모가 영세한 MICE기업에서는 상사신뢰와 조직신뢰가 상호 중첩되어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직적 차원의 신뢰 중에서 상사신뢰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 본 연구는 MICE산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신뢰의 매개역할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 분배 및 절차공정성은 조직유효성의 세 지표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문화적 모형에 따른다면, 서구에 비해 집단주의적인 문화특성이 상대적으로 더 강한 우리나라에서 분배공정성보다는 절차공정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1의 검증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두요인모형과 문화적 모형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검토해보기로 하겠다.
  • 셋째로, 일반적으로 횡단적 자료(cross-sectional data)를 사용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과관계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예컨대,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MICE산업종사자들이 절차공정성을 더욱 긍정적으로 지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즉 단일차원성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상호작용이나 정보와 관련된 공정성을 절차공정성의 중요 속성들로 보는 반면에 다차원성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상호작용공정성이나 정보공정성을 절차공정성과는 독립된 별개의 차원으로 간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절차공정성 개념의 단일차원 성을 주장하는 Cropanzano and Greenberg(1997)[3], Folger and Konovsky(1999)[29]의 입장을 따르고자 한다.
  • 인적자원관리에 초점을 맞출 경우 조직유효성지표로는 일반적으로 [22][23]이 말하는 심리적 지표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위, 직무성과, 이직률 등의 변수들이 측정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인적자원관리의 측면에서 조직유효성 개념에 접근하고자 하며, 궤적으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위의 세 변수를 조직유효성의 측정지표로 검토하고자 한다. 직무만족은 조직구성원이 자신의 일을 좋아하는 정도를 말하며[24], 조직몰입은 한 개인이 자신의 조직과 동일시하고 조직에 관여하는 강도의 상대적 크기를 말하고[25], 조직시민행위는 조직구성원들이 자신이 소속된 조직의 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다양한 지원활동[26]을 말한다.
  • 셋째,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간의 직접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상사신뢰의 매개역할에 대해서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조직공정성의 두 요인인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의 측면에서 측정된 조직유효성에 직접적으로뿐만 아니라 상사신뢰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첫째,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 변수인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조직유효성 지표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가설1: 조직공정성의 두 유형인 분배 및 절차공정성은 조직유효성의 측정지표인 직무만족, 조직 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상사신뢰는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공정성이란 무엇인가? 조직공정성은 조직 내에서 보상의 분배와 관련된 의사결정의 절차나 배분된 보상에 대해 종업원들이 지각하는 공평성을 말한다[11]. 조직공정성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주로 분배공정성, 즉 배분된 보상에 대한 공평성에 초점을 맞추어졌다.
조직공정성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주로 무엇에 초점을 맞추어졌는가? 조직공정성은 조직 내에서 보상의 분배와 관련된 의사결정의 절차나 배분된 보상에 대해 종업원들이 지각하는 공평성을 말한다[11]. 조직공정성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주로 분배공정성, 즉 배분된 보상에 대한 공평성에 초점을 맞추어졌다. 분배공정성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은 인지부조화 개념에 기초한 Adams(1963)의 형평이론이다.
조직관리자가 구성원들이 최대한 수긍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원의 성과나 기여에 근거한 평가와 보상을 합리적으로 연계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조직이 제공하는 보상에 대해 조직구성원들이 느끼는 공정과 불공정의 지각은 종업원들의 동기부여, 직무성과, 나아가 조직에 대한 기능적 혹은 역기능적 행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이나 상사에 대한 신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여러 문헌에서 보고 되어왔다[1][2]. 따라서 조직관리자는 구성원들이 최대한 수긍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원의 성과나 기여에 근거한 평가와 보상을 합리적으로 연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R. C. Mayer, J. H. Davis, and F. D. Schoorman,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0, No.3, pp.709-734, 1995. 

  2. J. Cook, and T. Wall,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l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53, pp.39-52, 1980. 

  3. R. Cropanzano and J. Greenberg, Progress in Organizational Justice: Tunneling through the Maze, In: Cooper, C. L. & I. T. Robertson(eds.),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John Wiley & Sons Ltd, 12, 1997. 

  4. N. M. Hauenstein, T. McGonigle, and S. W. Flinder,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Implications for justice research,"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 Journal, Vol.13, No.1, pp.39-56, 2001. 

  5. 한국컨벤션전시산업연구원, "MICE산업종사원 경력개발 마스터플랜 개발연구", pp.3-4, 2010. 

  6. 한태진, 김홍, "공기업CEO의 리더십특성이 조직 구성원의 리더십수준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8권, 제11호, pp.306-322, 2008. 

  7. 홍순복, "공공조직에서 상사신뢰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7권, 제3호, pp.197-206, 2007. 

  8. 권안용, "호텔종사원의 공정성 지각과 조직유효성에 있어 신뢰의 매개효과 연구", 관광경영연구, 제13권, 제2호, pp.1-25, 2009. 

  9. R. H. Moorma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e Citize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pp.845-855, 1991. 

  10. 최소연, "조직공정성이 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3호, pp.389-413, 2005. 

  11. B. P. Niehoff and R. H. Moorman, "Justi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s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6, No.3, pp.527-556, 1993. 

  12. J. S. Adams, "Toward an understanding of inequity,"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67, No.5, pp.422-423, 1963. 

  13. R. Folger and J. Greenberg, "Procedural Justice: An interpretive analysis of personnel systems," In K. M. Rowland & G.R.Ferris(Eds.),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74, pp.35-42, 1985. 

  14. J. W. Thibaut and L. Walker, Procedural Justice :A Psychological analysis. Hillsdale, NJ: Erlbaum, 1975. 

  15. E. A. Lind and T. R. Tyler, The Social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NY: Plenum, 1988. 

  16. 김경수, 김태인, "SEM을 이용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제24권, 제3호, pp.25-57, 2010. 

  17. 허찬영, 박정도, "조직구성원의 공정성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지원인식 및 LMX의 조절효과: 군대조직을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9권, 제4호, pp.177-203, 2012. 

  18. 황두모, 조직공정성과 경영자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9. 신유근, 조직행위론, 서울, 대산출판사, 1991. 

  20. L. H. Richard, Organization theory and design; 9th edition, Thomson South-Western, pp.62-76, 2007. 

  21. J. W. Eric and Sarah Dawson, "Managers' perceptions of criteria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Studies, Vol.38, No.2, pp.173-199, 2001. 

  22. J. P. Campbell, On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ew Perspectiv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anfrancisco: Jossey-Bass, p.19, 1977. 

  23. D. R. Dalton, W. D. Todor, M. J. Spendolini, G. J. Fielding, and L. W. Porte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erformance: A Critical Review,"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pp.49-54, 1980. 

  24. J. L. Price and C. W. Mueller,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s, Greenwich, CT: JAI Press, 1986. 

  25. J. P. Meyer and N. J. Allen,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 pp.61-89, 1991. 

  26. D. W. Org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ider Syndrome. MA: Lexington Books, 1988. 

  27. D. B. McFarlin and P. D. Sweeney,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5, pp.626-637, 1992. 

  28. J. Greenberg,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Management, Vol.16, pp.399-423, 1990. 

  29. 김명현, 유형창, "민간경비원의 조직공정성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제14권, pp.69-87, 2007. 

  30. R. Folger and M. A. Konovsky,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2, pp.115-130, 1989. 

  31. S. S. Masterson, K. Lewis, B. M. Goldman, and S. M. Taylor, "Integrating justice and social exchange: The differing effects of fair procedures and treatment on work relationshi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3, pp.738-748, 2000. 

  32. 서영준, 고종욱,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병원경영학회지, 제9권, 제1호, pp.115-132, 2004. 

  33. Y. Cohen-Charash and P. E. Spector, "The role of justice in organizations: a meta-analysi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86, No.2, pp.278-321, 2001. 

  34. W. H. Hendrix, T. Robbins, J. Miller, and T. P. Summers,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Factors Predictive of Turnover,"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13, No.4, pp.611-632, 1998. 

  35. P. Sweeney and D. McFarlin, "Workers' Evaluations of the 'Ends' and the 'Means': An Examination of Four Model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5, pp.83-98, 1993. 

  36. 임준철, 윤정구,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적 맥락이 조직성원의 행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행정학회, 제27권, 제1호, pp.93-111, 1998. 

  37. D. Field, M. Pang, and C. Chiu,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Employee Outcomes in Hong Ko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pp.547-562, 2000. 

  38. C. W. Mueller, R. D. Iverson, and D. G. Jo, "Distributive Justice Evaluations in two Cultural Contexts: A Comparison of U. S and South Korean Teachers," Human Relations, Vol.52, No.7, pp.869-893, 1999. 

  39. D. M. Rousseau, S. B. Sitkin, R. S. Burt, and C. Camere,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No.3, pp.393-404, 1998. 

  40. J. E. Beccerra and A. K. Gupta, "Trust within the organizational integrating the trust literature with agency theory and transaction costs economics," Public Administrative Quarterly, Vol.23, No.2, pp.177-203, 1999. 

  41. 최찬기, "리더십유형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상사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국내4대 그룹의 CEO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1권, 제1호, pp.57-88, 2008. 

  42. G. B. Graen, and M. Uhl-Bien, "Relationship -based approach to leadership: Development of leader-member exchange(LMX) theory of leadership over 25 years: Applying a multi-level multi-domain perspective," The Leadership Quarterly, Vol.6, No.2, pp.219-247, 1995. 

  43. G. Yukl, Leadership in organization(6th edi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006. 

  44. J. K. Bulter, "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dition of trust: Evolution of a condition of trust inventory," Journal of Management, Vol.17, pp.643-663, 1991. 

  45. C. A. Smith, D. W. Organ, and J. P. Nea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s nature and anteced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8, pp.453-463, 1983. 

  46. 도윤경, "비서의 조직공정성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비서학논총, 제11권, 제2호, pp.5-23, 2002. 

  47. A. H. Brayfield and H. F. Rothe,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35, pp.307-311, 1951. 

  48. 김계수, AMOS구조방정식모형분석, 서울, 고려정보통신, 2001. 

  49. R. P. Bagozzi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No.1, pp.74-94, 1988. 

  50.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51. J. F. Hair,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2006. 

  52.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19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