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중소벤처기업의 전략지향성이 기업가정신에 따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ategic Orientations on Company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in Small-Medium Sized and Ventures Manufacturing Firms원문보기
본 연구는 국내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조직성과를 달성하는데 있어 전략지향성의 선행변수와 기업가정신을 조절변수로 하여 이들이 기업성과와의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중소벤처기업 중에 수출실적이 있는 205개사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한 결과 첫째,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은 각각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고객지향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에 따라 전략지향성이 기업성과로 연결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고객지향성보다는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조직의 성과에 매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중소벤처 제조기업들은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을 더욱 강조하고 이와 관련된 기업가정신의 조절변수의 작용을 이해함으로써 더 높은 기업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조직성과를 달성하는데 있어 전략지향성의 선행변수와 기업가정신을 조절변수로 하여 이들이 기업성과와의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중소벤처기업 중에 수출실적이 있는 205개사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한 결과 첫째,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은 각각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고객지향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에 따라 전략지향성이 기업성과로 연결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고객지향성보다는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조직의 성과에 매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중소벤처 제조기업들은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을 더욱 강조하고 이와 관련된 기업가정신의 조절변수의 작용을 이해함으로써 더 높은 기업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factors of company performance, hypothesizing that strategic orientations and entrepreneurship plays a crucial role in achie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small-medium sized and ventures manufacturing firms. For this resear...
This paper aims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factors of company performance, hypothesizing that strategic orientations and entrepreneurship plays a crucial role in achie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small-medium sized and ventures manufacturing firms. For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205 firms. By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SEM) method, it was found that competitor orientation, technology orientation directly affect company performance but, customer orientation were not affected company performance. Furthermore,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y orientation and company performance is differentiated by entrepreneurship. Especially, this finding confirms that the entrepreneurship moderatel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or orientation, technology orientation and company performance on the small-medium sized and ventures manufacturing firms.
This paper aims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factors of company performance, hypothesizing that strategic orientations and entrepreneurship plays a crucial role in achie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small-medium sized and ventures manufacturing firms. For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205 firms. By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SEM) method, it was found that competitor orientation, technology orientation directly affect company performance but, customer orientation were not affected company performance. Furthermore,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y orientation and company performance is differentiated by entrepreneurship. Especially, this finding confirms that the entrepreneurship moderatel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or orientation, technology orientation and company performance on the small-medium sized and ventures manufacturing firm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흐름을 보완하고자 첫째, 전략적 지향성 변수인 시장지향성과 기술 지향성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인 재무적 성과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전략지향점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둘째,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중요성이 강조되는 기업가정신을 조절변수로 포함시켜 기업가 정신이 높고 낮음에 따라 기업의 전략적 지향성 변수들의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흐름을 보완하고자 첫째, 전략적 지향성 변수인 시장지향성과 기술 지향성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인 재무적 성과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전략지향점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둘째,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중요성이 강조되는 기업가정신을 조절변수로 포함시켜 기업가 정신이 높고 낮음에 따라 기업의 전략적 지향성 변수들의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선행요인군과 종속요인군으로 재 추정된 모델의 적합도가 수용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남에 따라 최종적으로 모든 요인과 측정변수들을 통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모델의 집중타당성의 성립을 가늠해 보고자 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판별 타당성의 성립을 아울러 확인해 보는 절차를 거쳤다. 먼저, 척도의 집중타당성 검증은 요인 적재량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0.
본 연구는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한국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전략적 지향성 및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이라는 조절변수를 포함한 연구모델과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가설 중 7개의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H1.1 고객지향성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고객지향성은 기업의 수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 경쟁지향성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 경쟁지향성은 기업의 수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 기술지향성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6 기술지향성은 기업의 수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기업가정신의 수준에 따라 고객지향성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H2.2 기업가정신의 수준에 따라 고객지향성은 기업의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H2.3 기업가정신의 수준에 따라 경쟁지향성은 기업의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H2.4 기업가정신의 수준에 따라 경쟁지향성은 기업의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H2.5 기업가정신의 수준에 따라 기술지향성은 기업의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H2.6 기업가정신의 수준에 따라 기술지향성은 기업의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조직 문화적 차원의 변수인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을 전략지향성의 하위 개념으로 구분하였다[12]. Kohli와 Jaworski[9]의 시장지향성 연구단 위에는 고객지향성, 경쟁지향성, 기능간조정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나 기능간조정은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중소벤처기업에서는 적용하기가 덜 적합하고 근본적으로 기업내부의 의사소통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제외되었다[4].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의 공통된 정의에 따라 기업가정신을 정의하였으며 구성개념을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위험감수성은 기업가적 특성으로 자원에 구애받지 않고 기회를 포착하고 추구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5].
전략지향성의 세 가지 개념을 제시한 Catignon과 Xuereb[12] 성과와의 직접적인 영향을 명확히 분석하지 못했으며, Baker와 Sinkula[21]의 연구에서도 고객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오히려 부의 영향을 미침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략적 지향성과 기업성과 간 관계가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변수 가운데 하나로 기업가정신을 조절변수로 고려하였다. 이러한 연구대상인 기업가정신의 특성은 전략적 지향성과 기업성과 간 관계의 차이를 설명하는 중요한 상황변수로 간주되고 있다.
가설과 [그림 1]에서 제시된 독립변수, 종속변수, 그리고 조절변수 각각의 측정항목은 [표 1]와 같이 선행 연구를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자료를 중심으로 본 연구 대상과 목적에 맞게 수정ㆍ측정되었으며, 각각의 구성개념은 리커드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단위별로 사각회전 방식에 의한 최우도 측정법에 의거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기준으로서 요인적재값 0.
선행요인군과 종속요인군으로 재 추정된 모델의 적합도가 수용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남에 따라 최종적으로 모든 요인과 측정변수들을 통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모델의 집중타당성의 성립을 가늠해 보고자 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판별 타당성의 성립을 아울러 확인해 보는 절차를 거쳤다. 먼저, 척도의 집중타당성 검증은 요인 적재량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0.5이상의 값을 갖는지의 여부와, 개념신뢰도 및 평균분산추출값의 크기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각 각의 값은 [표 4]와 같다.
시장지향성, 기술지향성과 기업성과간의 관계에서 전체적인 구조모형(overall model)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가설에서 제시한 구성개념간의 관계를 모두 동시에 고려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전체적인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그림 2]에 나타난 것처럼 χ2값=1223.
조절효과에 앞서 기업가정신은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이라는 세 가지의 하위차원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조절변수로 사용하기 위해 하나의 단일 차원으로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취한 기존의 연구로서 Covin과 Slevin[16]의 연구가 있다.
그들은 응답자 개개인의 지각하는 성과에 대한 질문항목들을 구성하고 측정 후에 이를 통합하여 전반적 성과(overall performance)로서 이용하였다. 조절변수를 [표 7]과 같이 상(높은)-중(중간)-하(낮은) 그룹으로 구분한 후 상 집단과 하 집단을 기준으로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이론 및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을 통한 설문조사 자료가 사용되었다. 사업기간이 3년 이상 및 종업원 수가 5인 이상이 되는 약 760개의 중소벤처기업을 한국벤처협회와 상공회의소 코참비즈에 등록된 2012년 수출실적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임의 차출하여 해당 중소벤처기업의 최고경영자에게 우편 및 이메일로 설문지가 보내졌다.
데이터처리
요인분석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장지향성의 고객지향과 경쟁지향, 기술지향성 항목에서 각기 1개씩의 항목이 교차 적재(cross loading)되어 제거되었으며, 이 결과 남은 항목들에 대하여 신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값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5와 AMOS 15 통계페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용 통계기법은 크게 기술적 통계분석, 다변량 통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1차 분석 결과를 거친 측정항목들에 대하여 연구단위별로 측정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요인분석은 단일차원의 이론적 배경을 검증하고 단일차원성을 저해시키는 항목들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기존의 연구문헌에 나와 있는 설문항목과 예비조사를 통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기 때문에 내용타당성은 충분히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실시한 확인요인분석결과 단일차원성과 개념타당성이 입증된 각 연구단위별 척도들 간의 대략적인 관계성의 파악 및 설명 변수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표 5]와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이론/모형
각 단계별로 항목의 구성의 최적 상태를 도출하기 위한 모형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χ2(특정한 기준은 없고 작을수록 바람직함), χ2에 대한 p값(≥0.05가 바람직함), GFI(Goodness of Fit Index;≥0.90이 바람직함), TLI(Turker-Lewis Index; ≥0.90이 바람직함),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0.50~0.80이 바람직함) 등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5와 AMOS 15 통계페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용 통계기법은 크게 기술적 통계분석, 다변량 통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다 항목을 이용한 각 차원들에 대한 단일차원성을 검증하고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척도정제 방법론을 따랐다.
이용 통계기법은 크게 기술적 통계분석, 다변량 통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다 항목을 이용한 각 차원들에 대한 단일차원성을 검증하고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척도정제 방법론을 따랐다.
성능/효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의 공통된 정의에 따라 기업가정신을 정의하였으며 구성개념을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위험감수성은 기업가적 특성으로 자원에 구애받지 않고 기회를 포착하고 추구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5]. 즉 위험감수성은 이미 계산된 사업상의 위험을 기꺼이 수용하려는 자세로서, 성과가 매우 불확실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자원을 기꺼이 투입하고자 하는 성향을 의미한다[18].
본 연구의 설문조사 대상을 최고경영자로 한정한 이유는 조직의 총체적인 사고방향을 나타내는 전략 지향성 및 기업가정신은 최고경영자에 의하여 가장 적합하게 측정될 수 있고 최고경영자 본인이 직접 제시하는 것이 신뢰성이 높을 것이라는 판단을 하였기 때문이다. 수차례의 설문응답 요청과 전화 및 직접 방문 등을 통한 협조를 부탁한 결과 최고경영자 본인이 응답하지 않았거나 부실하게 작성된 경우를 제외한 총 205개의 사용가능한 설문지가 회수되어 약 27.0%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표본기업 중 정보통신(IT) 산업에 속하는 기업이 전체의 30%, 생명공학(BT) 산업에 속하는 기업이 20%로 절반이 IT 및 BT 산업에 속한 기업들이었고 나머지 기업들은 전자, 화학, 기계, 환경 공학, 자동차 부품 등 비교적 다양한 산업 영역에 분포되어 있었다.
요인분석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장지향성의 고객지향과 경쟁지향, 기술지향성 항목에서 각기 1개씩의 항목이 교차 적재(cross loading)되어 제거되었으며, 이 결과 남은 항목들에 대하여 신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값을 계산하였다. 신뢰성 분석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뢰성(내적일관성)을 저하시키는 항목은 없었으며 최종 항목수를 기초로 한 신뢰성은 0.750와 0.884사이에 있어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0이 바람직함) 등을 이용하였다. 최초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모델의 적합도 지수가 만족스럽지 않게 나타남에 따라, 최초모델을 재 추정하는 절차를 거쳤다. 이 과정에서 모델의 적합도를 저해하는 재무적 성과의 2개 변수가 탈락되었다.
전체적인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그림 2]에 나타난 것처럼 χ2값=1223.352, p=0.002, d.f=582, χ2/df=2.102, GFI=0.903, TEL=0.872, RMSEA=0.075을 갖는 모형이 도출되었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설명변수 사이에는 유의수준 하에서 약간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지만 다중공선성 정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모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구조와 일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설명변수 사이에는 유의수준 하에서 약간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지만 다중공선성 정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모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구조와 일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고객지향성이 증대될수록 기업성과는 높아질 것이라는 연구가설 1.1-1.2을 검증한 결과, [그림 2]에서와 같이 경로계수가 각각 0.042(t=1.014), 0.121(t=1.782)으로 고객지향성이 높은 제조업체일수록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경쟁지향성이 증대될수록 기업성과는 높아질 것이라는 연구가설 1.3-1.4을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가 각각 0.313(t=3.156), 0.553(t=5.825)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이 지지 되었다.
셋째, 기술지향성이 증대될수록 기업성과는 높아질 것이라는 연구가설 1.5-1.6을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가 각각 0.335(t=3.356), 0.653(t=5.857)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이 지지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만족한 직원은 좋은 제품과 빠른 제품출시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통해 우월한 경쟁적 지위를 유도한다는 사고를 지지해 준다.
조절효과 분석으로 모수차이 검증에 의한 방법과 비제약모델에서 개별 모수의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으로 두 모수의 차이는 z통계량으로 볼 수 있으며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해당하는 회귀가중치 간의 차이를 통해 Critical Ration for Difference between Parameters가 임계치인 두 모수의 차이가 ±1.96이상이거나 ±2.58이상이면 각각 유의수준 α =0.05, α =0.01에서 유의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첫째, 전략지향성과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경쟁지향성(경로계수=0.
첫째, 전략지향성과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경쟁지향성(경로계수=0.326, -0.065)과 기술지향성(경로계수=0.268, -0.201)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고객지향성과 재무적 성과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조절역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략지향성과 수출성과와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분석 결과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경쟁지향성(경로계수=0.
둘째, 전략지향성과 수출성과와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분석 결과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경쟁지향성(경로계수=0.328, 0.055)과 기술지향성(경로계수=0.386, -0.136)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고객지향성과 수출성과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조절역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기업가정신이 높을수록 조직에서의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36)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고객지향성과 수출성과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조절역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기업가정신이 높을수록 조직에서의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가정신은 조절효과가 있으며 가설 2는 부분채택 되었다.
첫째, 고객지향성과 경쟁지향성 및 기업성과간의 순환적인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경쟁지향성은 기업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객지향성은 기업성과에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결과, 고객지향성은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새로운 해외시장진출 또는 개척과는 관련성이 적고 기존의 내수시장에 보다 중점을 두게 하는 요인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고객지향성과 경쟁지향성 및 기업성과간의 순환적인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경쟁지향성은 기업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객지향성은 기업성과에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결과, 고객지향성은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새로운 해외시장진출 또는 개척과는 관련성이 적고 기존의 내수시장에 보다 중점을 두게 하는 요인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연구[19]에서 지적하였듯이, 고객지향성은 고객의 잠재적인 욕구보다는 명확히 표출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의 개척보다는 현재의 시장영역에 초점을 맞추게 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19]에서 지적하였듯이, 고객지향성은 고객의 잠재적인 욕구보다는 명확히 표출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의 개척보다는 현재의 시장영역에 초점을 맞추게 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 주력시장이 해외시장인 중소벤처기업인 경우 고객지향성과 기업성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겠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고객지향성과 새로운 해외시장진출을 통한 기업성과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술지향성과 기업성과의 관계에서 기술지향성이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와 수출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지향성을 추구하는 기업은 고객의 욕구와 기술적 요구수준에 민감하기 때문에 고객을 더 만족시키기 위해서 경쟁자에 비해 더 빠른 기술개발과 수용이 요구되며, 기술지향성이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중소벤처기업은 기업성과를 재무적 성과와 수출성과를 구분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정신 조절요인이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에서만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고객 지향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철한 기업가정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철한 기업가정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경쟁지향, 기술 지향의 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와 같이 시장규모가 상대적으로 협소한 상황에서 제한된 자원과 역량으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해야 하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시장 확보, 선진기술 및 정보의 습득, 필요한 자원의 확보를 위해 경쟁지향과 기술지향이 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후속연구
본 연구가 기존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이론적, 실무적인 공헌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이 있으리라 판단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전략지향성과 기업가정신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산업 영역에 분포된 기업들을 분석하여 일반화하였으나 특정 산업 내에서의 이와 관련한 연구의 필요성이 느껴진다. 특히, 본 연구 분석에 사용된 표본기업 중 정보통신(IT) 및 생명공학(BT)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많아 두 산업의 표본 수를 늘려 이와 같은 단일산업 내에서의 그러한 조직의 지향성과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하리라 본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전략지향성과 기업가정신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산업 영역에 분포된 기업들을 분석하여 일반화하였으나 특정 산업 내에서의 이와 관련한 연구의 필요성이 느껴진다. 특히, 본 연구 분석에 사용된 표본기업 중 정보통신(IT) 및 생명공학(BT)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많아 두 산업의 표본 수를 늘려 이와 같은 단일산업 내에서의 그러한 조직의 지향성과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하리라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으로 기업가정신과 전략지향성에 국한하여 고려하였으나,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의 자원과 역량과 같은 다른 요인들과 경쟁 환경이나 기술 변화, 정책 환경 등의 외부 환경의 영향에 대한 변수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 분석에 사용된 표본기업 중 정보통신(IT) 및 생명공학(BT)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많아 두 산업의 표본 수를 늘려 이와 같은 단일산업 내에서의 그러한 조직의 지향성과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하리라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으로 기업가정신과 전략지향성에 국한하여 고려하였으나,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의 자원과 역량과 같은 다른 요인들과 경쟁 환경이나 기술 변화, 정책 환경 등의 외부 환경의 영향에 대한 변수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략지향성이란 무엇인가요?
기업의 관점에서 보면 지향성(orientation)은 외부환경과 관련하여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여 준다[13].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전략지향성은 기업이 지속적이며 우수한 성과를 내기 위해 필요한, 기업의 적절한 행동을 유발시키는 전략적 방향을 의미한다[12]. 즉 기업의 전략적 지향성은 기업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을 바르게 파악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올바르게 인지하는 것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1][6].
고객지향성이란 무엇인가요?
고객지향성은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목표고객을 이해하는 것으로 신규고객을 창출하고 고객의 가치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고객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는 관점이다. Kohli와 Jaworski[9]는 고객지향성을 고객을 위하여 우월한 가치 제공에 따른 필요한 행동들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창출하는 조직의 문화라고 정의하고 있다.
기업가정신의 구성개념 중 위험감수성이란 무엇인가요?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의 공통된 정의에 따라 기업가정신을 정의하였으며 구성개념을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위험감수성은 기업가적 특성으로 자원에 구애받지 않고 기회를 포착하고 추구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5]. 즉 위험감수성은 이미 계산된 사업상의 위험을 기꺼이 수용하려는 자세로서, 성과가 매우 불확실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자원을 기꺼이 투입하고자 하는 성향을 의미한다[18].
참고문헌 (22)
강도규, 박성용, "기술지향성의 의미와 기술지향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제25권, 제4호, pp.11-26, 2007.
고기호, 정덕화, 송윤헌, "식품제약업체의 시장지향성이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품품질, 직원만족 및 혁신속도의 매개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869-883, 2011.
C. M. Christensen and J. L. Bower, "Customer Power, Strategic Investment, and the Failure of Lead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7, No.3, pp.197-219, 1996.
C. S. Katsikeas and D. A. Skarmeas, "Drivers of Superior Importer Performance in Cross-Cultural Supplier-Reseller Relationship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30, No.2, pp.227-241, 2001.
H. Gatignon and J. M. Xuereb, "Strategic Orientation of the Firm and New Product Performa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4, No.2, pp.77-90, 1997.
H. Hakala, "Strategic Orientations in Management Literature: Thre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between Market, Technology, Entrepreneurial and Learning Ori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Vol.13, No.3, pp.199-217, 2011.
I. J. Jeong, H. Pae, and D. Zhou,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Strategic Orientations in New Product Development: The Case of Chinese Manufacturer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35, No.3, pp.348-358, 2006.
J. Frishammar and S. Horte, "The Role of Market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for New Product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Firms," Technology Analysis and Strategic Management, Vol.19, No.6, pp.765-88, 2007.
J. Kickul and L. K. Gundry, "Prospecting for Strategic Advantage: The Proactive of Entrepreneurial Personality and Small Firm Innovation,"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40, No.2, pp.85-97, 2002.
K. Atuahene-Gima and A. Ko,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Market Orientation and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lignment on Product Innovation," Organization Science, Vol.12, No.1, pp.54-74, 2001.
R. G. Cooper and E. J. Kleinschmidt, "New Product Performance: What Distinguishes the Star Products," Australian Journal of Management, Vol.25, No.2, pp.17-45, 2000.
W. E. Baker and J. M. Sinkula, "The Complementary Effects of Market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Profitability in Small Busines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47, No.4, pp.443-464, 2009.
Y. Liu, Y. Li, and J. Xue, "Ownership, Strategic Orientation and Internalization in Emerging Markets," Journal of World Business, Vol.46, No.3, pp.381-393, 201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