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벌강도에 따른 낙엽송의 휨 및 종압축강도성능
Bending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Larix kaempferi According to Thinning Intensity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4, 2014년, pp.385 - 392  

정성호 (산림교육원) ,  원경록 (경상대학교) ,  홍남의 (경상대학교) ,  박병수 (한국임업진흥원) ,  이경재 (국립산림과학원) ,  변희섭 (경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중요한 조림 수종 중에서 낙엽송을 대상으로 하여, 간벌실시에 따른 물리 역학적 성질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간벌 실시가 목재의 재질에 미치는 영향과 양질재 생산 및 목재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벌정도에 따른 시료는 무간벌, 약도간벌, 강도간벌을 실시한 광릉시험림에서 벌채하여 사용하였다. 간벌 정도에 따른 평균 만재율은 무간벌 < 약도간벌 < 강도간벌의 경향이었고 평균 연륜폭은 무간벌 < 약도간벌 또는 강도간벌의 경향이었다. 간벌 정도에 따른 평균 휨강도는 무간벌 > 약도간벌 >강도간벌의 경향이었고 간벌 정도에 따른 평균 압축강도는 무간벌 > 약도간벌 >강도간벌의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낙엽송은 간벌에 의하여 휨 및 종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lantation thinning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arix kaempferi. Tree samples were obtained from unthinned, moderately, heavily thinned plantations where located in Kwangryung forest research stand. The effects of different thi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조림수종으로서 많은 비중(Korea Forest Service 2012)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수확기에 이르러 본격적인 이용시기가 도래한 낙엽송을 대상으로 하여, 간벌실시에 따라 달리 발현되는 물리⋅역학적 성질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이들 간벌 실시가 목재의 재질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구명하고, 양질재 생산과 목재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조림수종으로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수확기에 이르러 본격적인 이용시기가 도래한 낙엽송을 대상으로 하여, 간벌실시에 따라 달리 발현되는 물리⋅역학적 성질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이들 간벌 실시가 목재의 재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양질재 생산과 목재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인공조림 수종에 대한 육림연구는 무엇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 그런데, 지금까지 국내에서의 주요 인공조림 수종에 대한 육림연구는 풀베기, 덩굴제거, 가지치기, 간벌 등 임분생장을 중시하는 육림기술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즉, 조림수종의 육림시업에 대한 연구는 임목의 생리⋅생태 및 양적생장(Lee 1997; Kim 2012; Kim 2013; Park 2013)에 치중되어 있고 용재의 질적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만재율은 간벌정도에 따라 어떻게 나타났는가? 만재율은 무간벌, 약도간벌, 강도간벌에서 각각 평균 33.34, 37.05, 39.92%의 값을 나타내어 간벌정도가 강할수록 만재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연륜폭과 기건밀도에서는 무간벌의 연륜폭이 간벌재보다는 좁았고 무간벌의 기건밀도는 간벌재의 밀도보다 높았다.
간벌 실시 여부에 따라 선정된 공시임지의 구역 구분은 어떻게 되는가? 표고 150 m의 산록부의 북사면 완경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토심이 깊고 토양습도는 적윤하고 지위는 ‘상’이었다. 1964년도에 ha당 3,000본을 조림하였고, 임령 19년째인 1982년에 1차 간벌을 실시한 후, 임령 25년째인 1988년에 2차 간벌을 실시하였으며 두 차례에 걸친 간벌율이 모두 74%(1차 36%, 2차 38%)로 강하게 간벌을 실시한 강도간벌구와 간벌율이 47%(1차 28%, 2차 19%)로 약하게 간벌을 실시한 약도간벌구 및 전혀 간벌을 하지 않은 무간벌구로 각각 구분되어 있었다. 선정된 공시임지의 해당 처리구 내에서 비교적 표준적인 생장상황과 형질을 나타내고 있으면서 각종 위해로부터 손상을 받지 않은 건전한 임목을 각 5본씩 채취하여 공시목으로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ilgin Guller. 2007. The effects of thinning treatments on density, MOE, MOR and maximum crushing strength of Pinus brutia Ten. wood. Annals of forest science. 64: 467-475. 

  2. Chong, S.H., Jung, D.J., Park, B.S., Chun, S.K. 2003. Effects of thinning on the timber quality of Pinus koraiensis grown in korea. Mokchae KongHak. 31(2): 16-23. 

  3.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4. Wood properties and uses of the major tree species grown in Korea. Research Report of Forest Institute. 95: 124-125. 

  4. Kim, J.Y. Lee, K.J. 2012. Vegetational structure and the density of thinning for the inducement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in artificial forest, National Parks1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6(4): 604-619. 

  5. Kim, M.I., Lee, W.K., Park, T.J., Kwak, H.B., Byun, J.Y., Nam, K.J., Lee, K.H., Son, Y.M., Won, H.K., Lee, S.M. 2013. Developing dynamic D.B.H. growth prediction model by thinning intensity and cycle - based on yield table data-. Journal of the Korean Forestry Society. (2): 266-278. 

  6. Kim, D.K., Lee, H.J., Kim, J.W., Park, S.K. 1994.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thinning intensity in grown of Korean pine. Research Report of Forest Institute. 50: 112-127. 

  7. Kim, D.K., Kim, J.W., Park, S.K., Kim, T.O., Kim, I.H. 1988. Study on the first thinning method in 20 year-old plantations of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Pinus rigida and Pinus banksiana. Research Report of Forest Institute. 37: 1-7. 

  8. Korea Forest Service. 2012.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42: 88. 

  9. Lee, C.H., Park, J.H., Kim, Y.C. 1997. Variations in properties and qualities of major plantation-grown softwoods in korea(I) - anatomical properties of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Chamaecyparis obtusa. Mokchae Konghak. 25(2): 117-126. 

  10. Lin, C.J., Wang, S.Y., Yang, T.H., Tsai, M.J. 2006. Compressive strength of young Taiwania (Taiwania cryptomerioides) trees grown with different thinning and pruning treatments. Journal of Wood Science. 52(4): 337-341. 

  11. Nakai, K., Tanaka, S.S. 1984. Strength property of thinned small diameter wood. 39(5): 225-241. 

  12. Nakai, K. 1984. Bending strength property of sugi planted in japan. Wood industry. 39(11): 552-556. 

  13. Park, J.H., Kim, S.K., Lee, S.T., Lee, K.S., Kim, H.H. 2013. Thinning effect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tand characteristics of oak stand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6): 81-89. 

  14. Wang, S.Y., Lin, C.J., Chiu, C.M., Chen, J.H., Yung, T.H. 2005.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and bending properties of young Taiwania trees grown with different thinning and pruning treatments. Journal of Wood Science. 51: 1-6. 

  15. Won, K.R., Yoo, B.O., Lee, K.S., Jung, S.Y., Chong, S.H., Byeon, H.S. 2013.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strength property for damaged-black Pine wood(Pinus thunbergii) by Matsucoccus thunbergianae using free vibration mod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6): 53-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