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도시 인식정도와 개인행복지수의 관계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a Health-Cities and Personal Happines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2, 2014년, pp.175 - 185  

남희은 (고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미란 (고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혜숙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individual happiness exponent according to local residents' perception degree of Health-Cities. The data, which is accumulated by the survey on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perception degree of Health-Cities targeting 662 of local residents living in Y-gu in Busan, were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Y구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건강도시와 행복에 관한 인식조사를 근거로 하여 그 관계를 규명하고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는 지역사회로부터 출발하는 건강도시의 우선적 욕구와 행복에 대한 삶의 질을 규명하여 지역보건환경과 복지의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행복은 개인적이며 주관적 안녕감에 가까우며, 행복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한 개인적인 요인이 많으나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인 요인으로서의 건강도시에 관한 인식과의 관계를 통하여 공적인 차원의 행복증진을 위한 건강패러다임의 전환적 차원에서 필요성을 인식하고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건강도시 시범사업을 수행한 도시는?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경기도 과천시가 건강도시 시범사업을 수행하면서 건강도시가 소개되었고, 2004년 서울시, 경남 창원시, 강원도 원주시, 부산시 부산진구 4개 도시가 서태평양건강도시연맹(AFHC)에 가입하면서 건강도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여, 2011년 6월 현재 60여개의 건강도시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6].
건강도시 패러다임이 등장한 배경은? 건강도시 패러다임은 21세기 수명연장과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신공중보건(New Public Health) 개념에 의해 등장하였으며[2],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건강한 도시, 커뮤니티 조성을 위하여 1984년부터 건강도시(Healthy Cities)개념을 도입하면서 보건의료, 도시계획, 환경, 관광,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3].
OECD에서2011년 34개 회원국 간 삶의 질과 국민의 행복도를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행복지수는 몇 위였는가? Development: OECD)에서 2011년 34개 회원국 간 삶의 질과 국민의 행복도(소득과 자산, 고용, 주택, 교육수준, 행복도, 건강상태 등 11대 부문의 21개 지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11대 부문 중 교육수준, 고용, 안전 등의 부문에서 비교적 높고, 소득수준, 주택, 사회교류 등의 부문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웰빙 지표를 근거로 행복지수(Your Better Life Index)를 산정하며, 지표 간 가중치를 동일하게 간주했을 때, 우리나라의 행복지수는 26위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다. OECD의 웰빙지표와 행복지수는 국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계획과 정책개발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M. Oh, H.J. Kim, Y.S. Yang(2011), A Comparative Study on progress of the Healthy Cities Project, Korea and European Healthy Cities Network.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37(2);75-85. 

  2. J. Naidoo, J. Wills(2000), Health promotion: foundations for practice. Philadelphia, PA, Elsevier Health Sciences, pp.10-20. 

  3. Y. Kim, J.D. Choi, G.H. Bae(2010), A Study on Priorities of Healthy City Projects through evaluation, Focused on Healthy City Jinju,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22(4);51-168. 

  4. O.N. M, S. P(2006), Choosing indicators to evaluate Healthy Cities projects: a political task?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21(2);145-152. 

  5. T. Harpham, S. Burton, I. Blue(2001), Healthy cities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first evaluati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16(2);111-125. 

  6.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2010). Status Healthy Cities in Korea 2009,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p.25-45. 

  7. E.W. Nam(2007), Review and Prospective of the heathy Cities in Korea.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4(2);123-134. 

  8. J.E. Chae, B.S. Byun(2009), Importance analysis of Muju County Healthy Cities Projects, National Geographic Journal, Vol.43(1);91-102. 

  9. H.E. Nam, J.W. Baek, J.S. Ryu(2011), Study on Effect about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to The Local Residents of Their Cognition of Health,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5(4);53-63. 

  10. O.Y. Mi, H.J. Kim(2011), Korea Healthy Cities Evaluation, Vol.28(3);99-111. 

  11. E.J. Kim(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y City Indicators and Index,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Associate Research Fellow,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Vol.72.;161-180. 

  12. H.E. Nam, J.W. Beak, J.S. Ryu(2011), Study on Effect about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to The Local Residents of Their Cognition of Health, Vol.5(4);53-63. 

  13. J.H. Kim(2008), The Effects of Happiness on Health, Vol.16(2);123-141. 

  14. D. Vlahov, N. Freudenberg, F. Proietti, D. Ompad, A. Quinn, V. Nandi & S. Galea(2007), Urban as a determinant of health, Journal of Urban Health, Vol.84;16-26. 

  15. Y.M. Park(2007), The Conception of Gratitud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Gratitude and the Positive Psychology, Stress research, Vol.15;215-219. 

  16. B.L. Fredrickson, M.F. Losada(2005), Positive affect and the complex dynamics of human flourishing, American Psychology, Vol.60;678-686. 

  17. D.W. Hahn, J.H. Park, K.H. Kim(2005),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and self-disclosure about the stressful life event on well-being and health, The Korean Jounal of Health Psychology, Vol.10;183-209. 

  18. N. Milio(1990), Healthy Cities: the new public health and supportive research,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5(4);291-297. 

  19. T.H. Yoon, M.H. Choi, K.S. Cheong, Y.H. Kim, K.Y. Kim, B.G. Jung(2011), Priority Setting for the Healthy City Program in Busan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Korean Jou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8(3);31-42. 

  20. J.H. Kim(2012), Principles for Evaluating Healthy Cities, Korea J Health Edoc Promot, Vol.29(4);67-81. 

  21. D.E. Leeuw, T. Skovgaard(2005), Utility-driven evidence for healthy cities: problems with evidence generation and applic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1(6);1331-1341. 

  22. H.C. Chong(2013), The effects of Area-Specific Social Network on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3);177-1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