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 반응에 대한 악력과 EMG 신호의 평가
Evaluation of Hand Grip Strength and EMG Signal on Visual Reaction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24 no.2, 2014년, pp.161 - 166  

신성욱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  정성훈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  정성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d grip strength has been utilized as an indicator to evaluate the motor ability of hands, responsible for performing multiple body functions. It is however difficult to evaluate other factors (other than hand muscular strength) utilizing the hand grip strength on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시각 반응에 대한 EMG 신호와 악력 변화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시각 반응에 대한 EMG 신호의 반응속도는 악력의 반응속도보다 앞서는 것을 확인하였다.
  • 그러므로, 전체 감각의 80%를 차지하는 시각 반응을 이용한 집중력 향상 훈련은 인지기능 발달, 시각적 주의력 향상, 주의력 결핍장애 아동에 대한 재활 훈련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라고 하였다(Lee & Jung, 2011). 이와 같이 손의 운동 능력 평가뿐만 아니라 시각반응에 대한 집중력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EMG의 장점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근육의 활성도를 정량적으로 분석 할 수 있고 신호 추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sEMG (surface electromyography)와 디지털 악력기를 통해 Attivissimo, Cavone, Lanzolla과 Savino (2009)가 제시한 악력 측정의 5단계인 반응, 수축, 유지, 이완, 휴식으로 분류하여 손의 운동 능력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시간에 대한 민첩성과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순발력은 각각 반응 단계와 수축 단계를 나타낸다.
손의 근력은 인체가 노화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 2014). 손의 근력은 인체가 노화함에 따라 근육량이 점점 줄어들어 민첩성과 근력 저하 및 지구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악력에 의존되는 많은 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고나 부상의 위험도 높아진다(Matsui et al.
악력기, 페그보드, MVE 등을 통한 일반적인 손의 기능 평가는 어떤 단점을 가지는가? 일반적으로 손의 기능 평가는 악력기를 통한 근력 평가와 페그보드를 이용한 기민성 평가, 손의 민첩성을 평가하는 MVE(mobile vocational evaluation)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표준화 된 검사 도구가 필요하거나 사람에 의해 측정되기 때문에 정량적인 평가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Kim & Park,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dria, G., Attivissimo, F., Giaquinto, N., & Sasanelli, N. (2006). Functional evaluation of handgrip signals for parkinsonian patients. IEEE Transaction On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55(5), 1467-1473. 

  2. Attivissimo, F., Cavone, G., Lanzolla, A. M. L., & Savino, M. (2009). Application of hand grip signals for an objective evaluation of Parkinson disease: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standard functional clinical tests. Measurement, 42(8), 1123-1130. 

  3. Bang, Y. S., Kim, H. Y., & Lee, M. K., (2009). Factors affecting the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7), 202-210. 

  4. Bassey, E. J., & Harries, U. J. (1993). Normal values for handgrip strength in 920 men and women aged over 65 years, and longitudinal changes over 4 years in 620 survivors. Clinical Science, 84, 331-337. 

  5. Bonfiglioli, C., De Berti, G., Nichelli, P., Nicoletti, R., & Castiello, U. (1998). Kinematic analysis of the reach to grasp movement in parkinson's and huntington's disease subjects. Neuropsychologia, 36(11), 1203-1208. 

  6. Giampaoli, S., Ferrucci, L., Cecchi, F., Lo, N. C., Poce, A., Dima, F., Santaquilani, A., Vescio, M. & Menotti, A. (1999). Handgrip strength predicts incident disability in non-disabled older men. Age Ageing, 28(3), 283-8. 

  7. Heller, A., Wade, D., T., Wood, V., A., Sunderland, A., Hewer, R., L., & Ward, E., (1987). Arm function after stroke: measurement and recovery over the first three months. Journal of Neurol Neurosurg Psychiatry, 50(6), 714-719. 

  8. Hodges, P. W., & Bui, B. H. (1996). A comparison of computerbas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onset of muscle contraction using electromyography.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Electromyography and Motor Control, 101(6), 511-519. 

  9. Kim, D, E., Park, S, M., & Sim, K, B., (2013).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grip strength and EEG.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19(9), 853-859. 

  10. Kim, E. J., & Park, S. Y., (2008). Correlations among the 10-second test, box and block test, and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 for hand dexterity evaluation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of Occupational Therapy, 16(3), 49-59. 

  11. Kim, M. K., Nam, J. Y., Noh, S. Y., & Han, D. W. (2012). The effects of a concentration, an auditory reaction time and a muscle power on an agility. The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19(3), 17-22. 

  12. Lee, J. H., Shim, H., Lee, H. S., Lee, Y. H., & Yoon, Y. R. (2006). Detection of onset and offset time f muscle activity in surface EMGs using the kalman smoother. World Congress on Medical Physics and Biomedical Engineering 2006, IFMBE Proceedings, 14, 1103-1106. 

  13. Lee, E. A., & Jung, K. T. (2011). Visual perception of nomal children and developmental dalay children. 2011 Fall Conference and General Meeting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33-235, Korea. 

  14. Matsui, Y., Fujita, R., Harada, A., Sakurai, T., Nemoto, T., Noda, N., & Toba, K. (2014). Association of grip strength and related indices with independe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investigated by a newly-developed grip strength measuring device.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14, 77-86. 

  15. Nicolay, C. W., & Walker, A. L. (2005). Grip strength and endurance: Influence of anthropometric variation, hand dominance, and gender. Industrial Ergonomic, 35, 605-618. 

  16. Shin, S. W., Jeong, S. H., Shin, S. J., Cho, D. S., & Chung, S. T. (2013). Developing a device using accelerometers and EMG for hand movement recognition. 2013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cs, 398-401, China. 

  17. Shyam Kumar, A. J., Parmar, V., Ahmed, S., Kar, S., & Harper, W. M. (2008). A study of grip endurance and strengh in different elbow positions. Journal of Orthopaedics and Traumatology, 9, 209-211. 

  18. Vint, P. F., McLean, S. P., & Harron, G. M. (2001). Eletromechanical delay in isometric actions initiated from nonresting level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3(6), 978-983. 

  19. Yang, C. H., Huang, H. C., & Yang, C. H. (2006). A generic grip strength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Journal of Med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26(2), 75-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