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선응시 방법과 시각도가 P300 문자입력기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ethods of eye gaze and visual angles on accuracy of P300 speller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7 no.2, 2014년, pp.91 - 100  

엄진섭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손진훈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300 문자입력기의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문자판의 시각도와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에 해당하는 시선응시 방법이 P300 문자입력기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문자판의 시각도는 사용자와 문자판 간의 거리로 조작하였으며, 60 cm 집단과 100 cm 집단, 150 cm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시선응시방법은 세 조건으로 반복측정하였다. 머리 조건은 머리를 움직여서 시선을 두는 조건이었으며, 눈동자 조건은 머리는 고정한 채 눈동자를 움직여서 시선을 두는 조건이었고, 시선고정 조건은 시선을 문자입력기의 중앙에 고정시킨 조건이었다. 이요인설계에 의한 실험결과, 문자입력의 정확도가 시선응시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머리 조건의 정확도가 눈동자 조건의 정확도 보다 높았으며, 눈동자 조건의 정확도가 시선고정 조건의 정확도 보다 높았다. 그러나 문자판의 시각도와 상호작용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시선응시방법에 따라 목표문자의 P300 진폭을 측정한 결과, 머리조건의 P300이 눈동자 조건의 P300보다 더 컸다. 머리조건과 눈동자 조건 간에는 오류분포에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시선고정 조건은 나머지 두 조건과 큰 차이를 보였다. 머리조건과 눈동자 조건에서는 오류가 주로 목표문자와 인접한 문자에서 나타난 반면, 시선고정 조건은 오류가 상대적으로 넓게 분포하였으며, 문자판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문자들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visual angle of matrix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P300 speller and eye gaze corresponding to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the accuracy of P300. Visual angle of the matrix was operat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atrix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시선을 움직이는 방법에 따라 P300 문자입력기의 정확도가 달라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문자판의 크기가 작거나 사용자와 문자판 간의 거리가 멀다면, 시선을 움직이는 두 가지 방법 간에 정확도의 차이가 크지 않을 것이다.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문자판의 시각도가 문자 입력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동일한 문자판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와 문자판 간의 거리가 멀수록(즉, 시각도가 작을수록) P300 문자입력기의 정확도가 감소할 것이며, 가까울수록(즉, 시각도가 클수록) 정확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300 문자입력기의 특성 중 시행수에 따른 결과는 어떠한가? 시행수는 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한 문자 당 깜빡인 횟수를 말한다. 깜빡인 횟수가 증가할수록 더 신뢰로운 P300이 추출되며,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문자를 판별하기가 쉬워진다. 그러나 시행수가 많아지면, 한 문자 입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P300 문자입력기는 무엇인가? P300 문자입력기는 뇌파를 이용하여 컴퓨터 모니터에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이며, 이 장치를 이용하여 전신마비 환자들이 외부 세상과 의사소통할 수 있다. Farwell과 Donchin(1988)이 P300 문자입력기를 개발한 이후 약 20년 동안은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으나, 최근 컴퓨터의 급속한 발전과 인간-기계 상호작용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P300 문자입력기에 대한 연구가 국내와 국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P300 문자입력기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전형적인 P300 문자입력기는 Figure 1과 같은 6×6 문자판의 문자들이 행 또는 열 단위로 무선적인 순서로 깜빡이며, 각 문자가 6~30회 깜빡이면 한 문자가 입력된다. 사용자는 입력하고 싶은 문자가 깜빡인 횟수를 마음속으로 세면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Eom, J.S., Yang, H. Y., Park, M. S., & Sohn, J. H. (2013). P300 speller using a new stimulus presentation paradigm,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6, 107-116. 

  2. Brunner, P., Joshi, S., Briskin, S., Wolpaw, J. R., Bischof, H., & Schalk, G. (2010). Does the 'P300' speller depend on eye gaze?. Journal of neural engineering, 7(5), 056013. 

  3. Donchin, E., Spencer, K, M., & Wijesinghe, R. (2000). The mental prosthesis: Assessing the speed of a P300-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IEEE Transactions on rehabilitation engineering, 8, 174-179. 

  4. Farwell, L. A., & Donchin, E. (1988). Talking off the top of your head: Toward a mental prosthesis utilizing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70, 510-523. 

  5. Fazel-Rezai, R. (2007). Human error in P300 speller paradigm for brain-computer interface, Conf Proc IEEE Eng Med Biol Soc, 2516-2519. 

  6. Fazel-Rezai, R., & Abhari, K. (2009). A region-based P300 speller for brain-computer interface.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Canadian Journal of, 34(3), 81-85. 

  7. Furdea, A., Halder, S., Krusienski, D. J., Bross, D., Nijboer, F., Birbaumer, N., & Kubler, A. (2009). An auditory oddball (P300) spelling system for brain-computer interfaces. Psychophysiology, 46, 617-625. 

  8. Hoffmann, U., Vesin, J. M., Ebrahimi, T., & Diserens, K. (2008). An efficient P300-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for disabled subjects.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167(1), 115-125. 

  9. Johnson, R. (1986). A triarchic model of P300 amplitude, Psychophysiology, 23, 367-384. 

  10. Kirk, R. E. (2013). Experimental design 4th ed. SAGE publications, Inc. 

  11. Krusienski, D. J., Sellers, E. W., Cabestaing, F., Bayoudh, S., McFarland, D. J., Vaughan, T. M., & Wolpaw, J. R. (2006). A comparison of classification techniques for the P300 Speller. Journal of neural engineering, 3(4), 299. 

  12. Krusienski, D. J., Sellers, E. W., McFarland, D. J., Vaughan, T. M., & Wolpaw, J. R. (2008). Toward enhanced P300 speller performance,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167, 15-21. 

  13. Lee, B., Yu, J., & Kim, D. (2012). P300 speller using matrix group based on multi-bio signals, Journal of KIISE : Software and Applications, 39, 812-817. 

  14. Lenhardt, A., Kaper, M., & Ritter, H. J. (2008). An adapted P300-based online brain-computer interface,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16, 121-130. 

  15. Lu, J., Speier, W., Hu, X., & Pouratian, N. (2013). The effects of stimulus timing features on P300 speller performance. Clinical Neurophysiology, 124(2), 306-314. 

  16. Manyakov, N. V., Chumerin, N., Combaz, A., & Van Hulle, M. M. (2011). Comparison of classification methods for P300 brain-computer interface on assification mets.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neuroscience, 2011, 2. 

  17. McFarland, D. J., & Wolpaw, J. R. (2003). EEG-based communication and control: Speed-accuracy relationship,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8, 217-231. 

  18. Pierce, J. R. (1980). An introduction to information theory. New York: Dover Publications. 

  19. Polich, J. (2007). Updating P300: An integrative theory of P3a and P3b, Clinical Neurophysiology, 118, 2128-2148. 

  20. Schreuder, M, Blankertz, B, & Tangermann, M. (2010) A new auditory multi-class brain-computer interface paradigm: spatial hearing as an informative cue. PLoS One 5. 

  21. Sellers, E. W., Krusienski, D. J., McFarland, D. J., Vaughan, T. M., & Wolpaw, J. R. (2006). A P300 event-related potential brain-computer interface (BCI): The effects of matrix size and inter stimulus interval on performance, Biological Psychology, 73, 242-252. 

  22. Sellers, E. W. & Donchin, E. (2006). A P300 brain-computer interface: Initial tests by ALS patien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7, 538-548. 

  23. Townsend, G., LaPallo, B. K., Boulay, V.B., Krusienski, D.J., Frye, G.E., Hauser, C.K., Schwartz, N.E., Voughan, T.M., Wolpaw, J.R., & Sellers, E.W. (2010). A novel P300-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stimulus presentation paradigm: Moving beyond rows and columns, Clinical Neurophysiology, 131, 1109-1120. 

  24. Usakli, A. B., Gurkan, S., Aloise, F., Vecchiato, G., & Babiloni, F. (2010). On the use of electrooculogram for efficient human computer interfaces.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neuroscience, 2010, 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